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묘어의_양사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묘어의_양사 [2015/05/07 21:23]
유현조
— (현재)
줄 1: 줄 1:
-[[term:​묘어]](矮寨)의 [[term:​양사]]는 [[term:​명량사]]와 [[term:​동량사]]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음. [[term:​명량사]]는 많고 [[term:​동량사]]는 적음. ​ 
- 
-矮寨묘어의 주요 특성: ​ 
-(1) 강제성이 있음. 명사와 동사가 양을 표현할 때 반드시 양사를 부가하여야 함.  
-(2) 단음절. 
-(3) 접두사 를 붙여서 명사화 시킬 수 있음. ​ 
-(4) '​수사+양사+명사/​형용사',​ '​동사+수사+양사'​의 어순. ​ 
-(5) 양사는 명사의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음. '​형용사+양사'​의 구조를 이루어 형용사의 목적어가 될 수 있음. 명사화조사 ma31을 부가하여 '​ma31+형용사+양사'​의 명사화 구조를 만들 수 있음. ​ 
-(6) 품사 유래에서 볼 때 양사는 명사와 동사에서 왔음.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명사에서 온 것이 동사에서 온 것보다 많음. ​ 
-   ​명사에서 온 것.  
-     ​종이 한 장 
-    한  잎  종이 ​   
- 
-  동사에서 온 것.  
-     길 1리  ​ 
-  한   ​부르다 길  
- 
-(7) 양사 중에는 중국어 차용어가 많음. 그 중에서 도량형 단위를 나타내는 양사가 가장 많음. 특히, 표준도량형양사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온 것임. 
- 
-  * [[묘어의 개체양사]] ​ 
- 
- 
-===== Topic ===== 
-  * [[topic:​numeral classifier]] 
- 
-===== Language ===== 
-  * [[lang:​miao]] 
- 
  
묘어의_양사.143100143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5/05/07 21:23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