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chang:6_cs:61_clink:61_clink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achang:6_cs:61_clink:61_clink [2016/02/22 17:43]
박성하
doc:achang:6_cs:61_clink:61_clink [2018/08/18 15:04] (현재)
이민
줄 1: 줄 1:
 # 61_clink :  접속 (clause linking) ​ # 61_clink :  접속 (clause linking) ​
  
-(1) 명사화구조의 병렬+### (1) 명사화구조의 병렬
  
-① 병렬성분 사이에는 접속사 [mA0?​55]/​[liE~31]/​[tA?​31] 가 올 수 있음 +###### ​병렬성분 사이에는 접속사 [mA0?​55]/​[liE~31]/​[tA?​31] 가 올 수 있다.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ts\A31 Ei?55 m0A?55 s`u?31 Ei?​55] ​(먹는 것과 마시는 것+[ts\A31 Ei?55 m0A?55 s`u?31 Ei?55] 
-먹다NOM ​ 와   ​마시다NOM ​+eat NOM  and   drink NOM 
 +먹는 것과 마시는 것 
 }}} }}}
  
-② 명사화구조와 의미의 결합이 비교적 긴밀한 경우, 접속사는 생략가능+###### ​명사화구조와 의미의 결합이 비교적 긴밀한 경우, 접속사는 생략가능하다.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A31phu3A31nA?31] (흰것과 ​검은 것) +[A31phu3 A31nA?31] 
-흰 것    ​검은 것+white    black 
 +흰것과 검은 것
 }}} }}}
  
-(2) 동사와 동사가 병렬된 것+### (2) 동사와 동사가 병렬된 것
  
-① [z\u33] ‘또(又)’,​ [z\E33] ‘또한(也)’,​ [XAN33/​p_jE~33] ‘~면서, …하다(边/​一边)’를 사용.+[z\u33] ‘또(又)’,​ [z\E33] ‘또한(也)’,​ [XAN33/​p_jE~33] ‘~면서, …하다(边/​一边)’를 사용한다.
  
 - [z`E33] 를 사용할 때는 동사의 바로 뒤에는 어기조사 [Ei?55] 이 온다. - [z`E33] 를 사용할 때는 동사의 바로 뒤에는 어기조사 [Ei?55] 이 온다.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pAi31 Ei?55 z\E33 tiAN31 Ei?​55]  ​(달리다 또 뛰다) +[pAi31 Ei?55 z\E33 tiAN31 Ei?55] 
-달리다 ​PTCL 또 뛰다 ​ PTCL+run PTCL again run  PTCL 
 +달리다 또 뛰다
 }}} }}}
  
-(3) 형용사와 형용사가 병렬된 것 +### (3) 형용사와 형용사가 병렬된 것 
  
-① [z\u33] ‘또(又)’,​ [z\E33] ‘또한(也)’를 사용+###### ​① [z\u33] ‘또(又)’,​ [z\E33] ‘또한(也)’를 사용한다
  
 - [z\u33]를 사용할 때는 형용사는 뒤에 조사 [Ei?55]가 온다. - [z\u33]를 사용할 때는 형용사는 뒤에 조사 [Ei?55]가 온다.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z\u33kM31z\u33n_jE33  (크고 붉다)    +[z\u33 kM31 z\u33 n_jE33] 
-또   ​크다 ​  ​또 ​   붉다+again big again red 
 +크고 붉다.
 }}} }}}
  
-② 이 밖에 양사와 수사 혹은 지시대사의 조합도 병렬구를 구성할 수 있+###### ​② 이 밖에 양사와 수사 혹은 지시대사의 조합도 병렬구를 구성할 수 있다.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줄 47: 줄 51:
 }}} }}}
  
-(4) 병렬구의 어순+### (4) 병렬구의 어순
  
-① 병렬구의 병렬성분의 선후순서는 일반적으로 음성원칙과 의미원칙에 제한을 받는다. ​+##### 병렬구의 병렬성분의 선후순서는 일반적으로 음성원칙과 의미원칙에 제한을 받는다. ​
  
 - 음성원칙:​ 모음의 혀위치의 높낮이와 전후의 모음조화의 제약을 받는다. 즉, 병렬의 두 개 음절중에 두 번째의 모음의 혀높이는 일반적으로 첫 번째 음절의 모음의 혀높이보다 낮다. - 음성원칙:​ 모음의 혀위치의 높낮이와 전후의 모음조화의 제약을 받는다. 즉, 병렬의 두 개 음절중에 두 번째의 모음의 혀높이는 일반적으로 첫 번째 음절의 모음의 혀높이보다 낮다.
줄 55: 줄 59:
 - 의미원칙:​ 병렬성분 중에 일반적으로 의미적으로 중요한 음절은 앞에, 그 다음 중요한 음절은 뒤에 놓인다. (즉, 대→소, 상→하, 강→약, 숫컷→암컷,​ 연장자→손아랫사람) - 의미원칙:​ 병렬성분 중에 일반적으로 의미적으로 중요한 음절은 앞에, 그 다음 중요한 음절은 뒤에 놓인다. (즉, 대→소, 상→하, 강→약, 숫컷→암컷,​ 연장자→손아랫사람)
  
-② 아창어의 병렬구의 어순유형은 아래의 3가지 유형이 있다. ​+##### 아창어의 병렬구의 어순유형은 아래의 3가지 유형이 있다. ​
  
-첫째, 음성규칙을 따르며 동시에 의미원칙에 부합+###### ​첫째, 음성규칙을 따르며 동시에 의미원칙에 부합한 경우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A31 k@33 A31 kAN31] ​     ​(좋고 나쁨) +[A31 k@33 A31 kAN31] ​    ​ 
-PREP 좋다 ​ PREP 나쁘다.+PREP like  ​PREP ​bad 
 +좋고 ​
 }}} }}}
  
-둘째, 음성규칙을 따르며, 의미원칙에 ​위배+###### ​둘째, 음성규칙을 따르며, 의미원칙에 ​어긋나는 경우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A31 th@35 A31 kA31]       (상하) +[A31 th@35 A31 kA31] 
-PREP 아래 ​PREP +PREP down PREP up 
 +상하
 }}} }}}
  
-셋째, 의미규칙을 따르며, 음성원칙에 ​위배+###### ​셋째, 의미규칙을 따르며, 음성원칙에 ​어긋나는 경우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A31 nA?31 A31 p_hu35] ​    (검고 희다) +[A31 nA?31 A31 p_hu35] 
-PREP  다 PREP 희다+PREP black PREP white 
 +고 희다.
 }}} }}}
  
-③ 일부 병렬구에는 비교적 특이한 두 개의 독음방식을 가지는 현상이 있는데, 이는 언어접촉에 의해 병렬성분이 음성, 의미규칙의 제약을 받은 현상이다.  ​+##### 일부 병렬구에는 비교적 특이한 두 개의 독음방식을 가지는 현상이 있는데, 이는 언어접촉에 의해 병렬성분이 음성, 의미규칙의 제약을 받은 현상이다.  ​
  
 {{{eg>​acha1249 (shijian2009:​0) {{{eg>​acha1249 (shijian2009:​0)
 [n_0A31k_hAN33 ​ n`_0a?​31ts\it31 ​  ​n`_0a?​31ts\it31 ​ n_0A31k_hAN33] [n_0A31k_hAN33 ​ n`_0a?​31ts\it31 ​  ​n`_0a?​31ts\it31 ​ n_0A31k_hAN33]
-코 눈 눈 코                             ​(눈과 코)+nose eye eye nose                             ​ 
 +눈과 코
 }}} }}}
doc/achang/6_cs/61_clink/61_clink.1456130624.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6/02/22 17:43 저자 박성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