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baza:2_wordclass:23_verb:23_verb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abaza:2_wordclass:23_verb:23_verb [2018/06/23 16:18]
김희연
doc:abaza: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26 01:34] (현재)
김희연
줄 1: 줄 1:
-# 23_verb :  동사 (verb)+# 23_verb :  동사 (verb) ​ 
  
 - 동사는 아바자어의 형태론의 시스템에서 중심을 이루는 품사이다. ​ - 동사는 아바자어의 형태론의 시스템에서 중심을 이루는 품사이다. ​
줄 5: 줄 6:
 - 동사는 타동사-자동사,​ 상태동사(고정적)-활동동사(유동적)동사,​ 정형동사-비정형동사(부정사)로 나뉜다. ​ - 동사는 타동사-자동사,​ 상태동사(고정적)-활동동사(유동적)동사,​ 정형동사-비정형동사(부정사)로 나뉜다. ​
 - 동사는 상을 갖지 않는다. ​ - 동사는 상을 갖지 않는다. ​
 +- 서법의 종류는 직설, 조건, 명령, 조건-목적,​ 희구, 허용 을 가진다.
 - 아바자어에는 인칭별 동사 변화를 한다. 이 인칭별 표지는 인칭과 사람, 사물을 나타낸다. - 아바자어에는 인칭별 동사 변화를 한다. 이 인칭별 표지는 인칭과 사람, 사물을 나타낸다.
  ​아바자어의 격은 따로 없으나, 주격과 능격의 역할을 하는 두 가지의 형태의 인칭별 표지를 갖는다. ​  ​아바자어의 격은 따로 없으나, 주격과 능격의 역할을 하는 두 가지의 형태의 인칭별 표지를 갖는다. ​
줄 24: 줄 26:
 go.1PL.FUT go.1PL.FUT
 우리는 갈 것이다. 우리는 갈 것이다.
 +}}}
 +
 +
 +
 +### 상태 동사
 +
 +
 +- 접사 –ра 자체가 유동의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태동사에는 접사 –ра 를 붙일 수 없다. ​
 +- 상태 동사는 두 가지의 시제를 갖는다. ​
 +
 +
 +
 +
 +###### 상태 동사의 용법 : 상태
 +
 +
 +{{{eg>​abaz1241 (Klychev1993:​138)
 +агвара ​ гылапӀ ​
 +wall    stand
 +벽이 서있다 (забор стоит)
 +}}}
 +
 +
 +{{{eg>​abaz1241 (Klychev1993:​138)
 +асаби дычвапӀ
 +baby  sleep.3SG.PRS
 +아기가 잔다.(ребенок спит)
 +}}}
 +
 +
 +
 +
 +
 +
 +
 +### 활동 동사
 +
 +
 +- 활동동사는 8개의 시제를 갖는다. ​
 +
 +
 + - 현재
 + - 과거 5개
 + - 미래 2개
 +
 +
 +- 활동동사에서 사용 가능한 접사: -зл, -л, -ха, -х, -цӀа, -цӀ, -да, -жь
 +
 +
 +
 +###### 활동 동사의 용법 : 동작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йблитӀ
 +speak 
 +그는 말한다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ынхитӀ
 +work.3SG.PRS
 +그는 일한다
 +}}}
 +
 +
 +
 +
 +- “서있다,​ 되다” 뜻을 갖는 어간 гыл-(ра) 와 “앉아있다,​ 앉다” 의 чӀва-(ра) 는 상태동사와 활동동사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та-пӀ
 +V.3SG-ELA-UNK
 +그는 구석에 위치해 있다.(он находится в углублении)
 +
 +}}}
 +
 +
 +
 +
 +
 +
 +###### 비교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та-зл-и-тӀ
 +V.3SG-ELA-UNK-locate-PST.FIN
 +그는 계속 (위치해) 있었다.
 +
 +}}}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та-л-и-тӀ
 +V.3SG-ELA-continue-locate-PST.FIN
 +그는 들어갔다. (들어가서 계속 있는 상태)
 +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та-ха-тӀ
 +3SG-ELA-get.stuck-FIN
 +그는 오도 가도 못하다(он застрял)
 +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ты-р-х-тӀ
 +V.3SG-ELA-UNK-pull.out-FIN
 +그들은 그를 거기로부터 끌어내었다.(его они оттуда вытащили)
 +
 +}}}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та-р-цӀа-тӀ
 +V.3SG-ELA-there-put-FIN
 +그들은 그를 거기로 두었다 (его они туда положили)
 +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ты-цӀ-тӀ
 +V.3SG-ELA-there-FIN
 +그는 거기로 부터 나갔다. (он оттуда вышел)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та-рда-тӀ
 +V.3SG-ELA-UKN-go
 +그를 그들은 거기로 데리고 갔다.(они туда завели)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та-р-жь-тӀ
 +V.3SG-ELA-him-let.go-PST.FIN
 +그를 거기로 들여보냈다.(его они туда пустили)
 +
 +}}}
 +
 +
 +- 활동동사는 상태동사의 어간 та 에서 만들어진다.
 +
 +
 +
 +### 정형동사
 +- 정형동사와 비정형동사의 시제는 서술문과 가정법에서 차이점이 있다. ​
 +- 비정형의 형성의 기초 중의 하나는 관계대명사(й,​з) 또는 상황어를 나타내는 포만트(ан,​ ъа, ахьъа, ш, аба) 이다.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й-лы-з-ты-з
 +3SG.OBJ-UNK-UNK-UNK-UNK
 +저것을 누군가가 그녀에게 전달했다.(тот,​ кто то ей отдал)
 +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й-зы-л-тыз
 +3SG.OBJ-UNK-3SG.FEM-UNK
 +저것을 누구에게 그녀가 전달했다. (тот, кому она отдала)
 +
 +}}}
 +
 +
 +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с-ан-ца-уа ​
 +I-when-go-G2
 +내가 갈 때(когда я иду)
 +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с-ъа-ца-уа
 +I-where-go-G2
 +나 어디로 가야 하는지(куда я иду)
 + 
 +}}}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с-ш-ца-уа
 +i-how-go-G2
 +나 어떻게 가야 하는지
 +
 +}}}
 +
 +
 +
 +
 +#### 정형동사의 시제 형성
 +
 +- 표지 : итӀ, тӀ, н,пӀ
 +
 +
 +#### 비정형 동사 시제 형성 : Ø, з, ра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и-ба-рыквын
 +3SG.OBJ-3SG-see-ASSUM
 +만약에 그를 그가 본다면(если его он увидит)
 +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и-ба-зтын
 +3SG.OBJ-3SG-see-ASSUM.PST
 +만약에 그를 그가 보았다면(если его он увидел)
 +
 +}}}
 +
 +
 +
 +###### 비정형 동사 용법 : 조건 ​
 +
 +
 +
 +{{{eg>​abaz1241 (Klychev1993:​139)
 +ды-б-ба-рныс
 +3SG.OBJ-2SG.FEM-see-UNK
 +너가 그를 보기 위해서(чтоб ты его увидела)
 +
 +}}}
 +
 +
 +###### 상태 동사의 시간 형태
 + 
 +
 +- 동사 원형 : а-мазла-ра
 +|시간|FIN|INF|
 +|PRS|йысымапӀ|йысымау|
 +|IMPERF|йысыман|йысымаз|
 +
 +
 +
 +### 타동사와 자동사
 +
 +
 +- 타동사와 자동사는 동사의 인칭 클래스 표지를 통해 구별한다. ​
 +- 직접목적어의 여부에 의해서도 구별된다. ​
 +
 +
 +
 +{{{eg>​abaz1241 (Lomtatidze1966:​135)
 +й-лгӀв-ит ​
 +3SG.NEUT.OBJ-3SG.FEM.write-PRS
 +그녀는 그것을 쓴다.(то она пишет)
 +}}}
 +
 +
 +
 +
 +{{{eg>​abaz1241 (Lomtatidze1966:​135)
 +д-гӀв-ит
 +3SG.MASC-write-PRS
 +그는 쓴다.(원래,​ 항상 쓰는 사람)
 +}}}
 +
 +
 +
 +
 +### 타동사
 +
 +- 타동사는 직접 목적어를 갖는다. ​
 +
 +{{{eg>​abaz1241 (Lomtatidze1966:​135)
 +д-у-дырит-Ӏ
 +him-you-know.2SG-PRS
 +너는 그를 알고 있다.
 }}} }}}
  
  
doc/abaza/2_wordclass/23_verb/23_verb.152973829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6/23 16:18 저자 김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