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achang:4_ss:41_cl:cl_coreagr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achang:4_ss:41_cl:cl_coreagr [2016/02/29 10:50]
유현조
doc:achang:4_ss:41_cl:cl_coreagr [2018/08/18 14:06] (현재)
이민 [② 중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피행위자 조사를 사용하거나 행위자 조사를 사용하여 피행위자나 행위자에 대한 강조를 표현할 수 있다.]
줄 1: 줄 1:
 ##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 ##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
  
-핵심 주제: 단순절의 ​핵심 논항들을 어떻게 구별하는가?​+### (1) 핵심논항 ​표시방법
  
-절의 ​내부 구조. ​주어나 목적어를 떻게 ​분하는가? 중국는 순, 한국어는 ​조사, 코카서스제어는 ​명사에 표지가 ​지만 ​동사에 붙은 표를 보고 안다. 논항에 표지를 붙이는 것을 플래깅, 술에 표지를 붙이는 것을 인덱싱어순플래깅, 인덱싱. 이것이 해당 언어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장 핵심이다.+아창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핵심 논항(core argument)을 ​순과 조사 부가(flagging)를 통해 ​별한다. 아창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가 된다.  
 +아창의 행위자 ​조사는 xɑ33이다. 행위자가 주일 때는 지 않는 경우가 지만 ​오해의 소가 있으면 사용한다.  
 +아창의 피행위자 조사는 tə33이다피행위자의 유정성이 높으면 필수로 써야 하고그렇지 않으면 선택적다. 오해의 ​소지가 있으면 쓰고 그렇지 않으면 생략하여도 된다.  
 +유정정이 낮은 피행위자에 tə33를 쓰면 강조하는 역할을 하거나 운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논항의 문법역할 표시 대표적인 3가지 방법: 
  
-- flagging(격표지, 부치사). 예) 한국 +#### (1아창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가 된다그 는 다음과 같다. ​
-- indexing. 예) 코카 +
-- 어순. 예) 영어+
  
 +{{{eg>​acha1249 (shijian2009:​0)
 +[nAN33 ​ z_+u33 ​ tsAi33phu55 ​ N_+a?​31 ​ s`u?​31 ​ x@u33~55]
 +2SG       ​again ​   white.liquor ​     many     ​drink ​    ​PFV ​
 +당신은 백주 또 많이 마셨다.
 +}}}
  
-자동사의 논항 S, 타동사의 논항 A(gent), P(atient). 이 세지가 어떻게 취급되가를 정렬(줄서기)라고 ​한다.+#### (2피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는 문장에는 어순변화로 인한 중의를 해결하기 위해 피행위자 조사 tə33나 행위자 조사 xɑ33을 사용다. 
 +  
 +##### ① 의미관계가 불명확한 경우 조사사용은 강제성을 가진다. 
  
-정렬(alignment)+{{{eg>​acha1249 ​(shijian2009:0) 
 +[s`AN31 NA33   ​xA33 ​   tshAu33~55 ​  ​xEi?​55] 
 +3SG      1SG     ​AG ​         swear        PTCL  ​  
 +그가 나에게 욕먹었다. / 그는 내가 욕했다. 
 +}}}
  
-- 주격/격 정렬: A=S != P.     ​예) ​국어. 철가(S) 왔다. 철수가(A) 영희를(P) 때렸다. +##### ② 중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피행위자 조사를 사용하거나 행위자 조사를 사용하여 피행위자나 행위자에 ​대한 ​강조를 표현할 ​수 다. 
-- 절대격/​능격 정렬: A != S=P.   예) 코카서스어 +
-- Active/​Stative (Split S Alignment): SA=A != SP=P.   예) 코카서스어?​ +
-- 3분 정렬 : A != S != P.   +
  
 +{{{eg>​acha1249 (shijian2009:​0)
 +[wA31mA31 No31tuN33 ​  ​xA33 ​    ​uN31 ​  ​x@u33~55]
 +sow          2PL            AG        sell      PFV 
 +암퇘지는 우리에 의해 팔렸다. /​암퇘지는 우리가 팔았다.
 +}}}
 +
 +##### ③ 행위자 조사와 피행위자 조사가 공기 가능하다.
  
-어떤 언어는 인덱싱에서는 절대격/​능격 정렬, 플래깅에서는 주격/​대격 정렬을 하는 언어도 있음. +{{{eg>​acha1249 (shijian2009:​0) 
- +[n_0MN55kA31 ​  ​t@33 ​      ​s`ɿ31tuN31 ​  ​xA33 ​  ​z_u33 ​   lA?31    x@u33~55] 
- +stone             ​OBJ ​         3PL             ​AG ​     carry       ​go ​       PFV 
-기술 예: 아창어 +돌은 그들에 의해 들어 옮겨졌다. / 돌은 그들이 들어 옮겼다. 
- +}}}
-- 플래깅과 ​순을 사용한다. +
-- 주격/대격 정렬로 기술한다. +
  
 +##### ④ 행위자 피행위자 관계가 명확한 환경에서 조사는 생략 가능하다. ​
  
 +{{{eg>​acha1249 (shijian2009:​0)
 +[s`Mk31xuA?​55 ​ lAi33   ​m@t31 ​ khut55 ​  ​k@u33]
 +leaf              wind     ​blow ​    ​fall ​       PTCL  ​                      
 +나뭇잎이 바람에 떨어졌다.
 +}}}
  
 +##### ⑤ 행위자 생략의 경우 피행위자는 주어의 위치를 점하고 피행위자 조사의 출현은 자유롭다.
 +{{{eg>​acha1249 (shijian2009:​0)
 +[z_+in33 n_+31~55sAi31 Ei?55    wA?​31pAN31 ​  ​t@33 ​ ts\E~31 ​ khut55 ​   k@u33] ​
 +house       ​front ​         POS       ​bamboo ​        ​OBJ ​     cut        down       ​PTCL ​  
 +집 앞의 대나무가 베여 넘어졌다.
 +}}}
  
  
  
 +### 2) 정렬(alignment)
 +아창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사용한다. ​
 +아래의 예문들에서 자동문의 주어와 타동문의 행위자 주어가 모두 어떤 표지를 취하지 않고 문두에 출현하였으며,​ 타동문의 피행위자 목적어는 피행위자 조사 tə33를 취했음을 볼 수 있다. ​      
  
 +{{{eg>​acha1249 (shijian2009:​138) ​    
 +[NA33 A31thiE35 lA?31]
 +ISG   ​Personally go 
 +내가 ​  ​직접 ​     간다. (我亲自去。)
 +}}}
  
 +{{{eg>​acha1249 (shijian2009:​204) ​   ​
 +[AN31 NAi35  A31sAi35 ​ t@33  pa?55  k@u33]
 +3SG     ​my ​    ​brother ​ OBJ  beat    PTCL
 +그는 나의 형을 때렸다.
 +}}}
  
doc/achang/4_ss/41_cl/cl_coreagr.145671062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2/29 10:50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