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achang:6_cs:62_subr:subr_nmlz [2016/02/21 21:44] 127.0.0.1 바깥 편집 |
doc:achang:6_cs:62_subr:subr_nmlz [2018/08/18 16:06] (현재) 박성하 [첫째, 이 구조는 여전히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
|---|---|---|---|
| 줄 1: | 줄 1: | ||
| ## subr_nmlz : 명사화 (nominalization) / 명사절 (nominalized clause) | ## subr_nmlz : 명사화 (nominalization) / 명사절 (nominalized clause) | ||
| + | |||
| + | 아창어에서 용언성 성분(형용사, 동사)이 주어가 되려면 먼저 명사화 과정을 거치는데, 형용사의 명사화는 단음절 형용사의 명사화와 쌍음절 형용사의 명사화의 두 가지가 있다.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1) 단음절 형용사의 명사화 | ||
| + | |||
| + | ##### a. 접두사 ɑ31을 부가하는 경우. | ||
| + | |||
| + | - A31phu33 하양 | ||
| + | |||
| + | |||
| + | ##### b. 소유격 조사 Ei?55 /kA33 를 부가하는 경우. | ||
| + | |||
| + | - p_hu33Ei?55 하양 | ||
| + | |||
| + | |||
| + | #### 소유격 조사 Ei?55/kA33와는 다르게 접두사 ɑ31를 부가하는 경우는 형용사의 특징을 여전히 보유하고 있다. | ||
| + | |||
| + | |||
| + | ##### 첫째, 이 구조는 여전히 정도부사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 ||
| + | |||
| + | {{{eg>acha1249 (shijian2009:91) | ||
| + | [A31p_hu33 kAN31] | ||
| + | white very | ||
| + | 매우 희다. | ||
| + | }}} | ||
| + | |||
| + | ##### 둘째, 이 구조는 명사 중심어 뒤에서 관형어를 담당할 수 있는데 관형어 표지는 영형식을 취한다. | ||
| + | |||
| + | {{{eg>acha1249 (shijian2009:91) | ||
| + | [u31lu31 A31p_hu33] | ||
| + | fog white | ||
| + | 흰 안개 | ||
| + | }}} | ||
| + | |||
| + | ##### 셋째, 이 구조는 중첩을 통해서 정도의 심화를 나타낼 수 있다. 중첩형식은 주로 ABB식과 ABAB식이 있다. | ||
| + | |||
| + | - ABB식 (예: [A31p_hAu31p_hAu31]) | ||
| + | - ABAB식 (예: [A31p_hAu31A31p_hAu31]) | ||
| + | |||
| + | ### (2) 쌍음절 형용사의 명사화 : 뒤에 조사 [Ei?55/kA] 를 부가하여 만듦. | ||
| + | |||
| + | [liAN33 pA33 kA33] 아름다움. | ||
| + | |||
| + | ### (3) 아창어의 동사의 명사화 | ||
| + | |||
| + | ##### 1) 동사 명사화의 주요수단은 동사와 동사구의 뒤에 [Ei?55/kA33]를 부가 | ||
| + | |||
| + | [ts\A31] 먹다 → [ts\A31 Ei?35] 먹을 것 | ||
| + | |||
| + | |||
| + | ##### 2) 접두사 [A31]를 부가하는 것은 부차적인 명사화 수단 | ||
| + | |||
| + | [pAi31] 뛰다 → [A31 pAi31] 뛰는 것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