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bai:2_wordclass:25_adv:25_adv [2018/08/17 14:54] 서취아 |
doc:bai:2_wordclass:25_adv:25_adv [2021/01/22 21:00] (현재) 서취아 [(1) 정도 부사:] |
||
|---|---|---|---|
| 줄 1: | 줄 1: | ||
| # 25_adv : 부사 (adverb) 100% | # 25_adv : 부사 (adverb) 100% | ||
| - | - 趙庄白語의 부사는 다음과 같다. | + | - 자오좡바이어의 부사는 다음과 같다. |
| ###(1) 정도 부사: | ###(1) 정도 부사: | ||
| 줄 7: | 줄 7: | ||
| - xa³⁵: 너무 | - xa³⁵: 너무 | ||
| - | 부정문에서만 사용. 보통 동사 혹은 형용사 앞에 출현. | + | - 부정문에서만 사용. 보통 동사 혹은 형용사 앞에 출현한다.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0)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0) | ||
| kiɛ²¹ a⁴⁴ pɔ³³ xa³⁵ e⁴⁴ ɣɯ⁴⁴ tso²¹ mu³³. | kiɛ²¹ a⁴⁴ pɔ³³ xa³⁵ e⁴⁴ ɣɯ⁴⁴ tso²¹ mu³³. | ||
| - | meat GENR 3SG very like eat NEG.PREFIX not | + | meat GENR 3SG very like eat NEG.PREF NEG |
| 그는 고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 그는 고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 ||
| }}} | }}} | ||
| 줄 17: | 줄 17: | ||
| - lɔ⁴⁴si³⁵: 아주 | - lɔ⁴⁴si³⁵: 아주 | ||
| - | 부정문에서만 사용. 보통 동사 앞 혹은 형용사 앞에 출현 | + | - 부정문에서만 사용. 보통 동사 앞 혹은 형용사 앞에 출현한다.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0)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0) | ||
| 줄 27: | 줄 27: | ||
| - xa³³: 매우 | - xa³³: 매우 | ||
| - | 정도 부사로 쓰인 xa³³는 항상 보어로 쓰인 형용사 xa³³로부터 유래. | + | - 정도 부사로 쓰인 xa³³는 항상 보어로 쓰인 형용사 xa³³로부터 유래한다.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1)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1) | ||
| 줄 37: | 줄 37: | ||
| - ʑa³⁵: 더 | - ʑa³⁵: 더 | ||
| - | ‘증가하다’의 의미를 지닌 자동사에서 유래. | + | - ‘증가하다’의 의미를 지닌 자동사에서 유래한다.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1)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1) | ||
| 줄 46: | 줄 46: | ||
| - | ###(2)범위 부사 | + | ###(2) 범위 부사 |
| - | - 趙庄白語의 상용 정도 부사는 tsa⁵⁵ ‘모두’, tsɛ²¹‘오직’, ta⁴²xuo³³ ‘총(總)’, ʑi³⁵tɕʰi³³ ‘함께’ tu³⁵ta³⁵ ‘오로지’ 등이 있음. | + | - 자오좡바이어의 상용 정도 부사는 tsa⁵⁵ ‘모두’, tsɛ²¹‘오직’, ta⁴²xuo³³ ‘총(總)’, ʑi³⁵tɕʰi³³ ‘함께’ tu³⁵ta³⁵ ‘오로지’ 등이 있다.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2)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2) | ||
| 줄 56: | 줄 56: | ||
| }}} | }}} | ||
| - | ###(3)시간 부사 | + | ###(3) 시간 부사 |
| - | - 趙庄白語의 사용 시간 부사는 ɛ⁴⁴lɛ⁴⁴ ‘빨리’, sɯ⁴⁴ ‘바로’, tɕʰɛ⁴⁴ ‘먼저’, lɛ⁴⁴tse⁵⁵ ‘아직’, ma⁴⁴lɯ⁴⁴ ‘가끔’, | + | - 자오좡바이어의 사용 시간 부사는 ɛ⁴⁴lɛ⁴⁴ ‘빨리’, sɯ⁴⁴ ‘바로’, tɕʰɛ⁴⁴ ‘먼저’, lɛ⁴⁴tse⁵⁵ ‘아직’, ma⁴⁴lɯ⁴⁴ ‘가끔’, |
| - | lɛ⁴⁴ȵo⁴⁴ ‘또’, tsɛ²¹mɯ⁵⁵ ‘방금’ 등이 있음. | + | lɛ⁴⁴ȵo⁴⁴ ‘또’, tsɛ²¹mɯ⁵⁵ ‘방금’ 등이 있다. |
| 예: lɔ³⁵ | 예: lɔ³⁵ | ||
| 줄 73: | 줄 73: | ||
| - ȵo⁴⁴: -지 말다 | - ȵo⁴⁴: -지 말다 | ||
| - | 출현 위치: 보통 동사 앞에 출현하고 동사‘두려워하다’와 결합할 때만 뒤에 출현. | + | - 출현 위치: 보통 동사 앞에 출현하고 동사‘두려워하다’와 결합할 때만 뒤에 출현한다.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4)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4) | ||
| 줄 89: | 줄 89: | ||
| - pɯ³³: 안 | - pɯ³³: 안 | ||
| - | 출현 위치: 동사 앞에 출현 | + | - 출현 위치: 동사 앞에 출현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4)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4) | ||
| 줄 99: | 줄 99: | ||
| - ȵo⁴⁴pɯ³³: -지 말다 | - ȵo⁴⁴pɯ³³: -지 말다 | ||
| - | 유래: 동사 ȵo⁴⁴ ‘intend’와 부정 부사 pɯ³³의 결합형. | + | - 유래: 동사 ȵo⁴⁴ ‘intend’와 부정 부사 pɯ³³의 결합형이다. |
| - | 의미: 부정 | + | |
| - | 출현 위치: 동사 앞에 출현. | + | - 의미: 부정 |
| + | |||
| + | - 출현 위치: 동사 앞에 출현한다.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5)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5) | ||
| 줄 112: | 줄 114: | ||
| ###(5) 語氣 부사 | ###(5) 語氣 부사 | ||
| - | - na²¹ ‘아직도’, tsi³⁵kɔ⁴⁴ ‘정말’, xɔ⁵⁵li⁴⁴ ‘설마’, kiɛ³⁵ ‘아마’, pʰiɛ⁴⁴sɯ⁴⁴ ‘하필’ 등이 있음. | + | - na²¹ ‘아직도’, tsi³⁵kɔ⁴⁴ ‘정말’, xɔ⁵⁵li⁴⁴ ‘설마’, kiɛ³⁵ ‘아마’, pʰiɛ⁴⁴sɯ⁴⁴ ‘하필’ 등이 있다. |
| 예: kiɛ³⁵ | 예: kiɛ³⁵ | ||
| - | 유래: ‘두려워하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로부터 유래. | + | 유래: ‘두려워하다’의 의미를 지닌 동사로부터 유래한다. |
| - | 의미: 나중에 문법화되어 ‘추측’ 혹은 ‘가능성’을 나타내는 語氣부사로 발전. | + | 의미: 나중에 문법화되어 ‘추측’ 혹은 ‘가능성’을 나타내는 語氣부사로 발전한다. |
| - | 출현 위치: 문두, 문중, 문말이 모두 가능. | + | 출현 위치: 문두, 문중, 문말이 모두 가능하다.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7)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