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achang:2_wordclass:24_adj:24_adj [2018/08/17 17:12] 박성하 |
doc:achang:2_wordclass:24_adj:24_adj [2018/08/18 14:18] (현재) 박성하 |
||
|---|---|---|---|
| 줄 1: | 줄 1: | ||
|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 - | - 부류크기 | + | - 아창어에서 형용사는 개방성 품사 부류에 속한다. |
| - | - 의미부류 | + | - 그리고 아창어에서 형용사는 계사의 도움 없이 직접 서술어의 역할을 담당한다. |
| - | + | - 따라서 아창어의 형용사는 동사적 성질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 |
| - | 아창어에서 형용사는 개방성 품사 부류에 속한다. 그리고 아창어에서 형용사는 계사의 도움 없이 직접 서술어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아창어의 형용사는 동사적 성질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형용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할 때 맨형용사가 단독으로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고 형용사 중첩식이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 + | - 형용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할 때 맨형용사가 단독으로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고 형용사 중첩식이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
| ### 1) 맨형용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 | ### 1) 맨형용사가 서술어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 | ||
| - | 이 경우 문미에 [Ei?55], [nEi?55] 등의 조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 | - 이 경우 문미에 [Ei?55], [nEi?55] 등의 조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 {{{eg>acha1249 (shijian2009:0) | {{{eg>acha1249 (shijian2009:0) | ||
| 줄 24: | 줄 24: | ||
| ### 2) 형용사 중첩 형식이 서술어가 되는 경우 | ### 2) 형용사 중첩 형식이 서술어가 되는 경우 | ||
| - | 이 경우 중첩 형식의 뒤에 정도부사 '[kAN31]'(약화형식은 [k@N31])을 부가하는 경우가 많다. 문미에는 어기조사 '[Ei?55]'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 | - 이 경우 중첩 형식의 뒤에 정도부사 '[kAN31]'(약화형식은 [k@N31])을 부가하는 경우가 많다. 문미에는 어기조사 '[Ei?55]'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
| {{{eg>acha1249 (shijian2009:0) | {{{eg>acha1249 (shijian2009:0) | ||
| 줄 34: | 줄 34: | ||
| ### 3) 음절 특징 | ### 3) 음절 특징 | ||
| - | 아창어의 형용사는 단음절 형용사가 가장 많고 쌍음절 형용사는 비교적 적으며 다음절 형용사는 드물다. | + | - 아창어의 형용사는 단음절 형용사가 가장 많고 쌍음절 형용사는 비교적 적으며 다음절 형용사는 드물다. |
| ### 4) 정도부사의 수식 | ### 4) 정도부사의 수식 | ||
| - | 아창어의 정도부사는 형용사 앞에 부가하기도 하고 형용사 뒤에 부가하기도 한다. | + | - 아창어의 정도부사는 형용사 앞에 부가하기도 하고 형용사 뒤에 부가하기도 한다. |
| - | 형용사 앞에 부가하는 부사는 [kM31wAi35](특히), [fEi33ts`hAN31]/[ts`A31s`ɿ31](매우), [J_+a33khM55](조금), [th@31pjE?31](특히), [tsui35]/[tin33](가장), [J_+a?31](너무), [ko35J_+31](지나치게)이다. | + | - 형용사 앞에 부가하는 부사는 [kM31wAi35](특히), [fEi33ts`hAN31]/[ts`A31s`ɿ31](매우), [J_+a33khM55](조금), [th@31pjE?31](특히), [tsui35]/[tin33](가장), [J_+a?31](너무), [ko35J_+31](지나치게)이다. |
| {{{eg>acha1249 (shijian2009:87) | {{{eg>acha1249 (shijian2009:87) | ||
| 줄 47: | 줄 47: | ||
| }}} | }}} | ||
| - | 형용사 뒤에 부가하는 부사는 주로 [kAN31](매우), [kM33](매우), [kM55](너무), [kAN51](너무)이다. 이 중에서 [kM55](너무), [kaN51](너무)는 [kAN31](매우), [kM33](매우)의 성조 굴절을 통해 생긴 것이다. | + | - 형용사 뒤에 부가하는 부사는 주로 [kAN31](매우), [kM33](매우), [kM55](너무), [kAN51](너무)이다. |
| + | - 이 중에서 [kM55](너무), [kaN51](너무)는 [kAN31](매우), [kM33](매우)의 성조 굴절을 통해 생긴 것이다. | ||
| {{{eg>acha1249 (shijian2009:0) | {{{eg>acha1249 (shijian2009:0) | ||
| 줄 57: | 줄 58: | ||
| ### 5) 상태형용사 | ### 5) 상태형용사 | ||
| - | 아창어도 현대표준중국어처럼 성질 형용사 외에 상태 형용사가 있다. 상태 형용사에는 AAB 형식과, AABB 형식이 있다. 상태 형용사는 명사성 성분의 수식어가 될 수 있다. 상태 형용사가 명사성 성분의 수식어가 되는 경우 상태 형용사가 앞에 나오고 명사가 뒤에 나온다. 상태 형용사와 명사 사이에는 관형 조사 '[Ei?55]' 가 꼭 출현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 - 아창어도 현대표준중국어처럼 성질 형용사 외에 상태 형용사가 있다. |
| + | - 상태 형용사에는 AAB 형식과, AABB 형식이 있다. | ||
| + | - 상태 형용사는 명사성 성분의 수식어가 될 수 있다. | ||
| + | - 상태 형용사가 명사성 성분의 수식어가 되는 경우 상태 형용사가 앞에 나오고 명사가 뒤에 나온다. | ||
| + | - 상태 형용사와 명사 사이에는 관형 조사 '[Ei?55]' 가 꼭 출현하여야 한다. | ||
| {{{eg>acha1249 (shijian2009:89) | {{{eg>acha1249 (shijian2009:89) | ||
| 줄 67: | 줄 72: | ||
| ### 6) 형용사의 명사화 | ### 6) 형용사의 명사화 | ||
| - | 아창어에서 형용사를 명사화 시키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 접두사 ɑ31를 부가하여 단음절 형용사를 명사화시킬 수 있다(예: ɑ31phu33하양). 둘째, 조사 [Ei?55]/[kA33]를 부가하여 이음절 형용사를 명사화시킬 수 있다(예:[liAN33pA33kA33] 아름다움). 접두사 [A31]을 부가하는 경우는 형용사의 특징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 첫째, 이 구조는 여전히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둘째, 이 구조는 명사 중심어 뒤에서 관형어를 담당할 수 있는데 관형어 표지는 영형식을 취한다. 셋째, 이 구조는 중첩을 통해서 정도의 심화를 나타낼 수 있다. 중첩형식은 주로 ABB 식과 ABAB 식이다. | + | - 아창어에서 형용사를 명사화 시키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
| + | - 첫째, 접두사 ɑ31를 부가하여 단음절 형용사를 명사화시킬 수 있다(예: ɑ31phu33하양). | ||
| + | - 둘째, 조사 [Ei?55]/[kA33]를 부가하여 이음절 형용사를 명사화시킬 수 있다(예:[liAN33pA33kA33] 아름다움). | ||
| + | - 접두사 [A31]을 부가하는 경우는 형용사의 특징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 | ||
| + | - 첫째, 이 구조는 여전히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
| + | - 둘째, 이 구조는 명사 중심어 뒤에서 관형어를 담당할 수 있는데 관형어 표지는 영형식을 취한다. | ||
| + | - 셋째, 이 구조는 중첩을 통해서 정도의 심화를 나타낼 수 있다. 중첩형식은 주로 ABB 식과 ABAB 식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