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2_wordclass:22_noun:22_noun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bai:2_wordclass:22_noun:22_noun [2017/08/23 16:03]
유현조
doc:bai: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08/18 13:06] (현재)
유현조
줄 3: 줄 3:
 - 양사의 수식을 받는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 가능. - 양사의 수식을 받는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 가능.
  
-## (1) 白語의 명사+### (1) 바이어의 명사
  
-### 1)양사의 수식을 받는 ​명사+#### 1) 계량 가능한 ​명사
  
-사람 혹은 구체적 사물을 나타내는 계량 가능한 명사들임.+사람 혹은 구체적 사물을 나타내는 ​명사들이 ​계량 가능한 명사들이다. 
 + 
 + 
 +##### 가산 명사와 양사의 쓰 
 + 
 +가산 명사는 양사와 함께 쓰일 수 있다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 가산 명사 뒤에 단수/​복수를 나타내는 양사가 없으면 해당 명사가 불특정적 용법으로 쓰임을 의미함. 
 +- 이 부류의 명사가 불특정적으로 쓰일 때 그의 복수형은 ​ ‘명사+ 복수를 나타내는 양사’의 구조를 가짐. 사람 뒤에 ‘xo⁴⁴’;​ 사물 뒤에 '​jɑ⁴²'​를 추가. 
 +- 양사의 수식을 받는 명사가 특정적으로 쓰이며 복수를 나타낼 때 ‘명사+수사+양사’의 구조를 가진다. 
 + 
 +특정적 용법과 불특정적 용법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    |   ​특정적 용법 ​ |             ​|불특정적 용법 ​  | 
 +|단수| so⁵⁵kɛ⁵⁵ji²¹ ‘ 백정’ ​     |不定數| so⁵⁵kɛ⁵⁵ ‘백정’| 
 +|복수| so⁵⁵kɛ⁵⁵kõ³³ji²¹ ‘두 백정’| 복수 ​ | so⁵⁵kɛ⁵⁵xo⁴⁴ ‘백정들’|
  
 ###### ① 명사가 특정적으로 쓰일 경우 양사와 결합해야 함. ###### ① 명사가 특정적으로 쓰일 경우 양사와 결합해야 함.
줄 25: 줄 40:
 }}} }}}
  
-- 가산 명사 뒤에 단수/​복수를 나타내는 양사가 없으면 해당 명사가 불특정적 용법으로 쓰임을 의미함. 
  
-- 이 부류의 명사가 불특정적으로 쓰일 때 그의 복수형은 ​ ‘명사+ 복수를 나타내는 양사’의 구조를 가짐. 사람 뒤에 ‘xo⁴⁴’;​ 사물 뒤에 '​jɑ⁴²'​를 추가. 
  
-- 양사의 수식을 받는 명사가 특정적으로 쓰이며 복수를 나타낼 때 ‘명사+수사+양사’의 구조를 가진다. 
  
-|    |   ​특정적 용법 ​ |             |특정적 용법 ​  | +#### 2) 계량 ​가능한 명사
-|단수| so⁵⁵kɛ⁵⁵ji²¹ ‘ 백정’ ​     |不定數| so⁵⁵kɛ⁵⁵ ‘백정’| +
-|복수| so⁵⁵kɛ⁵⁵kõ³³ji²¹ ‘두 백정’| 복수 ​ | so⁵⁵kɛ⁵⁵xo⁴⁴ ‘백정들’|+
  
 +- 방향 명사, 시간 명사, 고유 명사, 추상 명사 등
  
-###2) 양사의 수식을 받지 않는 ​명사 ​+### (2) 자오좡바이어의 명사
  
-방향 명, 시간 ​명사유 명사, 추상 명사 등+와 결합하여 쓰이는 ​명사는 특정적 용법으로 쓰이는 것이
  
-##​(2)趙庄白語의 ​명사+- 양사와 결합하여 쓰이지 않은 ​명사는 불특정적 용법으로 쓰이는 것임.
  
-- 양사와 결합하여 쓰이는 명사는 한정적 용법으로 쓰이는 것이고 
  
-- 양사와 결합하여 쓰이지 않은 명사는 비한정적 용법으로 쓰이는 것임.+#### 범칭 ​
  
-- 인칭과 地名 이외의 명사는 ​보통 ​대부분 범칭 접미사 a⁴⁴와 ​모두 ​결합 가능.+- 인칭과 地名 이외의 ​일반명사는 대부분 범칭 접미사 a⁴⁴와 결합 가능. 
 + 
 +###### 범칭 집미사의 사용 예 
 + 
 +{{{lex>​baic1239 (zhaoyanzhen2012:​43) 
 + 
 +- tʰe⁴⁴ : 철 + a⁴⁴ : GENR -> tʰe⁴⁴a⁴⁴ : 철 
  
-{{{eg>​baic1239 (zhaoyanzhen2012:​43) 
-tʰe⁴⁴ a⁴⁴ ​ 
-iron GENR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43) +###### 범칭 집미사의 사용 예 
-tsi⁴⁴ȵi²¹ a⁴⁴ + 
-man GENR +{{{lex>​baic1239 (zhaoyanzhen2012:​43) 
-남자+ 
 +tsi⁴⁴ȵi²¹ ​: 남자 + a⁴⁴ ​GENR -> tsi⁴⁴ȵi²¹a⁴⁴ :  
 + ​남자 
 }}} }}}
  
-- 양사를 가지지 않은 명사와 범칭 접미사 a⁴⁴를 가진 명사가 모두 불특정적 용법으로 쓰이지만 의미으로 차이가 있음.+##### 현실적 용법과 비현실적 용법
  
 +- 양사를 가지지 않은 명사와 범칭 접미사 a⁴⁴를 가진 명사가 모두 불특정적 용법으로 쓰이지만 의미적으로 차이가 있음.
 - 양사를 가지지 않은 명사는 비현실적 지시의 용법으로 쓰인 것임. - 양사를 가지지 않은 명사는 비현실적 지시의 용법으로 쓰인 것임.
- 
 - 범칭 접미사 a⁴⁴를 가진 명사는 현실적 지시의 용법으로 쓰인 것임. - 범칭 접미사 a⁴⁴를 가진 명사는 현실적 지시의 용법으로 쓰인 것임.
- 
 - 술어 앞에 위치한 명사가 보통 현실적 지시의 용법으로 쓰인 것이고, 명사가 목적어로 쓰인 경우 현실적 지시 혹은 비현실적 지시 용법으로 쓰인 것임. - 술어 앞에 위치한 명사가 보통 현실적 지시의 용법으로 쓰인 것이고, 명사가 목적어로 쓰인 경우 현실적 지시 혹은 비현실적 지시 용법으로 쓰인 것임.
 +
 +###### 비현실적 용법
  
 {{{eg>​baic1239 (zhaoyanzhen2012:​44) {{{eg>​baic1239 (zhaoyanzhen2012:​44)
줄 73: 줄 89:
 나는 손님을 배웅하러 간다.(손님이 누구인지 모름) ​ 나는 손님을 배웅하러 간다.(손님이 누구인지 모름) ​
 }}} }}}
 +
 +###### 현실적 용법
  
 {{{eg>​baic1239 (zhaoyanzhen2012:​44) {{{eg>​baic1239 (zhaoyanzhen2012:​44)
줄 80: 줄 98:
 }}} }}}
  
-##(3) 趙庄白語의 명사화:+###(3) 자오좡바이어의 명사화
  
-###1) 명사와 명사구 혹은 동사+목적어 구조 뒤에 범칭 접미사 a⁴⁴ 혹은 양사를 붙여 어떤 특징을 가진 사람의 의미를 나타냄.+###### 1) 명사와 명사구 혹은 동사+목적어 구조 뒤에 범칭 접미사 a⁴⁴ 혹은 양사를 붙여 어떤 특징을 가진 사람의 의미를 나타냄.
  
 {{{eg>​baic1239 (zhaoyanzhen2012:​48) {{{eg>​baic1239 (zhaoyanzhen2012:​48)
 ɕua⁴⁴ pɛ⁴² a⁴⁴ ​ ɕua⁴⁴ pɛ⁴² a⁴⁴ ​
 speak bai.language GENR speak bai.language GENR
-白語를 말하는 사람+바이어를 말하는 사람
 }}} }}}
  
줄 96: 줄 114:
 }}} }}}
  
-###2) 명사화 표지 nɔ⁴⁴+###### 2) 명사화 표지 nɔ⁴⁴
  
 {{{eg>​baic1239 (zhaoyanzhen2012:​48) {{{eg>​baic1239 (zhaoyanzhen2012:​48)
doc/bai/2_wordclass/22_noun/22_noun.150347179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8/23 16:03 저자 유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