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leut:0_general:01_basic:01_basic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doc:aleut:0_general:01_basic:01_basic [2020/06/12 01:49]
동영은
doc:aleut:0_general:01_basic:01_basic [2021/08/26 19:53] (현재)
동영은
줄 34: 줄 34:
 오늘날 알류트인들이 밀집해 있는 거주지로는 알류샨 열도(미국,​ 러시아), 프리빌로프 제도(미국),​ 코만도르스크 제도(러시아)가 있다. 오늘날 알류트인의 인구는 6천이 되지 않으며, 이 중 700여명이 러시아에,​ 약 5천명이 미국에 거주한다. (Golovko 1997:101) 오늘날 알류트인들이 밀집해 있는 거주지로는 알류샨 열도(미국,​ 러시아), 프리빌로프 제도(미국),​ 코만도르스크 제도(러시아)가 있다. 오늘날 알류트인의 인구는 6천이 되지 않으며, 이 중 700여명이 러시아에,​ 약 5천명이 미국에 거주한다. (Golovko 1997:101)
 러시아 1989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USSR 내에 702명 (러시아 644명); 알류트어 모국어화자 26.6%, 구사자 216명; 대부분 농경생활 / 미국 내 알류트인은 약 5천명이라고 하지만, 여기에는 알래스카 토착민족에게 제공되는 혜택을 받기 위해 스스로 알류트인이라 칭하는 인구도 포함되어있다. (Golovko 2001:71 재인용) 러시아 1989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USSR 내에 702명 (러시아 644명); 알류트어 모국어화자 26.6%, 구사자 216명; 대부분 농경생활 / 미국 내 알류트인은 약 5천명이라고 하지만, 여기에는 알래스카 토착민족에게 제공되는 혜택을 받기 위해 스스로 알류트인이라 칭하는 인구도 포함되어있다. (Golovko 2001:71 재인용)
 +
 +201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알류트인은 482명, 알류트어 화자는 45명이다.(http://​www.gks.ru/​free_doc/​new_site/​perepis2010/​perepis_itogi1612.htm)
 +
  
 ### 언어위상 ### 언어위상
줄 44: 줄 47:
 코만도르스크 제도에서는 1930년도에 알류트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철자책 조차 출판되지 못하고 실현되지 못했다. 코만도르스크 제도의 학교교육은 러시아어로 이루어지며 학교에서 알류트어의 사용은 엄격히 금지되어 오다가 80년대부터는 간혹 알류트어를 선택과목으로 도입하려는 시도를 보이기도 한다. 코만도르스크 제도에서는 1930년도에 알류트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나 철자책 조차 출판되지 못하고 실현되지 못했다. 코만도르스크 제도의 학교교육은 러시아어로 이루어지며 학교에서 알류트어의 사용은 엄격히 금지되어 오다가 80년대부터는 간혹 알류트어를 선택과목으로 도입하려는 시도를 보이기도 한다.
  
 +- Glottolog AES status: shifting
doc/aleut/0_general/01_basic/01_basic.159189415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06/12 01:49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