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aleut:2_wordclass:27_num:27_num [2018/11/30 15:37] 127.0.0.1 바깥 편집 |
doc:aleut:2_wordclass:27_num:27_num [2021/01/21 22:05] (현재) 동영은 |
||
|---|---|---|---|
| 줄 1: | 줄 1: | ||
| # 27_num : 수사 (numeral) | # 27_num : 수사 (numeral) | ||
| + | |||
| + | - 십진법을 쓰며 서수, 기수, 배분사가 있다 | ||
| + | - 집합수사는 없으며, 통사적으로 표현한다 (서수 + BE에서 유래한 조동사 ал) | ||
| + | |||
| + | {{{lex>aleu1260 (Menovshchikov1968:394) | ||
| + | |||
| + | - алах ал : 둘이서 | ||
| + | - ӄанкус ал : 셋이서 | ||
| + | |||
| + | }}} | ||
| + | |||
| + | ### 서수 | ||
| + | |||
| + | - 1~10과 100은 단순서수, 그 외의 수는 두 서수가 합쳐진 복합서수 형태를 지닌다. | ||
| + | - 11~19는 '10'의 관계격 + 수사 + сингахта '여분' | ||
| + | - 20, 30, 40..은 수사의 관계격 + 10 | ||
| + | - 21, 22, 23...은 20의 관계격 + 절대격 서수 + сигнахта | ||
| + | - 200, 300..은 сисаӽ '100) 활용 | ||
| + | |||
| + | {{{lex>aleu1260 (Menovshchikov1968:393) | ||
| + | |||
| + | - атакан : 1 | ||
| + | - алах : 2 | ||
| + | - ӄанкус : 3 | ||
| + | - сичин : 4 | ||
| + | - чаӈ : 5 | ||
| + | - атуӈ : 6 | ||
| + | - слуӈ : 7 | ||
| + | - ӄамчиӈ : 8 | ||
| + | - сичиӈ : 9 | ||
| + | - ʼатхиӽ : 10 | ||
| + | - ʼатхим атаӄан сигнахта : 11 | ||
| + | - ʼатхим сичин сигнахта : 14 | ||
| + | - ӄанкудин ʼатхиӽ : 30 | ||
| + | - ӄанкудим ʼатхим атаӄан сигнахта : 31 | ||
| + | - алах сисах : 200 | ||
| + | - ӄанкус сисас : 300 | ||
| + | |||
| + | }}} | ||
| + | |||
| + | {{{eg>aleu1260 (Menovshchikov1968:394) | ||
| + | Канкус анҕаҕина-с айга-на-с. | ||
| + | three person-PL go-PST-PL | ||
| + | 세 사람이 갔다 | ||
| + | }}} | ||
| + | |||
| + | ### 기수 | ||
| + | |||
| + | - '두번째' 부터는 서수 + ʼисиӽ | ||
| + | |||
| + | {{{lex>aleu1260 (Menovshchikov1968:394) | ||
| + | |||
| + | - итаӈиӽ : first | ||
| + | - алах ʼисиӽ : second | ||
| + | - канкус ʼисиӽ : third | ||
| + | |||
| + | }}} | ||
| + | |||
| + | ### 배분사 | ||
| + | |||
| + | - 기수 + ʼитал로 표현 | ||
| + | - атаӄан ʼитал : 하나씩 | ||
| + | - алах ʼитал : 둘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