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achang:4_ss:51_neg:51_neg [2016/02/21 21:44] 127.0.0.1 바깥 편집 |
doc:achang:4_ss:51_neg:51_neg [2018/08/18 14:55] (현재) 이민 [ta31 “~지 마라”,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 줄 1: | 줄 1: | ||
| - | # 51_neg : 부정 (negation) | + | # 51_neg : 부정 (negation) |
| - | - 표준부정 | + | - 아창어는 부정부사(否定副词)를 부가하여 부정을 나타낸다. |
| - | - 부정소 | + | - 일반적인 부정은 부정부사 ‘n31/m31’를 동사나 형용사의 앞에 부가하여 나타내고, 강한 금지는 ta31를 동사 앞에 부가하여 나타낸다. ta31는 형용사 앞에 쓰일 수 없다. |
| - | - 대칭성 | + | |
| - | - 부정명령 | + | |
| + | #### n31/m31 “안/못” | ||
| - | 부정과 관련된 내용이 형태론 부분 등에서 나올 수 있음. 여기에서는 부정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모아서 기술. | + | - 동사나 형용사 앞에 쓰여 부정을 나타낸다. |
| + | - 한어의 ‘不/没'과 같은 구분이 없다. ('不'는 의지, 객관 사실, 현재 시제, 미래 시제에 쓰이고, '没'는 과거 시제에 쓰임.) | ||
| + | ##### 정도부사/범위부사+n31/m31+술어 | ||
| + | |||
| + | - 보통은 부정소가 구 전체에 걸쳐 약한 부정(부분 부정)을 나타내고, 강한 부정(전체 부정)은 한어에서 차용한 정도부사나 범위부사를 쓴다. | ||
| + | |||
| + | {{{eg>acha1249 (shijian2009:134) | ||
| + | [thuŋ33 n31 lɑʔ31~35] | ||
| + | all NEG go | ||
| + | 다 가는 것은 아니다. (고유어 부사) 不都去 | ||
| + | }}} | ||
| + | |||
| + | {{{eg>acha1249 (shijian2009:135) | ||
| + | tu33 n31 kə33~35 | ||
| + | all NEG go | ||
| + | 다 안 간다. (한어 차용 부사) 都不去 | ||
| + | }}} | ||
| + | |||
| + | |||
| + | ##### 이중부정 | ||
| + | |||
| + | - 부정소를 두 번 써서 긍정 의미를 강조한다. | ||
| + | |||
| + | {{{eg>acha1249 (shijian2009:135) | ||
| + | [NA33 n31 s\E31~35 n31 n_jE?55] | ||
| + | I NEG know NEG be | ||
| + | 나는 모르는 것이 아니다. (我不是不知道。) | ||
| + | }}} | ||
| + | |||
| + | ##### 일부 동사와 공기할 때 연음을 하면서 음(형식)은 사라지고 여러 가지 성조로 부정을 나타냄. | ||
| + | |||
| + | {{{eg>acha1249 (shijian2009:136) | ||
| + | [uN33 KAi33 Ei?55] | ||
| + | dare speak PTCL | ||
| + | 말할 수 있다. (말을 잘 한다. 能说) | ||
| + | }}} | ||
| + | |||
| + | {{{eg>acha1249 (shijian2009:136) | ||
| + | [uN33~35 kAi33] | ||
| + | cannot speak | ||
| + | 말할 수 없다. (不能说) | ||
| + | }}} | ||
| + | |||
| + | ##### 'm31+동사+ɛiʔ55'로 긍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 | |||
| + | {{{eg>acha1249 (shijian2009:136) | ||
| + | [m31~33 khut31~55 m31~33 khut31 Ei?55] | ||
| + | NEG do NEG do PTCL | ||
| + | 안하다. (不做) 하다 (能做) | ||
| + | }}} | ||
| + | |||
| + | - 통시적으로 'm31'이 먼저 있었고, 'n31'이 나중에 'm31'으로부터 발달한 형태이다. | ||
| + | |||
| + | #### ta31 “~지 마라”,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 | |||
| + | - 동사 앞에 쓰이며 형용사와 쓰일 수 없다. | ||
| + | |||
| + | {{{eg>acha1249 (shijian2009:135) | ||
| + | [nAN33 tA31 lA?31~35 xA?55!] | ||
| + | you NEG go PTCL | ||
| + | 넌 가지 마라! (你别去啊!)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