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achang:2_wordclass:25_adv:25_adv [2018/08/17 17:20] 박성하 [3) 시간부사] |
doc:achang:2_wordclass:25_adv:25_adv [2018/08/18 14:24] (현재) 박성하 [25_adv : 부사 (adverb)] |
||
|---|---|---|---|
| 줄 1: | 줄 1: | ||
| # 25_adv : 부사 (adverb) | # 25_adv : 부사 (adverb) | ||
| - | 정도부사, 범위부사, 시간부사, 부정부사, 어기부사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 + | - 정도부사, 범위부사, 시간부사, 부정부사, 어기부사 등으로 분류된다. |
| ### 1) 정도부사 | ### 1) 정도부사 | ||
| - | 정도부사는 전치부사와 후치부사로 나눌 수 있다. | + | - 정도부사는 전치부사와 후치부사로 나눌 수 있다. |
| #### 전치부사 | #### 전치부사 | ||
| - | 전치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 | ##### 전치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 - ȵaʔ31 "너무", | - ȵaʔ31 "너무", | ||
| 줄 21: | 줄 21: | ||
| - xɑŋ33lɑʔ31xɑŋ33 "점점“, | - xɑŋ33lɑʔ31xɑŋ33 "점점“, | ||
| - ʑɛ31phɑ33...ʑɛ31phɑ33.../ʑɛ31...ʑɛ31... "-ㄹ수록’, | - ʑɛ31phɑ33...ʑɛ31phɑ33.../ʑɛ31...ʑɛ31... "-ㄹ수록’, | ||
| - | - nɯŋ31ȵaʔ31 "다소", | + | - nɯŋ31ȵaʔ31 "다소", |
| - kən33 "더", | - kən33 "더", | ||
| - xã33 "너무", 부정문에만 쓰여 부정의 강도를 줄여주며 완곡어법의 기능이 있다. | - xã33 "너무", 부정문에만 쓰여 부정의 강도를 줄여주며 완곡어법의 기능이 있다. | ||
| 줄 27: | 줄 27: | ||
| #### 후치부사 | #### 후치부사 | ||
| - | 후치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 | ##### 후치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 - | + | ||
| - kɑŋ31 "아주“, | - kɑŋ31 "아주“, | ||
| - kɯ33 "아주", | - kɯ33 "아주", | ||
| 줄 37: | 줄 37: | ||
| ### 2) 범위부사 | ### 2) 범위부사 | ||
| - | 범위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 | ##### 범위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 - | - kɯŋ33kɯŋ55 / thuŋ33 / thuŋ33thuŋ33/ tu33 "다" | + | - kɯŋ33kɯŋ55 / thuŋ33 / thuŋ33thuŋ33/ tu33 "다" |
| - | - lie33/ʑɛ33 "도“, ③ tʂɩ33 "만" | + | - lie33/ʑɛ33 "도“, |
| + | - tʂɩ33 "만" | ||
| ### 3) 시간부사 | ### 3) 시간부사 | ||
| - | 시간부사의 대부분은 서술어 앞에 위치하며 소수만 서술어 뒤에 위치한다. | + | ##### 시간부사의 대부분은 서술어 앞에 위치하며 소수만 서술어 뒤에 위치한다. |
| - | 시간부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 + | |
| - tshɑi31 “이제야", | - tshɑi31 “이제야", | ||
| 줄 58: | 줄 58: | ||
| ### 4) 부정부사 | ### 4) 부정부사 | ||
| - | - n31/m31 “안/못” | + | ##### n31/m31 “안/못” |
| + | |||
| + | - 동사나 형용사 앞에 쓰여 부정을 나타낸다. | ||
| + | - 중국어의 ‘不/没'과 같은 구분이 없다. (중국어에서 '不'는 의지, 객관 사실, 현재 시제, 미래 시제에 쓰이고, '没'는 과거 시제에 쓰임.) | ||
| + | - 정도부사 혹은 범위부사와 결합할 때는 정도부사/범위부사+n31/m31+술어의 어순을 가진다. | ||
| + | - 부정의 범위는 구 전체에 걸치지만 부정의 강도는 약한 편이다. | ||
| + | - 강한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른 문법 수단을 사용한다. | ||
| + | |||
| + | |||
| + | ##### ta31 “~지 마라”. | ||
| - | 동사나 형용사 앞에 쓰여 부정을 나타낸다. 중국어의 ‘不/没'과 같은 구분이 없다. (중국어에서 '不'는 의지, 객관 사실, 현재 시제, 미래 시제에 쓰이고, '没'는 과거 시제에 쓰임.) | + | -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 정도부사 혹은 범위부사와 결합할 때는 정도부사/범위부사+n31/m31+술어의 어순을 가진다. 부정의 범위는 구 전체에 걸치지만 부정의 강도는 약한 편이다. 강한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른 문법 수단을 사용한다. | + | - 동사 앞에 쓰이며 형용사와는 쓰일 수 없다. |
| - | + | ||
| - | - ta31 “~지 마라”. | + | |
| - |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동사 앞에 쓰이며 형용사와는 쓰일 수 없다. | + | |
| #### 5) 어기부사 | #### 5) 어기부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