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ndi:2_wordclass:22_noun:22_nou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andi:2_wordclass:22_noun:22_noun [2020/11/22 02:30]
동영은
doc:andi:2_wordclass:22_noun:22_noun [2020/12/21 18:57] (현재)
동영은
줄 165: 줄 165:
 {{{eg>​andi1255 (Cercvadze1966:​281) {{{eg>​andi1255 (Cercvadze1966:​281)
 иму-в-о ​            ​гьакъӀ-ид-о ​                ​воцци иму-в-о ​            ​гьакъӀ-ид-о ​                ​воцци
-father-G1-AFFEC see-PRS-1활용동사어미 ​     ​brother.NOM+father-G1-ERG.affective ​see-VC1.PRS-PRS      ​brother.NOM
 아버지가 형제를 본다 아버지가 형제를 본다
 }}} }}}
줄 171: 줄 171:
 {{{eg>​andi1255 (Cercvadze1966:​281) {{{eg>​andi1255 (Cercvadze1966:​281)
 иму-й-о ​            ​гьакъӀ-ид-о ​           йоцци иму-й-о ​            ​гьакъӀ-ид-о ​           йоцци
-father-G2-AFFEC see-PRS-1활용동사어미 ​sister.NOM+father-G2-ERG.affective ​see-VC1.PRS-PRS  ​sister.NOM
 아버지가 자매를 본다 아버지가 자매를 본다
 }}} }}}
 +
 +
 +- 위와 같은 용법으로 보건데 안디어는 주격(절대격)과 능격이 있는 능격언어이면서 지각동사가 비전형적 타동사로서 능격 주어 대신 affective case 주어가 쓰이고 사동문에서 피사동주에도 affective case가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타동사 중에서 지각동사에 쓰이는 특별한 능격이라는 의미에서 예문 안의 affective case는 ERG.affective로 분석하였다
  
 #### 격변화 #### 격변화
줄 261: 줄 264:
  
 ##### 복합 복수접미사 (Cercvadze1966:​282) ##### 복합 복수접미사 (Cercvadze1966:​282)
 +
 +- -м-ул
 +
 +###### 자음 б나 д가 포함된 복합 복수접미사 형태는 명사에만 사용
  
 - -б-ол, -иб-ол - -б-ол, -иб-ол
 - -б-ил, -об-ил - -б-ил, -об-ил
-- -м-ул 
 - -д-ул, -ад-ул, -од-ул - -д-ул, -ад-ул, -од-ул
 - -д-ил - -д-ил
줄 270: 줄 276:
 - -м-ад-ул,​ -иб-ад-ул - -м-ад-ул,​ -иб-ад-ул
 - -д-об-ил - -д-об-ил
- 
- 
-###### 자음 б나 д가 포함된 복합 복수접미사 형태는 명사에만 사용 
  
doc/andi/2_wordclass/22_noun/22_noun.160597985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1/22 02:30 저자 동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