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doc:akhvakh:0_general:01_basic:01_basic [2018/11/04 17:44] 127.0.0.1 바깥 편집 |
doc:akhvakh:0_general:01_basic:01_basic [2019/06/24 07:05] (현재) 김희연 |
||
|---|---|---|---|
| 줄 1: | 줄 1: | ||
|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 01_basic : 기초 정보 (basic information) | ||
| + | |||
| + | |||
| + | ### 코드 | ||
| + | |||
| + | - glottocode : akhv1239 | ||
| + | - iso-639-3 : akv | ||
| + | - walscode : axv | ||
| + | |||
| + | ### 언어명 | ||
| + | |||
| + | - 영문 : Akhvakh language | ||
| + | - 한글 :아흐바흐어 | ||
| + | - 러시아어 : ахвахский язык | ||
| + | - 자칭 : Ашвалӏи мицӏцІи | ||
| + | |||
| + | ### 인구지리학적 정보 | ||
| + | |||
| + | - 사용인구 : 러시아내 대략 210명(2010년 자료)으로 나왔으나, 몇몇 학자들은 아제르바이잔에서 이 언어를 구사할수 있는 인구를 2천명, | ||
| + | 러시아내 구사자는 6,500명으로 본다. | ||
| + | - 사용지역 : 다게스탄의 카라타 행정구역의 중심 아크바흐지역 및 샤밀 지역 | ||
| + | - 사용국가 : 다게스탄 | ||
| + | - 국가명 | ||
| + | - 해당 국가에서의 지위 | ||
| + | - 공용어 여부 | ||
| + | - 사용인구 | ||
| + | |||
| + | ### 역사 | ||
| + | |||
| + | - 다게스탄의 아크바흐지역 및 샤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그 지역에서는 아바르어와 러시아어만 사용하다가 | ||
| + | 2000년도에 아흐바흐어 알파벳을 키릴 문자에 기반하여 철자가 만들어 짐. | ||
| + | - 그러나 철자의 사용범위는 넓지 않다. | ||
| + | - 2006년 아흐바흐어 신문발행 "Ахвахцы — Ашвадо" | ||
| + | - 2007년 아흐바흐-러시아어 사전 발행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