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achang:4_ss:51_neg:51_neg [2018/08/18 14:54] 이민 [정도부사/범위부사+n31/m31+술어] |
doc:achang:4_ss:51_neg:51_neg [2018/08/18 14:55] (현재) 이민 [ta31 “~지 마라”,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 줄 10: | 줄 10: | ||
| - 한어의 ‘不/没'과 같은 구분이 없다. ('不'는 의지, 객관 사실, 현재 시제, 미래 시제에 쓰이고, '没'는 과거 시제에 쓰임.) | - 한어의 ‘不/没'과 같은 구분이 없다. ('不'는 의지, 객관 사실, 현재 시제, 미래 시제에 쓰이고, '没'는 과거 시제에 쓰임.) | ||
| - | #### 정도부사/범위부사+n31/m31+술어 | + | ##### 정도부사/범위부사+n31/m31+술어 |
| - 보통은 부정소가 구 전체에 걸쳐 약한 부정(부분 부정)을 나타내고, 강한 부정(전체 부정)은 한어에서 차용한 정도부사나 범위부사를 쓴다. | - 보통은 부정소가 구 전체에 걸쳐 약한 부정(부분 부정)을 나타내고, 강한 부정(전체 부정)은 한어에서 차용한 정도부사나 범위부사를 쓴다. | ||
| 줄 26: | 줄 26: | ||
| }}} | }}} | ||
| - | #### 이중부정 | + | |
| + | ##### 이중부정 | ||
| - 부정소를 두 번 써서 긍정 의미를 강조한다. | - 부정소를 두 번 써서 긍정 의미를 강조한다. | ||
| 줄 35: | 줄 37: | ||
| }}} | }}} | ||
| - | #### 일부 동사와 공기할 때 연음을 하면서 음(형식)은 사라지고 여러 가지 성조로 부정을 나타냄. | + | ##### 일부 동사와 공기할 때 연음을 하면서 음(형식)은 사라지고 여러 가지 성조로 부정을 나타냄. |
| {{{eg>acha1249 (shijian2009:136) | {{{eg>acha1249 (shijian2009:136) | ||
| 줄 49: | 줄 51: | ||
| }}} | }}} | ||
| - | #### 'm31+동사+ɛiʔ55'로 긍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 'm31+동사+ɛiʔ55'로 긍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
| {{{eg>acha1249 (shijian2009:136) | {{{eg>acha1249 (shijian2009:136) | ||
| 줄 60: | 줄 62: | ||
| #### ta31 “~지 마라”,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 #### ta31 “~지 마라”, 명령문에 쓰여 '금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 | |||
| - 동사 앞에 쓰이며 형용사와 쓰일 수 없다. | - 동사 앞에 쓰이며 형용사와 쓰일 수 없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