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rchi:2_wordclass:23_verb:23_verb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archi:2_wordclass:23_verb:23_verb [2019/04/30 11:26]
최문정 [병립복문의 부동사]
doc:archi:2_wordclass:23_verb:23_verb [2019/06/10 14:15] (현재)
유현조
줄 8: 줄 8:
 ### 상 ### 상
  
-- 지속상DUR, 종상, 목적상, 가능상+- 지속상(durative), 종(terminative), 목적상(final), 가능상(potential)
 - 기본형 어간에서 불규칙적으로 만들어진다. - 기본형 어간에서 불규칙적으로 만들어진다.
  
줄 49: 줄 49:
 - 순수 어간에 가장 가깝다. - 순수 어간에 가장 가깝다.
  
-##### 금지법(прохибитив)+##### 금지법(prohibitive)
  
 - 형태적으로 명령법에 따르지 않고, 지속상(durative) 어간에 접미사 -di(-gi)를 붙여서 만든다. - 형태적으로 명령법에 따르지 않고, 지속상(durative) 어간에 접미사 -di(-gi)를 붙여서 만든다.
  
-##### 기원법(оптатив)+##### 기원법(optative)
  
-- 종착법?terminative 어간에 표지 -t”an을 붙여서 만든다. ​+- 종료상terminative 어간에 표지 -t”an을 붙여서 만든다. ​
 - 화자가 사건 X가 일어나기를 바라고 청자도 원한다고 생각한다. - 화자가 사건 X가 일어나기를 바라고 청자도 원한다고 생각한다.
  
줄 77: 줄 77:
 - 사건 X가  실제로 있었으나,​ 화자가 의심하는 경우 - 사건 X가  실제로 있었으나,​ 화자가 의심하는 경우
  
-##### 확정법(approbative)+##### 시인법(approbative)
  
 - -(l)di - -(l)di
-- 화자가 사건 X가 있었음을 알고, 이를 ​확정하는 경우+- 화자가 사건 X가 있었음을 알고, 이를 ​시인하는 경우 
  
-<​note>​ 
-#disqus @pjh 의심법, 접속법, 확정법 한국어 명칭 확인 부탁 드려요. terminative가 격이 아니라 서법의 명칭으로도 쓰이는지요?​ 종착법이라고 일단 적어놓았는데요. 
-</​note>​ 
  
 ### 증거성 범주(evidential)(тестификативные категории) ### 증거성 범주(evidential)(тестификативные категории)
  
-##### 불명확성+##### 불명확성(заглазность)
  
 - 화자(와 또는) 청자가 발화순간 전에 사건 X를 직접 보지 못했을 경우 - 화자(와 또는) 청자가 발화순간 전에 사건 X를 직접 보지 못했을 경우
 - -li  - -li 
  
-##### commentative. комментатив ​+##### quotative 
 + 
 +- kibric2003에 따르면 ​commentative. комментатив ​
  
 - 어떤 Y가 사건 X가 있었다고 말하는 경우. 이때 Y는 정형동사의 commentative 형태로 직접화법으로 표현된 사람 - 어떤 Y가 사건 X가 있었다고 말하는 경우. 이때 Y는 정형동사의 commentative 형태로 직접화법으로 표현된 사람
줄 99: 줄 99:
  
  
-{{{eg>​arch1244 (kibrik2003:118)+{{{eg>​arch1244 (kibrik2001:118)
  
 towmu inz# wirx0n-er towmu inz# wirx0n-er
-say.3SG ​that work.PST.000+say.3SG ​COMPZ work-PST.QUOT
 그는 그가 일했다고 말한다 그는 그가 일했다고 말한다
  
 }}} }}}
  
-##### admirative. адмиратив+##### 추론증거성 inferential evidentiality ​
  
 - 분석적으로 표현된다 - 분석적으로 표현된다
 - 누군가가 사건 X의 일부 또는 결과의 증인이 되는 경우 - 누군가가 사건 X의 일부 또는 결과의 증인이 되는 경우
 +- (ad)mirative. адмиратив의 의미도 함께 나타내는 경우가 많음
 +
  
-<​note>​ 
-#disqus @pjh 증거성 범주의 commentative,​ admirative 한국어로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note>​ 
  
 ### 태 ### 태
줄 123: 줄 122:
 ###### 불안정동사의 예 ###### 불안정동사의 예
  
-{{{lex>​arch1244 (kibrik2003:119)+{{{lex>​arch1244 (kibrik2001:119)
  
 - aqIas : 깨다, 깨지다 - aqIas : 깨다, 깨지다
줄 152: 줄 151:
 ###### 과거비완망상의 예 ###### 과거비완망상의 예
  
-{{{lex>​arch1244 (kibrik2003:119)+{{{lex>​arch1244 (kibrik2001:119)
  
 - ax : 멀다 - ax : 멀다
줄 165: 줄 164:
 - 이 그룹에는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에서는 형용사로 분류되는 서술어(predicate)도 포함된다. - 이 그룹에는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에서는 형용사로 분류되는 서술어(predicate)도 포함된다.
  
-{{{lex>​arch1244 (kibrik2003:119)+{{{lex>​arch1244 (kibrik2001:119)
  
 - mu : 아름답다 - mu : 아름답다
줄 175: 줄 174:
 ### 동사의 통사적 파생어 ### 동사의 통사적 파생어
  
-##### 동사파생명사사의 ​명사형 масдар+동사파생명사(동명사 масдар): -mul, -kul 
 +- 동사파생 부사: 부동사. 다양한 종속복문,​ 병립복문에 사용되는 수많은 형태가 있다. 
 +- 동사파생 형용사: 분사
  
-- -mul, -kul+### 부동사
  
-##### 부동사: 동사파생 부사 +#### 병립복문의 부동사
- +
-- 다양한 종속복문,​ 병립복문에 사용되는 수많은 형태가 있다. +
- +
-##### 분사 +
- +
-### 병립복문의 부동사+
  
 ##### 동시성(절대??​absolutive) ##### 동시성(절대??​absolutive)
줄 193: 줄 188:
 - 절대??의 한 그룹은 지속의 의미로 -mat를 붙여서 만들기도 한다. - 절대??의 한 그룹은 지속의 의미로 -mat를 붙여서 만들기도 한다.
  
-### 종속복문의 부동사+###### 동사 wirx0mus ‘일하다’의 병립 부동사 
 + 
 +| | durative | potentialis | finalis | terminative | 
 +| 긍정 | wirx’0in-s#​t | - | wirx0mus-s#​i | wirx0ni-li/​-na | 
 +| 부정 | - | wirx’0na’-t’u-s#​i | wirx0mus-t’u-s#​i | wirx0ni-t’aw | 
 + 
 + 
 +#### 종속복문의 부동사
  
 -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의 접속사와 똑같은 기능을 하는 ‘접속’ 부동사로 종속관계를 표현한다. -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들의 접속사와 똑같은 기능을 하는 ‘접속’ 부동사로 종속관계를 표현한다.
줄 215: 줄 217:
 - 동사의 상 형태는 매우 불규칙하다. 150개의 등록된 단순 동사에 50개 이상의 패러다임 유형이있다. - 동사의 상 형태는 매우 불규칙하다. 150개의 등록된 단순 동사에 50개 이상의 패러다임 유형이있다.
 - 동사의 패러다임은 매우 풍부하다. - 동사의 패러다임은 매우 풍부하다.
-- 분석적 동사형태와 모든 문법범주(내재범주-수,​ 동사파생 를 고려하면,​ 하나의 동사 어근에서 1백만 개가 넘는 형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 분석적 동사형태와 모든 문법범주(내재범주-수, 증거성범주, 동사의 파생어와 그 어형변화 가능성까지)를 고려하면,​ 하나의 동사 어근에서 1백만 개가 넘는 형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 
 + 
 +###### 동사 axas ‘눕다’의 활용 패러다임의 일부 
 + 
 +| | 긍정 | | | 부정 |  
 +| | 내재범주 I | II | III  | I | 
 +| 직설법 | |  | | | 
 +| constative | w-a!-r-xa-r | d-a!-r-xa-r | b-a!-r-xa-r | w-a!-r-xa-r-t’u | 
 +| presence | w-a!-r-xa-r-s#​i w-i | d-a!-r-xa-r-s#​i d-i | b-a!-r-xa-r-s#​i b-i | w-a!-r-xa-r-s#​i w-i-t’u | 
 +| imperfective | w-a!-r-xa-r-s#​i e!-w-di | d-a!-r-xa-r-s#​i e!-r-di | b-a!-r-xa-r-s#​i e!-b-di | w-a!-r-xa-r-s#​i e!-w-di-t’u | 
 +| 불명확 imperfective w-a!-r-xa-r-s#​i w-di-li | d-a!-r-xa-r-s#​i e!-r-di-li | b-a!-r-xa-r-s#​i e!-b-di-li | w-a!-r-xa-r-s#​i e!-w-di-li w-i!-t’u | 
 +| aorist | o!-w-x-u | a!-r-x-u | a!-b-x-u | o!-w-x-u-t’u | 
 +| 불명확 aorist | o!-w-x-u-li | a!-r-x-u-li | a!-b-x-u-li | o!-w-x-u-li w-i!-t’u | 
 +| perfect | o!-w-x-u-li-w-i | a!-r-x-u-li d-i | a!-b-x-u-li b-i | o!-w-x-u-li w-i!-t’u | 
 +| 미래 | o!-w-x-u-qi | a!-r-x-u-qi | a!-b-x-u-qi | o!-w-x-o’-t’u | 
 +| inceptive | o!-w-x-u-qi-s#​ w-i | a!-r-x-u-qi-s#​ d-i | a!-b-x-u-qi-s#​ b-i | o!-w-x-u-qi-s#​ w-i!-t’u | 
 +| infinitive | o!-w-xa-s | a!-r-xa-s | a!-b-xa-s | - | 
 +| debitive | o!-w-xa-s w-i | a!-r-xa-s d-i | a!-b-xa-s b-i | o!-w-xa-s w-i!-t’u | 
 +| 의문법 | |  | | | 
 +| constative | w-a!-r-xa-r-a | d-a!-r-xa-r-a | b-a!-r-xa-r-a | w-a!-r-xa-r-t’u-ra | 
 +| presence | w-a!-r-xa-r-s#​i w-i!-ra | d-a!-r-xa-r-s#​i d-i!-ra | b-a!-r-xa-r | w-a!-r-xa-r-t’u | 
 +| 명령법 | w-a!xa | d-a!xa | b-a!xa | - | 
 +| 금지법prohibitive | - | - | - | w-a!-r-xa-r-(di)-gi | 
 +| 의심법optative | o!-w-x-u-t’’an | a!-r-x-u-t’’an | a!-b-x-u-t’’an | o!-w-x-u-t’u-t’’an |
  
doc/archi/2_wordclass/23_verb/23_verb.155659120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4/30 11:26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