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bai: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2017/05/25 15:25]
서취아
doc:bai: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 [2021/01/22 20:37] (현재)
서취아 [③ xɔ⁵⁵< xɯ⁵⁵ɔ⁴⁴ (PFV+3SG.PAT)]
줄 1: 줄 1: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 15_phonproc :  음운과정 (phonological process) ​100%
  
-##(1) 모음 동화+###(1)자오좡바이어의 ​모음 동화
  
 - 앞 음절의 모음이 뒤 음절 모음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 것이 일반적인 경우임. ​ - 앞 음절의 모음이 뒤 음절 모음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 것이 일반적인 경우임. ​
  
-예: tɕy³³(입)ui³³(눈) > tɕo³³ui³³ ‘얼굴’ ; tsi³³(子)mɯ⁴⁴(母) > tsɯ³³mɯ⁴⁴ ​ ‘母子’ ​+  ​예: tɕy³³(입)ui³³(눈) > tɕo³³ui³³ ‘얼굴’ ; tsi³³(子)mɯ⁴⁴(母) > tsɯ³³mɯ⁴⁴ ​ ‘母子’ ​ 
 + 
 +###(2) 자오좡바이어의 합음(合音) 
 + 
 +- 두 개 혹은 두 개 이상의 음절이 하나의 음절로 合音하는 현상을 말함. 
 + 
 +{{{eg>​baic1239 (zhaoyanzhen2012:​23) 
 +kɯ⁴⁴ ɔ⁴⁴ → kɔ⁴⁴ 
 +give 3SG.PAT → give.3SG.PAT 
 +그에게 준다. 
 +}}} 
 + 
 +####1) 합음(合音)이 일어나는 환경: 
 + 
 +- 상 표지 xɯ⁵⁵와 전치사 xɯ⁵⁵, 부사 xɯ⁴⁴, 방향 보어 ɣɯ³⁵/​ʑɯ³⁵ ‘오다’ 등 문법 형태소가 종종 뒤의 음절과 합음. 
 + 
 +- 접속사 ​ ȵi⁵⁵, 3인칭 대명사의 여격 형식인 ɔ⁴⁴/​ɔ⁵⁵,​ 의문조사 a⁵⁵는 종종 앞의 음절과 함음.  
 + 
 +####2) 合音으로 일어난 성조 변화의 규칙 
 + 
 +- 앞 음절의 성조가 변화되는 경우가 일반적임.  
 + 
 +#####① 21/​33+55>​35 
 + 
 +{{{eg>​baic1239 (zhaoyanzhen2012:​23) 
 +ta³⁵ ( ← ta²¹ xɯ⁵⁵ ) ko³³ ɕua⁴⁴. 
 +play.PFV ( ← play PFV ) two years 
 +2년 동안 쳤다. 
 +}}} 
 + 
 +#####② 44+55>​55 
 + 
 +{{{eg>​baic1239 (zhaoyanzhen2012:​23) 
 +sɯ⁵⁵ ( ← sɯ⁴⁴ xɯ⁵⁵ ) kiɛ⁴² mɯ²¹ mɯ³⁵ 
 +place.in ( ← place in ) door front PTCL 
 +문 앞에 둔다. 
 +}}} 
 + 
 +#####③ 21/​42/​33/​35+44>​35 
 +{{{eg>​baic1239 (zhaoyanzhen2012:​23) 
 +kʰua⁴⁴ pia⁵⁵ ( ← pia⁴² xɯ⁴⁴ ) pia⁴². 
 +dog bark.like ( ← bark like ) bark 
 +강아지가 짖는 것처럼 소리질렀다.  
 +}}} 
 + 
 +####​3)合音으로 일어난 모음 변화 
 +#####① kɔ⁴⁴<​ ka⁴⁴ɔ⁴⁴ (CAUS+3SG.PAT)  
 +{{{eg>​baic1239 (zhaoyanzhen2012:​26) 
 +kɔ⁴⁴ ( ← ka⁴⁴ ɔ⁴⁴ ) tɕo²¹ kʰɯ⁴⁴. 
 +CAUS.3SG.PAT ( ← CAUS 3SG.PAT ) stir up 
 +그것을 비벼라! 
 +}}} 
 + 
 +#####② kɔ⁴⁴<​ kɯ⁴⁴ɔ⁴⁴(give to/​CAUS+3SG.PAT) 
 +{{{eg>​baic1239 (zhaoyanzhen2012:​26) 
 + ​ka⁴⁴ ki³⁵ nɯ³³ kʰui⁵⁵ liu⁴⁴ kɔ⁴⁴ ( ← kɯ⁴⁴ ɔ⁴⁴ ) ɣɯ⁴⁴.  
 +give chicken this CL throw to.3SG.PAT ( ← to 3SG.PAT ) eat 
 +이 닭을 그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줘라! 
 +}}} 
 + 
 +#####③ xɔ⁵⁵<​ xɯ⁵⁵ɔ⁴⁴ (PFV+3SG.PAT) 
 +{{{eg>​baic1239 (zhaoyanzhen2012:​27) 
 + ​ŋɔ³³ ʑɯ⁴⁴ xɔ⁵⁵ ( ← xɯ⁵⁵ ɔ⁴⁴ ) mi⁴²!  
 +1SG eat PFV.3SG.PAT ( ← PFV 3SG.PAT ) PTCL 
 +내가 먹을 게! 
 +}}} 
 + 
 +#####④ xɔ⁵⁵<​ xɯ⁵⁵ɔ⁵⁵ (PFV+PFV) 
 +{{{eg>​baic1239 (zhaoyanzhen2012:​27) 
 + ​ka⁴⁴ pa⁵⁵ ŋiɛ²¹ xɔ⁵⁵ ( ← xɯ⁵⁵ ɔ⁴⁴ ).  
 +follow 3PL go PFV.PFV ( ← PFV PFV ) 
 +그들을 따라서 갔다.  
 +}}} 
 + 
 +#####⑤ kʰɔ⁴⁴<​kʰɯ⁴⁴ɔ⁵⁵ (PROG+3SG.PAT) 
 +{{{eg>​baic1239 (zhaoyanzhen2012:​27) 
 +to⁴⁴ kiɛ³⁵ kʰɔ⁴⁴ ( ← kʰɯ⁴⁴ ɔ⁵⁵ ) xɔ⁵⁵ ( ← xɯ⁵⁵ ɔ⁴⁴ ).  
 +fall afraid PROG.3SG.PAT ( ← PROG 3SG.PAT ) PFV.PFV ( ← PFV PFV ) 
 +그가 (넘어지고 나서) 넘어진 것을 두려워하기 시작하였다.  
 +}}} 
 + 
 +#####⑥ ȵa³³<​nɯ³³ʑa³³ (this+kind) 
 +{{{eg>​baic1239 (zhaoyanzhen2012:​27) 
 +pe⁴⁴ xɯ⁵⁵ ȵa³³ ( ← nɯ³³ ʑa³³ ) ka⁵⁵ ʑɯ⁴⁴.  
 +visit PFV this.like ( ← this like ) few village 
 +이런 마을을 몇 개 방문하였다. 
 +}}} 
 + 
 +#####⑦ pia³³<​pɯ³³ʑa³³ (that+kind) 
 +{{{eg>​baic1239 (zhaoyanzhen2012:​28) 
 +ŋɔ³³ ɣɯ⁴⁴ nɔ³³ ŋv²¹ kɯ⁴⁴ ŋɔ³³ tɯ⁴⁴ tɯ³³ pia³³ ( ← pɯ³³ ʑa³³ ).  
 +1SG eat 2SG fry to 1SG REL bean that.kind ( ← that kind ) 
 +나는 네가 볶아주는 콩을 먹고 있다. 
 +}}} 
 + 
 +#####​⑧tɕa⁵⁵<​tsi⁵⁵ȵa³³<​tsi⁵⁵nɯ³³ʑa³³ (become+this+kind) 
 +{{{eg>​baic1239 (zhaoyanzhen2012:​28) 
 +tse⁵⁵ a³³ tɕʰo⁵⁵ tɕa⁵⁵ ( ← tsi⁵⁵ȵa³³ ← tsi⁵⁵ nɯ³³ ʑa³³ )!  
 +how look beautiful become.this.kind ( ← become this.kind ← become this kind) 
 +어떻게 이렇게 예쁠 수가 있어! 
 +}}} 
 + 
 +- 방향 동사 ɣɯ³⁵/​ʑɯ³⁵ (come)는 앞의 음절과 合音할 때 음운 변화가 규칙적이지 않음.  
 +앞의 음절의 성조가 변화될 수도 있고, 성조와 운모가 동시에 변화될 수도 있음. 
 + 
 +{{{eg>​baic1239 (zhaoyanzhen2012:​29) 
 +ʑa⁵⁵ ( ← ʑa⁴⁴ ɣɯ³⁵ ) 
 +come.back ( ← come back ) 
 +돌아오다.  
 +}}} 
 + 
 +{{{eg>​baic1239 (zhaoyanzhen2012:​29) 
 +tsɯ³⁵ ( ← tsi²¹ ɣɯ³⁵ ) 
 +DIR.come ( ← DIR come ) 
 +~(으)로 오다. 
 +}}} 
  
doc/bai/1_phonology/15_phonproc/15_phonproc.149569352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5/25 15:25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