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rchi:2_wordclass:27_num:27_num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archi:2_wordclass:27_num:27_num [2019/03/18 11:18]
최문정
doc:archi:2_wordclass:27_num:27_num [2019/06/10 14:15] (현재)
유현조
줄 3: 줄 3:
 - 단순수사와 복합수사가 있다. ​ - 단순수사와 복합수사가 있다. ​
  
-###### 단순수사+#### 단순수사
  
-{{{lex>​archi1244 (kibrik2003:117)+{{{lex>​archi1244 (kibrik2001:117)
  
 - os :  1 - os :  1
줄 18: 줄 18:
 - wic’ : 10 - wic’ : 10
 - q’a : 20 - q’a : 20
-— l-ibi! : 30+l-ibi! : 30
 - buq’i! : 40 - buq’i! : 40
 - bux”i! : 50 - bux”i! : 50
줄 31: 줄 31:
  
 - 그 외의 수사는 모두 복합수사로 나타낸다. - 그 외의 수사는 모두 복합수사로 나타낸다.
-- 단순수사는 단수사(short form), 장수사(full form), ​부류형태(class form), 양의 두수를 세기 위한 형태가 있다. ​+- 단순수사는 단(short form), 장(full form), ​내재범주(class form), 양의 두수를 세기 위한 형태가 있다. ​
 - 양의 두수를 세기 위한 형태와 단수사 형태는 빨리 셀 때 사용된다. - 양의 두수를 세기 위한 형태와 단수사 형태는 빨리 셀 때 사용된다.
 - 부류형태는 수사와 명사가 결합할 때 사용된다. (이때 명사는 단수로 쓰고, 수사는 명사와 class가 일치된다.) - 부류형태는 수사와 명사가 결합할 때 사용된다. (이때 명사는 단수로 쓰고, 수사는 명사와 class가 일치된다.)
 - 단수사, 장수사, 부류형태는 복합수사를 표현하기 위해 쓰인다. - 단수사, 장수사, 부류형태는 복합수사를 표현하기 위해 쓰인다.
-- 20 x 1000 + 2 x 100 + 20 + 2. 곱하기는 바로 앞 단순수사의 단수사 형태, 더하기는 장수사 형태, 복합수사의 맨 마지막에 오는 것은 피수식 명사에 일치하는 부류형태이다.)+- 20 x 1000 + 2 x 100 + 20 + 2. 곱하기는 바로 앞 단순수사의 단수사 형태, 더하기는 장수사 형태, 복합수사의 맨 마지막에 오는 것은 피수식 명사에 일치하는 부류형태이다.
  
-{{{lex>​archi1244 (kibrik2003:117)+ 
 +{{{lex>​archi1244 (kibrik2001:117)
  
 - q’a : 20 (단수사) - q’a : 20 (단수사)
줄 46: 줄 47:
 }}} }}}
  
-{{{lex>​archi1244 (kibrik2003:117)+{{{eg>​archi1244 (kibrik2001:117)
  
 ebq’a-b-u qurus# ebq’a-b-u qurus#
-4.III ruble.PL.III +four.III ruble.PL.III 
-4 루블+4루블
  
 }}} }}}
  
-{{{eg>​archi1244 (kibrik2003:117)+ 
 +{{{eg>​archi1244 (kibrik2001:117)
  
 q’a iza!-t”ur qI’0e bos#’-o!r q’o-t”o!r qI’0e-b-u qurus# q’a iza!-t”ur qI’0e bos#’-o!r q’o-t”o!r qI’0e-b-u qurus#
줄 62: 줄 64:
 }}} }}}
  
 +#### 질적 수사 Qualitative numeral ​
  
 +- bos ‘말하다’,​ kes ‘되다’ 동사의 기본형을 써서 수량수사의 단수사 형태로 만든다.
 +- ~가지, ~개, ~번 등의 의미가 첨가된 수사
  
  
 +{{{eg>​archi1244 (kibrik2001:​118)
 +
 +qI’0e-bos
 +two-say
 +두 번째로서??,​ 두 번
 +
 +}}}
 +
 +#### 서수사
 +
 +- 질적 수사에 형용사화소ADJZ -t”u / -du: 를 붙여서 만든다.
 +
 +{{{eg>​archi1244 (kibrik2001:​118)
 +
 +qI’0e-bos-du-t
 +two.say.ADJZ
 +두 번째의
 +
 +}}}
 +
 +##### 수사의 명사화
 +
 +- 명사화는 치환conversion의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유추되는 명사류의 class는 유지된다. ​
 +- 명사화된 수사는 규칙에 맞게 곡용하며,​ 이때 -mu (class I) 또는 -mi(기타 class)로 끝나는 사격 어간이 사용된다.
 +
 +{{{eg>​archi1244 (kibrik2001:​118)
 +
 +qI’0e-t’-u ​
 +two.NOM.(IVclass)
 +
 +
 +}}}
 +
 +{{{eg>​archi1244 (kibrik2001:​118)
 +
 +qI’0et’u-mi-s ​
 +two.DAT.(IV)
 +둘(여격)
 +
 +}}}
 + 
  
doc/archi/2_wordclass/27_num/27_num.155287550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3/18 11:18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