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doc:amis: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supra [2019/12/09 22:53] 127.0.0.1 바깥 편집 |
doc:amis:1_phonology:15_phonproc:phonproc_supra [2020/08/26 12:48] (현재) 박은석 |
||
|---|---|---|---|
| 줄 1: | 줄 1: | ||
| ## phonproc_supra : 초분절요소와 관련된 음운과정 (suprasegmental process) | ## phonproc_supra : 초분절요소와 관련된 음운과정 (suprasegmental process) | ||
| + | #### 강세 | ||
| + | 아미어에서 강세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가장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 | ||
| + | |||
| + | 기존 단어의 어근이나 어간에 접사가 더해지게 되면 강세도 따라서 이동하는데, 예를 들어 접미사 -an, -en 등이 부가된 경우 강세는 접미사에 놓이게 된다. | ||
| + | |||
| + | 그러나 판정 의문문(Yes-No question)의 어조 변화 혹은 어기 강조에 맞추어서 강세가 끝에서 두번째 음절로 옮겨지는 경우도 있다. | ||
| + | |||
| + | 일반적으로 아미어의 서술어문 어조는 하강조이다. 그러나 판정 의문문인 경우 어조가 변화한다. | ||
| + | |||
| + | 마지막 단어의 끝에서 두번째 음절의 어조가 상승하고 가장 마지막 음절이 하강조에서 평조로 변화한다. 이 때 강세는 끝에서 두번째 음절로 이동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