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abaza: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6/23 15:36] 김희연 |
doc:abaza:2_wordclass:22_noun:22_noun [2021/08/26 01:34]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 # 22_noun : 명사 (noun) :90% | + | # 22_noun : 명사 (noun) |
| - 명사는 소유, 수 를 갖는다. (격변화없음) | - 명사는 소유, 수 를 갖는다. (격변화없음) | ||
| 줄 18: | 줄 18: | ||
| ### 고유 명사 및 일반 명사 | ### 고유 명사 및 일반 명사 | ||
| - | - 일반명사는 특정명사 와 불특정명사를 포함한다. | + | - 일반명사는 한정명사 와 비한정명사를 포함한다. |
| - 불특정명사는 는 접미사 кӀ 가 붙거나, 형태소가 아예 붙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 - 불특정명사는 는 접미사 кӀ 가 붙거나, 형태소가 아예 붙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 ||
| - 특정명사는 접두사 а- 를 붙인다. | - 특정명사는 접두사 а- 를 붙인다. | ||
| 줄 195: | 줄 195: | ||
| ### 명사의 복수 | ### 명사의 복수 | ||
| + | |||
| + | - 복수를 나타낼 때 접미사를 사용한다. | ||
| + |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복수 접미사는 –ква 이다. | ||
| + | |||
| + | |||
| + | ###### 복수 접미사 -ква | ||
| + | |||
| + | - -ква 는 비활성 명사의 복수를 나타낸다. | ||
| + | - цӀла-ква 나무들 | ||
| + | - тш-ква 말들 | ||
| + | |||
| + | |||
| + | ###### 인칭에 쓰이는 -ква | ||
| + | |||
| + | |||
| + | - 사람(활성명사)의 복수 접미사는 –чва 이나 그러나, 활성 명사 복수 접미사–ква 가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의 복수"에서 자주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 ||
| + | - атажв-ква 할머니들 | ||
| + | - арыпхягӀв-ква 선생님들 | ||
| + | |||
| + | |||
| + | ###### 복수 접미사 -чва | ||
| + | |||
| + | |||
| + | - 활성명사 복수 접미사 –чва | ||
| + | - оба-чва 아버지들 | ||
| + | - агъа-чва 적들 | ||
| + | - чӀкӀвын-чва 소년들 | ||
| + | - хъацӀ(а)-чва 남자들 | ||
| + | |||
| + | |||
| + | ###### -чва + -ква | ||
| + | |||
| + | |||
| + | - 사람을 나타내는 복수 접미사 –чва 뒤에 –ква 를 붙일 때도 있다. | ||
| + | - ачӀкӀвын-чва-ква 소년들 | ||
| + | - апхягӀв-чва-ква 학생들 | ||
| + | |||
| + | |||
| + | ###### 무리를 나타내는 접미사 -гӀа | ||
| + | |||
| + | |||
| + | - 사람의 무리(군)을 나타낼 때 접미사 –гӀа를 붙인다. | ||
| + | - ауа-гӀа 사람들 | ||
| + | |||
| + | |||
| + | ###### гӀа + –р | ||
| + | |||
| + | |||
| + | - -гӀа 의 –р를 첨가한 형태를 쓰기도 한다. | ||
| + | - къарча-ргӀа 카라차이인들 | ||
| + | - нарты-рг ргӀа 썰매들 | ||
| + | - чӀкӀвыны-ргӀа 젊은이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