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chang:4_ss:45_wo:45_wo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achang:4_ss:45_wo:45_wo [2016/02/22 16:55]
박은석
doc:achang:4_ss:45_wo:45_wo [2018/08/18 14:18] (현재)
이민
줄 1: 줄 1: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 # 45_wo :  어순 (word order, constituent order) ​
  
-► 아창어 어순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 ​     <​박은석>​  +아창어의 기본 어순은 SOV이다. ​ 
-아창어의 기본 어순은 SOV이다. 아창어는 기본적으로 SOV어순이지만,​ 언어 접촉으로 인해 SVO어순도 적지 않다. 똑같은 문장을 SOV, SVO로 표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내포문의 어순은 변하지 않는다. ​또한 ​SVO어순을 쓰는 구문에서는 피행위자 조사 tə33를 쓰지 않는다.  +아창어는 기본적으로 SOV어순이지만,​ 언어 접촉으로 인해 SVO어순도 적지 않다. 똑같은 문장을 SOV, SVO로 표현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내포문의 어순은 변하지 않는다. ​ 
-또한 ​아창어는 화제가 발달한 언어이므로 피행위자 목적어가 화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문두에 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SVO어순을 쓰는 구문에서는 피행위자 조사 tə33를 쓰지 않는다.  
 +아창어는 화제가 발달한 언어이므로 피행위자 목적어가 화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문두에 출현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줄 17: 줄 18:
 }}} }}}
  
-명사구 내의 어순을 살펴보았을 때 아창어의 고유 어순은 head-initial이라고 할 수 있으며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어순은 head-final이라고 할 수 있다. ​+명사구 내의 어순을 살펴보았을 때 아창어의 고유 어순은 head-initial이라고 할 수 있으며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어순은 head-final이라고 할 수 있다. ​
  
  
  
doc/achang/4_ss/45_wo/45_wo.145612774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2/22 16:55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