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chang:4_ss:46_val:46_va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achang:4_ss:46_val:46_val [2016/02/22 17:04]
박은석
doc:achang:4_ss:46_val:46_val [2018/08/18 14:18] (현재)
이민
줄 1: 줄 1: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 46_val :  valency, voice, diathesis-태 (diathesis-voice) ​
  
-► 추가태 (applicative) ​ 
- 
-아창어 자료에서 해당 사항을 찾지 못하였음. ​ 
- 
-► 사동 (causative) 
- 
-梁河아창어에서 사동태를 만드는 기제는 분석적(periphrastic)인 방법과 굴절적(inflectional)인 방법이 있다. 분석적인 방법은 사동태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문법 수단이다. 굴절적인 방법은 음성적인 변화로 실현하는데 주로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유기와 무기의 교체, 유성과 무성의 교체, 영성모와 무기마찰음의 교체이다. ​   
- 
-1) 형용사를 사동태로 만드는 방법 ​ 
- 
-형용사도 분석적인 방법과 굴절적인 방법을 통해서 사동 형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 
- 
-(1) 분석적인 방법. ​ 
- 
-형용사 앞에 khut31을 써서 만든다.  ​ 
-자동태 phu33  희다 ​         사동태 khut31phu33 ​ 희게 만들다. ​ 
- 
-(2) 굴절적인 방법. 
- 
-① 성모의 기식성(aspirated)으로 나타낸다. 무기 성모는 자동태를 나타내고 유기 성모는 사동태를 나타낸다. ​ 
-자동태 pəŋ31 ​ 가득 차다. ​  ​사동태 phəŋ31 ​ 가득 차게 하다. ​ 
- 
-② 비음 성모의 유성성/​무성성으로 나타낸다. 유성 비음 성모는 자동태를 나타내고 무성 비음 성모는 사동태를 나타낸다. ​ 
- 
-자동태 [n\uE31] 따뜻하다(유성,​ 자동) ​   ​ 
-사동태 [n\_0uE31] 따뜻하게 하다(무성,​ 사동) ​ 
- 
-2) 동사를 사동태로 만드는 방법 ​ 
- 
-(1) 분석적인 방법 
- 
-①사동 의미를 가진 동사를 자동사 앞뒤에 부가하여 만든다. 사동 의미 동사로는 ​ [ts\i31] ('​给,让'​), [sAi33] ('​使'​) ,​[khut31]/​[kAu33] ('​搞,弄'​), [s`AN31] ('​让'​) 
-을 들 수 있다. ​ 
- 
-(2) 굴절적인 방법 
-① 유기음과 무기음의 교체로 자동과 사동을 나타낸다. 파열음, 파찰음 성모가 무기음인 것은 자동을 나타내고,​ 유기음인 것은 사동을 나타낸다.  ​ 
-② 무성음과 유성음의 교체로 자동과 사동을 나타낸다. 비음과 변음에서 유성음인 것은 자동을 나타내고,​ 무성음인 것은 사동을 나타낸다.  ​ 
-③ 영성모와 무성마찰음의 교체로 자동과 사동을 나타낸다. 영성모는 자동을 나타내고 무성마찰음은 사동을 나타낸다. ​ 
- 
-(3) 분석적인 방법과 굴절적인 방법을 혼합하여 이중 사동을 만듦 
-    
-일부 동사는 굴절형과 분석형을 겸하여 이중 사동을 만들기도 한다. 
- 
-자동 용법: ​ 
- 
-{{{eg>​acha1249 (shijian2009:​0) 
-[tsu33~31wA31tsA33~35 ​ nAu31  x@u33] ​ 
-child                        cry      PFV  
-어린아이 ​          ​울다 ​ 완망상 조사 ​       ​ 
-어린아이가 울다. 
-}}} 
- 
-분석형 사동 용법: ​ 
- 
-{{{eg>​acha1249 (shijian2009:​0) 
-[tsu33~31wA31tsA33~35 ​ t@u33  NAu31 x@u33] 
-child                        tease     ​cry ​     PFV 
-어린아이 ​     놀리다 울다 완망상 조사 ​ 
-어린아이를 놀려서 울렸다. 
-}}} 
- 
-이중 사동 용법: ​ 
- 
-{{{eg>​acha1249 (shijian2009:​0) 
-[s`AN31 t@33 tsu33~31wA31 t@u33 NAu31 x@u33 s`AN33] ​ 
-3SG      OBj    child            tease   ​cry ​     PFV     PTCL 
-그 목적격 어린아이 놀리다 울다 완망상조사 사동첨사  ​ 
-그로 하여금 어린아이를 놀려서 울리게 하였다. ​ 
-}}} 
- 
- 
-► 역전 체계 (direct-inverse system 
- 
-아창어에는 해당사항 없음 ​ 
- 
-► 피동 (passive) 
- 
-梁河아창어 자료에서 해당사항을 찾지 못하였음. ​   ​ 
- 
-► 상호태 (reciprocal voice) 
- 
-아창어의 상호태는 상호 의미를 가진 동사에 상호 조사 kɑ33를 부가하여 구성한다. kɑ33는 kɑŋ33으로 변환되는 경우도 있다. ​ 
- 
-{{{eg>​acha1249 (shijian2009:​0) 
-[nAN33 ​ s`AN31 ​ t@33  tA31 tshAu33 ​ xA?​55] ​ 
-2SG      3SG        OBJ    NEG   ​swear ​     PTCL 
-너    그  목적격 부정 욕하다 어기사 ​         ​ 
-너 그에게 욕하지 말아라. ​ 
-}}} 
- 
-{{{eg>​acha1249 (shijian2009:​0) 
-[n\i31tuN33 ​ tA31  tshAu33 ​ kA33~31 ​    ​xA?​55] 
-2PL           ​NEG ​   swear     ​RECP ​         PTCL              
-너희들 ​  ​부정 ​  ​욕하다 상호조사 어기사 ​     ​ 
-너희들 싸우지 말아라. ​ 
-}}} 
- 
-► 재귀태 (reflexive voice) 
- 
-재귀대명사로 ɑ31thu35 ‘자기’가 있으며 앞의 “재귀대명사”부분에 서술하였다. 재귀태라고 볼 수 있는 설명은 아창어 참고자료에서 발견하지 못하였음. ​ 
doc/achang/4_ss/46_val/46_val.145612824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2/22 17:04 저자 박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