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1_phonology:12_vowel:12_vowe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bai:1_phonology:12_vowel:12_vowel [2017/08/22 17:16]
서취아
doc:bai:1_phonology:12_vowel:12_vowel [2018/08/18 13:06] (현재)
유현조
줄 1: 줄 1:
 # 12_vowel :  모음 (vowel) 100% # 12_vowel :  모음 (vowel) 100%
  
-白語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음. ​+바이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음. ​
  
 | 고저 ​    | 전후 ​   | 원순 ​    ​|음소| | 고저 ​    | 전후 ​   | 원순 ​    ​|음소|
줄 27: 줄 27:
 -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는 원래 비음 운미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비음 운미들은 劍川 방언에서 비모음을 통해서 반영되고 있고, 大理방언에는 비모음이 없음. 따라서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의 운미는 나중에 사라졌음. 怒江 방언에 비모음을 가지고 있지만 최근의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들에도 비음 운미가 남아 있지 않음. -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는 원래 비음 운미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러한 비음 운미들은 劍川 방언에서 비모음을 통해서 반영되고 있고, 大理방언에는 비모음이 없음. 따라서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의 운미는 나중에 사라졌음. 怒江 방언에 비모음을 가지고 있지만 최근의 중국어로부터의 차용어들에도 비음 운미가 남아 있지 않음.
  
-大理 방언 속한 ​趙庄白語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大理 방언 속한 ​자오좡바이어의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
 | 고저 ​       | 전후 ​    | 원순 ​        | 음소 ​  | | 고저 ​       | 전후 ​    | 원순 ​        | 음소 ​  |
 | high      | front  | unrounded ​ | i ɿ  | | high      | front  | unrounded ​ | i ɿ  |
doc/bai/1_phonology/12_vowel/12_vowel.150338980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8/22 17:16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