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chang:4_ss:41_cl:cl_coreagr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achang:4_ss:41_cl:cl_coreagr [2018/08/18 14:04]
이민
doc:achang:4_ss:41_cl:cl_coreagr [2018/08/18 14:06] (현재)
이민 [② 중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피행위자 조사를 사용하거나 행위자 조사를 사용하여 피행위자나 행위자에 대한 강조를 표현할 수 있다.]
줄 1: 줄 1:
-## 1) 핵심논항 ​구별방법+## cl_corearg :  핵심논항 표시방법 (core argument)  
 + 
 +### (1) 핵심논항 ​표시방법
  
 아창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핵심 논항(core argument)을 어순과 조사 부가(flagging)를 통해 구별한다. 아창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 아창어에서는 단순절의 주어나 목적어와 같은 핵심 논항(core argument)을 어순과 조사 부가(flagging)를 통해 구별한다. 아창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
줄 7: 줄 9:
  
  
-### (1) 아창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 (1) 아창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여 주어가 된다. 그 예는 다음과 같다. ​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줄 15: 줄 17:
 }}} }}}
  
-### (2) 피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는 문장에서는 어순변화로 인한 중의를 해결하기 위해 피행위자 조사 tə33이나 행위자 조사 xɑ33을 사용한다.+#### (2) 피행위자가 문두에 위치하는 문장에서는 어순변화로 인한 중의를 해결하기 위해 피행위자 조사 tə33이나 행위자 조사 xɑ33을 사용한다.
    
-####① 의미관계가 불명확한 경우 조사사용은 강제성을 가진다. ​+##### ① 의미관계가 불명확한 경우 조사사용은 강제성을 가진다. ​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줄 25: 줄 27:
 }}} }}}
  
-#### ② 중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피행위자 조사를 사용하거나 행위자 조사를 사용하여 피행위자나 행위자에 대한 강조를 표현할 수 있다. ​+##### ② 중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피행위자 조사를 사용하거나 행위자 조사를 사용하여 피행위자나 행위자에 대한 강조를 표현할 수 있다. ​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줄 33: 줄 35:
 }}} }}}
   
-####③ 행위자 조사와 피행위자 조사가 공기 가능하다.+##### ③ 행위자 조사와 피행위자 조사가 공기 가능하다.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줄 41: 줄 43:
 }}} }}}
  
-#### ④ 행위자 피행위자 관계가 명확한 환경에서 조사는 생략 가능하다. ​+##### ④ 행위자 피행위자 관계가 명확한 환경에서 조사는 생략 가능하다. ​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줄 49: 줄 51:
 }}} }}}
  
-#### ⑤ 행위자 생략의 경우 피행위자는 주어의 위치를 점하고 피행위자 조사의 출현은 자유롭다.+##### ⑤ 행위자 생략의 경우 피행위자는 주어의 위치를 점하고 피행위자 조사의 출현은 자유롭다.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z_+in33 n_+31~55sAi31 Ei?55    wA?​31pAN31 ​  ​t@33 ​ ts\E~31 ​ khut55 ​   k@u33] ​ [z_+in33 n_+31~55sAi31 Ei?55    wA?​31pAN31 ​  ​t@33 ​ ts\E~31 ​ khut55 ​   k@u33] ​
줄 58: 줄 60:
  
  
-## 2) 정렬(alignment)+### 2) 정렬(alignment)
 아창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사용한다. ​ 아창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사용한다. ​
 아래의 예문들에서 자동문의 주어와 타동문의 행위자 주어가 모두 어떤 표지를 취하지 않고 문두에 출현하였으며,​ 타동문의 피행위자 목적어는 피행위자 조사 tə33를 취했음을 볼 수 있다. ​       아래의 예문들에서 자동문의 주어와 타동문의 행위자 주어가 모두 어떤 표지를 취하지 않고 문두에 출현하였으며,​ 타동문의 피행위자 목적어는 피행위자 조사 tə33를 취했음을 볼 수 있다. ​      
doc/achang/4_ss/41_cl/cl_coreagr.153456867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8 14:04 저자 이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