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archi:4_ss:41_cl:41_c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archi:4_ss:41_cl:41_cl [2019/05/19 08:17]
최문정
doc:archi:4_ss:41_cl:41_cl [2019/06/10 14:15] (현재)
유현조
줄 10: 줄 10:
 ##### 일항동사(одноместные глаголы):​ 행위소는 하나이며,​ 대개 주격으로 표현된다. ​ ##### 일항동사(одноместные глаголы):​ 행위소는 하나이며,​ 대개 주격으로 표현된다. ​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bej : 늙다 ​ - bej : 늙다 ​
줄 21: 줄 21:
 - исторический фактитив가 주격으로 포함된 복합동사сложные глаголы는 유일한 행위소를 능격으로 표현한다. - исторический фактитив가 주격으로 포함된 복합동사сложные глаголы는 유일한 행위소를 능격으로 표현한다.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dunil as : 살다 (글자그대로 옮기면: ‘세상을 만들다’) ​ - dunil as : 살다 (글자그대로 옮기면: ‘세상을 만들다’) ​
줄 33: 줄 33:
 ###### 행동주(능격) + 피동주(주격) ###### 행동주(능격) + 피동주(주격)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as : 만들다 (누가? - 능격, 무엇을? - 주격) ​ - as : 만들다 (누가? - 능격, 무엇을? - 주격) ​
줄 43: 줄 43:
 ###### a) 경험주(experiencer)(여격) + 피동주(주격) ###### a) 경험주(experiencer)(여격) + 피동주(주격)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L’an : 원하다 (누가? - 여격, 무엇을? - 주격) ​ - L’an : 원하다 (누가? - 여격, 무엇을? - 주격) ​
줄 52: 줄 52:
 - b) 피동주(주격) + 완료(completive)(사격. 단, 능격/​여격 제외) - b) 피동주(주격) + 완료(completive)(사격. 단, 능격/​여격 제외)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k’olma : 따로 있다 (무엇이? - 주격, 무엇으로부터?​ - superelative) ​ - k’olma : 따로 있다 (무엇이? - 주격, 무엇으로부터?​ - superelative) ​
줄 60: 줄 60:
 - c) 행동주(주격) + 완료(사격) - c) 행동주(주격) + 완료(사격)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sak’’as : 보다 (누가? - 주격, 무엇을? - 상격superlative) ​ - sak’’as : 보다 (누가? - 주격, 무엇을? - 상격superlative) ​
줄 68: 줄 68:
 - d) 경험주(주격) + 완료(사격) - d) 경험주(주격) + 완료(사격)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wix : 믿다 (누가? - 주격, 무엇을? - superessive) ​ - wix : 믿다 (누가? - 주격, 무엇을? - superessive) ​
줄 76: 줄 76:
 - e) 행동주(능격) + 수혜자(recipient)(여격) - e) 행동주(능격) + 수혜자(recipient)(여격)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pal ac#as : 점치다 (누가? - 능격, 누구에게?​ - 여격) ​ - pal ac#as : 점치다 (누가? - 능격, 누구에게?​ - 여격) ​
줄 86: 줄 86:
 - a) 행동주(능격) + 피동주(주격) + 완료(사격) - a) 행동주(능격) + 피동주(주격) + 완료(사격)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aq’’as : 남기다 (누가? - 능격, 무엇을? - 주격, 누구에게?​(완료) ​ - aq’’as : 남기다 (누가? - 능격, 무엇을? - 주격, 누구에게?​(완료) ​
줄 94: 줄 94:
 - b) 행동주(능격) + 피동주(주격) + 수혜자(여격) - b) 행동주(능격) + 피동주(주격) + 수혜자(여격)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Los : 주다 (누가? - 능격, 무엇을? - 주격, 누구에게?​ - 여격) ​ - Los : 주다 (누가? - 능격, 무엇을? - 주격, 누구에게?​ - 여격) ​
줄 102: 줄 102:
 - c) 행동주(능격) + 피동주(주격) + 도구(능격) - c) 행동주(능격) + 피동주(주격) + 도구(능격)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ja’xIas : 파다 (누가? - 능격, 무엇을? - 주격, 무엇으로?​ - 능격) ​ - ja’xIas : 파다 (누가? - 능격, 무엇을? - 주격, 무엇으로?​ - 능격) ​
줄 113: 줄 113:
 - 동사는 주격 명사류(동사의 행위소 또는 복합동사의 명사부분)에 일치한다. - 동사는 주격 명사류(동사의 행위소 또는 복합동사의 명사부분)에 일치한다.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dogi xa-b-t’’is#​i b-i dogi xa-b-t’’is#​i b-i
줄 121: 줄 121:
 }}} }}}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lat’’is#​ej-b-u gidib xalq’li tama’’s#​a b-us#​’urs#​i b-i lat’’is#​ej-b-u gidib xalq’li tama’’s#​a b-us#​’urs#​i b-i
-we.SUPEREL this people.ERG be.surprised.III+we.SUPEREL this people.ERG be.surprised.III ​see us
 이 사람들은 우리를 보고 놀란다 이 사람들은 우리를 보고 놀란다
  
줄 132: 줄 132:
 - (형태적으로 가능하다면) 피수식어에 대해 수와 내재범주에 일치한다. - (형태적으로 가능하다면) 피수식어에 대해 수와 내재범주에 일치한다.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mut’’u < *mut’’u-w bos#or : 아름다운(I) 남편 - mut’’u < *mut’’u-w bos#or : 아름다운(I) 남편
줄 139: 줄 139:
 }}} }}}
  
-{{{lex>​arch1244 (kibrik2003:121)+{{{lex>​arch1244 (kibrik2001:121)
  
 - w-is dija : 나의(GEN.I) 아버지 - w-is dija : 나의(GEN.I) 아버지
줄 151: 줄 151: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jab biR0Idub c#’ele bi jab biR0Idub c#’ele bi
줄 159: 줄 159:
 }}} }}}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jat is noL jat is noL
줄 173: 줄 173:
 - 동사의 의문형으로 표현된다. - 동사의 의문형으로 표현된다.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un kummul kummus L’an-a? un kummul kummus L’an-a?
-you eat want.Q+you eat want.Q ​UNK
 너는 먹기를 원하니? 너는 먹기를 원하니?
  
줄 187: 줄 187:
 - 질문의 초점인 단어가 맨 처음에 오고, 상승억양이 되며, 그 뒤에 술어, 그 다음에 의문대명사 hani가 온다. - 질문의 초점인 단어가 맨 처음에 오고, 상승억양이 되며, 그 뒤에 술어, 그 다음에 의문대명사 hani가 온다.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l-’’anna barsar hani godob barsargat’ iqlaw? l-’’anna barsar hani godob barsargat’ iqlaw?
줄 195: 줄 195:
 }}} }}}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iqlaw barsar hani godor l-’’anna godob barsargat’?​ iqlaw barsar hani godor l-’’anna godob barsargat’?​
줄 208: 줄 208:
 - 의문대명사는 문장 내에서 다양한 통사적 위치에 놓인다. - 의문대명사는 문장 내에서 다양한 통사적 위치에 놓인다.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un l-’’axur doIz? un l-’’axur doIz?
줄 216: 줄 216:
 }}} }}}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basa wis# dija q’arq’ajs#​ weIqi? basa wis# dija q’arq’ajs#​ weIqi?
줄 230: 줄 230:
 - 종속절의 술어와 주절의 술어 간의 종속관계는 종속 술어에 형태론적으로 표현된다. 즉, 통사적 파생을 통해 표현된다. - 종속절의 술어와 주절의 술어 간의 종속관계는 종속 술어에 형태론적으로 표현된다. 즉, 통사적 파생을 통해 표현된다.
 - 술어-논항 구조의 다른 모든 요소들은 변하지 않는다 (명사구именные группы의 кореферентность의 표현방법 사용은 예외) - 술어-논항 구조의 다른 모든 요소들은 변하지 않는다 (명사구именные группы의 кореферентность의 표현방법 사용은 예외)
-- 술어의 병립은 절대격??(absolutive)으로 표현된다(동시,​ 지속 부동사).  +- 술어의 병립은 절대분사(absolute)으로 표현된다(동시,​ 지속 부동사).  
-- 다양한 행위소가 있는 부가어 종속관계는 종속절 술어에 나타나는데,​ 동사의 ​명사(masdar), 부정형(infinitive),​ 접속부동사??​(союзные деепричастия)의 형태로 표현된다. ​+- 다양한 행위소가 있는 부가어 종속관계는 종속절 술어에 나타나는데,​ 동명사(masdar),​ 부정형(infinitive),​ 접속부동사??​(союзные деепричастия)의 형태로 표현된다. ​
 - 명사류와 술어 사이의 수식관계는 분사로 나타낸다. ​ - 명사류와 술어 사이의 수식관계는 분사로 나타낸다. ​
 +- 분사는 접두사와 접요사를 통해서 분사구문의 factitive와 일치하고,​ 접미사를 통해서 피수식 명사에 일치한다.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tow t’ank’ar-s#​i wer-qIars#i wi tow t’ank’ar-s#​i wer-qIars#i wi
-he bounc.PTCP.ABS go.3SG 0+he bounce-PTCP.ABS go-3SG 0
 그는 깡총깡총 뛰면서 간다 그는 깡총깡총 뛰면서 간다
  
 }}} }}}
  
-<​note>​ 
-#disqus @pjh абсолютив absolutive 한국어 용어와 주석약호 
-</​note>​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wez sini un wirx’0in-kul ​ wez sini un wirx’0in-kul ​
줄 255: 줄 253:
 }}} }}}
  
-<​note>​ 
-#disqus @pjh масдар masdar 한국어 용어와 주석약호 
-</​note>​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wez sini un wirx’0in-kul ​ wez sini un wirx’0in-kul ​
-I know you.NOM work.masdar+I know you.NOM work
 나는 네가 일하는 것을 안다 나는 네가 일하는 것을 안다
  
 }}} }}}
  
-- 위 예문의 특징은, masdar의 행위소가 자신의 격, 즉 주격을 유지한다는 점이다.+- 위 예문의 특징은, ​동명사(masdar)의 행위소가 자신의 격, 즉 주격을 유지한다는 점이다.
  
-{{{eg>​arch1244 (kibrik2003:121)+{{{eg>​arch1244 (kibrik2001:121)
  
-waz L’am-ma-s#​i ​l-’’sini un wirx’0in-kul ​ +waz L’am-ma-s#​i ​uqIa  
-I know you.NOM work.masdar +go you want 
-는 +네가 원하는 곳으로(장소 부동사) 가라
  
 }}} }}}
 +
 +{{{eg>​arch1244 (kibrik2001:​121)
 +
 +l-’’enne a-b-c#​’u-t’’u-b c#’ut
 +water jar.III filled.PTCL.III
 +물로 채워진 단지
 +
 +}}}
 +
 +
 +{{{eg>​arch1244 (kibrik2001:​121)
 +
 +l-’’enne c#’ut a-b-c#​’u-t’’u-r l-’’onnol ​
 +water jar.NOM.III fill.III.II woman  ​
 +물로 단지를 채운 여자
 +
 +}}}
 +
  
doc/archi/4_ss/41_cl/41_cl.1558221439.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5/19 08:17 저자 최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