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akhvakh:2_wordclass:23_verb:23_verb [2019/06/24 08:19] 김희연 |
doc:akhvakh: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8/26 00:38] (현재) 김희연 |
||
|---|---|---|---|
| 줄 3: | 줄 3: | ||
| - 동사는 분류, 시제, 인칭, 법을 갖는다. | - 동사는 분류, 시제, 인칭, 법을 갖는다. | ||
| - | ### 동사의 어간의 몇가지 형태 (при спряжении следует учесть несколько типов глагольных основ) | + | ### 동사의 어간의 몇가지 형태 |
| + | |||
| + | - (при спряжении следует учесть несколько типов глагольных основ) | ||
| - 1) основы на р | - 1) основы на р | ||
| 줄 38: | 줄 40: | ||
| + | {{{lex>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вокъІ-ари : 왔었다 | - вокъІ-ари : 왔었다 | ||
| 줄 51: | 줄 54: | ||
| - къ-ани : 먹었다 | - къ-ани : 먹었다 | ||
| - тІ-ани : 던졌다 | - тІ-ани : 던졌다 | ||
| - | - икІкв-они : 넘기다 | + | - икІкв-они : 넘기다 |
| + | |||
| + | }}} | ||
| 줄 103: | 줄 108: | ||
| |PL|사물|1|рикьІваде (우리는 죽었다)| | |PL|사물|1|рикьІваде (우리는 죽었다)| | ||
| |PL|사물|2-3|рикьІвари (당신은, 그들은 죽었다)| | |PL|사물|2-3|рикьІвари (당신은, 그들은 죽었다)| | ||
| + | |||
| + | |||
| + | ### 법 | ||
| + | |||
| + | |||
| + | #### 명령법 | ||
| + | |||
| + | - 동사의 어간 + 접미사 –а ,-е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Къин-а | ||
| + | sew-IMP | ||
| + | 꿰매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къам-а | ||
| + | eat-IMP | ||
| + | 먹어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гьадахъ-е | ||
| + | listen-IMP | ||
| + | 들어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ВокъІ-е | ||
| + | Go-IMP | ||
| + | 가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법 | ||
| + | |||
| + | - 조건법 접미사 : -а-ла , -лъа-ла , -ча-ла, -ла-ссиге | ||
| + | - 접미사 , -лъа-ла , -ча-ла, -ла-ссиге 은 조건-예상의 정도, 조건-바램의 정도를 나타낸다.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bekova1966:346) | ||
| + | бекъІа-ла | ||
| + | arrive.2SG-COND | ||
| + | 만약에 너가 온다면(도착한다면, если придеш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원법 | ||
| + | |||
| + | |||
| + | - 기원법 접미사 : -кьа, -киа-хъ, -дали | ||
| + | |||
| + | - гьаригу-кьа : да увидится | ||
| + | - бекъІа-кьа : да достанется | ||
| + | |||
| + | - 접미사 –кьа 는 хъ 와 결합하여 명령을 부드럽게 하는 러시아어 조사 – ка 의 의미를 나타낸다.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bekova1966:346) | ||
| + | ехъа-кьа-хъ | ||
| + | loo-OPT-PTCL | ||
| + | (좀) 보려무나 | ||
| + | }}} | ||
| + | |||
| + | |||
| + | |||
| + | ### 동사의 부정사(infinitive) | ||
| + | |||
| + | - 접미사 -у, -о-рулІъа ( р 동사의 경우) | ||
| + | - 접미사 –у-о-нулІъа (н 동사의 경우) | ||
| + | - бекъІурулІъа : 오다 приходить | ||
| + | - къинирулІъа : 꿰매다 | ||
| + | - шонулІъа : 흔들다 | ||
| + | - михІонуІъа : 태우다. | ||
| + | - 구어체에서는 부정사를 –лІъа 또는 –рулІъа 형태 없이 짧게 줄여 말한다. | ||
| + | |||
| + | |||
| + | ### 분사 | ||
| + | |||
| + | ####현재 와 미래 | ||
| + | |||
| + | |||
| + | - 분사(형동사)의 현재와 미래는 차이가 없이 표지 –ида(-идабе, -едабе)(접미사) 로 나타낸다. | ||
| + | - 분사의 과거 표지 : -адабе | ||
| + | |||
| + | |||
| + | |||
| + | ### 부동사 | ||
| + | |||
| + | |||
| + | #### 부동사의현재 | ||
| + | |||
| + | |||
| + | - 표지(접미사) : -да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Чаре-да | ||
| + | clean-CVB | ||
| + | 청소하면서 | ||
| + | }}}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жаре-да | ||
| + | study-CVB | ||
| + | 공부하면서 | ||
| + | }}} | ||
| + | |||
| + | |||
| + | |||
| + | #### 부동사의 과거 | ||
| + | |||
| + | - 표지 : -гье, | ||
| + | - 1분류 부동사 과거 표지 : -гь-о | ||
| + | - 2-3분류, 사물 분류 복수 부동사 과거 표지 : -гь-е | ||
| + | - 사람 분류 복수 표지 : -гьи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къаме-гье | ||
| + | eat-PST.CVD | ||
| + | 먹고나서 | ||
| + | }}} | ||
| + | |||
| + | |||
| + | |||
| + | ### 부정(negation) | ||
| + | |||
| + | - 접사 : -ки, -лІъа | ||
| + | |||
| + | |||
| + | |||
| + | #### 부정의 시제 | ||
| + | |||
| + | |||
| + | - 현재와 미래는 형태의 차이가 없다. | ||
| + | - 접미사 –ки 로 나타낸다.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же-ки | ||
| + | read-NEG | ||
| + | 읽지 않는다, 읽지 않을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부정의 과거 | ||
| + | |||
| + | |||
| + | - 표지 : -лІъа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къе-лІъа | ||
| + | eat-NEG.PST | ||
| + | 먹지 않았다. | ||
| + | }}}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чаке-лІъа | ||
| + | sick-NEG.PST | ||
| + | 아프지 않았다 | ||
| + | }}} | ||
| + | |||
| + | |||
| + | |||
| + | #### 현재 부정 분사 | ||
| + | - 접미사 : -ка-бе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6) | ||
| + | мачи-ка-бе | ||
| + | tell-NEG-PST | ||
| + | 말하지 않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거 부정 분사 | ||
| + | |||
| + | - лІъа-бе | ||
| + | |||
| + | |||
| + | |||
| + | #### 명령법의 부정 | ||
| + | |||
| + | - 접미사 : -убе | ||
| + | |||
| + | |||
| + | |||
| + | {{{eg> akhv1239 (Magomedvekova1966:347) | ||
| + | Хъвар-убе | ||
| + | write-NEG.IMP | ||
| + | 쓰지 마라 | ||
| + | }}}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7) | ||
| + | Бех-убе | ||
| + | take-NEG.IMP | ||
| + | 가져가지 마라 | ||
| + | }}} | ||
| + | |||
| + | |||
| + | |||
| + | #### 조건법의 부정 | ||
| + | |||
| + | - 접미사 : -илІъа-ла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7) | ||
| + | хъвар-илІъала | ||
| + | write-NEG.ASSUM | ||
| + | 만약에 쓰지 않는다면 | ||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7) | ||
| + | же-илІъала | ||
| + | read-NEG.ASSUM | ||
| + | 만약에 읽지 않는다면 | ||
| + | }}} | ||
| + | |||
| + | |||
| + | #### 기원법의 부정 | ||
| + | |||
| + | - 접미사 : -лІъа-бе | ||
| + | |||
| + | |||
| + | |||
| + | {{{eg>akhv1239 (Magomedvekova1966:347) | ||
| + | бкъІи-лІабе | ||
| + | come-NEG.OPT | ||
| + | (да не придет) | ||
| + | }}} | ||
| + | |||
| + | |||
| + | |||
| + | ### 의문 | ||
| + | |||
| + | |||
| + | - 의문의 형태는 동사 어간 + –чи-, -ну, -лъуну 로 나타낸다. | ||
| + | - -чи- 는 의문문에만 사용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