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avar:1_phonology:11_cons:11_cons [2021/08/26 18:28] 동영은 |
doc:avar:1_phonology:11_cons:11_cons [2021/08/26 21:43] (현재) 동영은 |
||
|---|---|---|---|
| 줄 2: | 줄 2: | ||
| - | - fricatives와 affricates에서의 장단대립이 특징적인 44개(Alekseev2001)/45개(Alekseev_et_al2012) 자음음소 | + | - fricatives와 affricates에서의 장단대립(또는 fortis-lenis 대립)이 특징적인 44개(Alekseev2001)/45개(Alekseev_et_al2012) 자음음소 |
| - | - voiceless obstruents와 affricates는 (예컨데 Lezgic languages에 비해서 그 정도는 약하지만) 기식음 | + | - voiceless plosives와 affricates는 (예컨데 Lezgic languages에 비해서 그 정도는 약하지만) 기식음이다 |
| - | - 최근의 차용어에는 ф 사용 | + | - 최근의 차용어에는 ф도 사용한다 |
| #### 아바르어 45개 자음음소(Alekseev_et_al2012:31) | #### 아바르어 45개 자음음소(Alekseev_et_al2012:31) | ||
| - | ^ 조음위치 ^ 조음방법 ^ 음소 ^ | + | ^ 조음위치 ^ 조음방법 ^ 음소 ^ ipa ^ |
| - | | labial | plosive |б| | + | | labial | plosive |б п (пӀ)| p b ([p_>]) | |
| - | | labial | plosive |п| | + | | labial | nasal |м| m | |
| - | | labial | plosive |(пӀ)| | + | | labial | fricative |в| v | |
| - | | labial | nasal |м| | + | | dental | plosive |д т тӀ| d t [t_>] | |
| - | | labial | fricative |в| | + | | dental | affricate |ц цц цӀ цӀцӀ| ts tsts [ts_>] [ts_>ts_>] | |
| - | | dental | plosive |д| | + | | dental | nasal |н| n | |
| - | | dental | plosive |т| | + | | dental | fricative |з с сс| z s ss | |
| - | | dental | plosive |тӀ| | + | | alveolar | affricate |ч чч чӀ чӀчӀ| t̠ʃ t̠ʃt̠ʃ [t̠ʃ_>] [t̠ʃ_>t̠ʃ_>] | |
| - | | dental | affricate |ц| | + | | alveolar | fricative | ж ш шш| ʒ ʃ ʃʃ | |
| - | | dental | affricate |цц| | + | | alveolar | trill |р| r | |
| - | | dental | affricate |цӀ| | + | | post-alveolar | affricate |лӀ кь | tɬ [tɬ_>] | |
| - | | dental | affricate |цӀцӀ| | + | | post-alveolar | fricative |лъ лълъ| ɬ ɬɬ ] |
| - | | dental | nasal |н| | + | | post-alveolar | approximant |л| l | |
| - | | dental | fricative |з| | + | | palatal | approximant |й| j | |
| - | | dental | fricative |с| | + | | velar | plosive |г к кӀ| g k [k_>] | |
| - | | dental | fricative |сс| | + | | velar | affricate |кк кӀкӀ| kk [k_>k_>] | |
| - | | alveolar | affricate |ч| | + | | velar | fricative |хь| x | |
| - | | alveolar | affricate |чч| | + | | uvular | affricate |хъ къ| qχ [qχ_>] | |
| - | | alveolar | affricate |чӀ| | + | | uvular | fricate |гъ х хх| ʁ χ χχ | |
| - | | alveolar | affricate |чӀчӀ| | + | | pharyngeal | fricate |гӀ хӀ| ʕ ħ | |
| - | | alveolar | fricate |ж| | + | | glottal | plosive |ъ| ʔ | |
| - | | alveolar | fricative |ш| | + | | glottal | fricate |гь| h | |
| - | | alveolar | fricative |шш| | + | |
| - | | alveolar | trill |р| | + | |
| - | | lateral | affricate |лӀ| | + | |
| - | | lateral | affricate |кь| | + | |
| - | | lateral | fricative |лъ| | + | |
| - | | lateral | fricative |лълъ| | + | |
| - | | lateral | lateral |л| | + | |
| - | | dorsal | approximant |й| | + | |
| - | | velar | plosive |г| | + | |
| - | | velar | plosive |к| | + | |
| - | | velar | plosive |кӀ| | + | |
| - | | velar | affricate |кк| | + | |
| - | | velar | affricate |кӀкӀ| | + | |
| - | | velar | fricative |хь| | + | |
| - | | uvular | affricate |хъ| | + | |
| - | | uvular | affricate |къ| | + | |
| - | | uvular | fricate |гъ| | + | |
| - | | uvular | fricate |х| | + | |
| - | | uvular | fricate |хх| | + | |
| - | | pharyngeal | fricate |гӀ| | + | |
| - | | pharyngeal | fricate |хӀ| | + | |
| - | | laryngeal | plosive |ъ| | + | |
| - | | laryngeal | fricate |гь| | + | |
| - | - цц, цӀцӀ, сс, чч, чӀчӀ, шш 등과 같이 두 번 쓰인 자음은 intensive 를 의미한다. Alekseev&Ataev(1997:35)은 자음 뒤에 ф를 붙여서 цф, цфӀ, сф, чф, чфӀ, шф등과 같이 적었고, Alekseev(1998:205)는 자음을 대문자로 쓰거나 (2001:29)에는 자음 위에 줄을 그어서 intensive 자질을 표기하였다. 위의 표와 같이 자음을 두 번 적는 것은 Madieva(1966:257)의 방식이다. | + | - цц, цӀцӀ, сс, чч, чӀчӀ, шш 등과 같이 두 번 쓰인 자음은 intensive 를 의미한다. Alekseev&Ataev(1997:35)은 자음 뒤에 ф를 붙여서 цф, цфӀ, сф, чф, чфӀ, шф등과 같이 적었고, Alekseev(1998:205)는 자음을 대문자로 쓰거나 (2001:29)에는 자음 위에 줄을 그어서 intensive 자질을 표기하였다. 위의 표와 같이 자음을 두 번 적는 것은 Alekseev et al (2012:31), Madieva(1966:257) 등의 방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