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archi:2_wordclass:27_num:27_num [2019/06/10 09:48] 최문정 |
doc:archi:2_wordclass:27_num:27_num [2019/06/10 14:15] (현재) 유현조 |
||
|---|---|---|---|
| 줄 5: | 줄 5: | ||
| #### 단순수사 | #### 단순수사 | ||
| - | {{{lex>archi1244 (kibrik2003:117) | + | {{{lex>archi1244 (kibrik2001:117) |
| - os : 1 | - os : 1 | ||
| 줄 38: | 줄 38: | ||
| - | {{{lex>archi1244 (kibrik2003:117) | + | {{{lex>archi1244 (kibrik2001:117) |
| - q’a : 20 (단수사) | - q’a : 20 (단수사) | ||
| 줄 47: | 줄 47: | ||
| }}} | }}} | ||
| - | {{{eg>archi1244 (kibrik2003:117) | + | {{{eg>archi1244 (kibrik2001:117) |
| ebq’a-b-u qurus# | ebq’a-b-u qurus# | ||
| 줄 56: | 줄 56: | ||
| - | {{{eg>archi1244 (kibrik2003:117) | + | {{{eg>archi1244 (kibrik2001:117) |
| q’a iza!-t”ur qI’0e bos#’-o!r q’o-t”o!r qI’0e-b-u qurus# | q’a iza!-t”ur qI’0e bos#’-o!r q’o-t”o!r qI’0e-b-u qurus# | ||
| 줄 69: | 줄 69: | ||
| - ~가지, ~개, ~번 등의 의미가 첨가된 수사 | - ~가지, ~개, ~번 등의 의미가 첨가된 수사 | ||
| - | <note> | ||
| - | #disqus @pjh | ||
| - | (1) qualitative / quantitative numeral 한국어 대응어 - 질적 수사, 양적 수사 | ||
| - | (2) 수사의 short form, full form 한국어 대응어 | ||
| - | </note> | ||
| - | + | {{{eg>archi1244 (kibrik2001:118) | |
| - | {{{eg>archi1244 (kibrik2003:118) | + | |
| qI’0e-bos | qI’0e-bos | ||
| 줄 88: | 줄 82: | ||
| - 질적 수사에 형용사화소ADJZ -t”u / -du: 를 붙여서 만든다. | - 질적 수사에 형용사화소ADJZ -t”u / -du: 를 붙여서 만든다. | ||
| - | {{{eg>archi1244 (kibrik2003:118) | + | {{{eg>archi1244 (kibrik2001:118) |
| qI’0e-bos-du-t | qI’0e-bos-du-t | ||
| 줄 101: | 줄 95: | ||
| - 명사화된 수사는 규칙에 맞게 곡용하며, 이때 -mu (class I) 또는 -mi(기타 class)로 끝나는 사격 어간이 사용된다. | - 명사화된 수사는 규칙에 맞게 곡용하며, 이때 -mu (class I) 또는 -mi(기타 class)로 끝나는 사격 어간이 사용된다. | ||
| - | {{{eg>archi1244 (kibrik2003:118) | + | {{{eg>archi1244 (kibrik2001:118) |
| qI’0e-t’-u | qI’0e-t’-u | ||
| 줄 109: | 줄 103: | ||
| }}} | }}} | ||
| - | {{{eg>archi1244 (kibrik2003:118) | + | {{{eg>archi1244 (kibrik2001:118) |
| qI’0et’u-mi-s | qI’0et’u-mi-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