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2_wordclass:28_clf:28_clf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bai:2_wordclass:28_clf:28_clf [2017/08/26 10:02]
서취아 [카피(copy) 형 양사]
doc:bai:2_wordclass:28_clf:28_clf [2021/01/22 21:36] (현재)
서취아 [⑤ 樣態 동량사]
줄 1: 줄 1:
 # 28_clf: 분류사 (classifier 100%) # 28_clf: 분류사 (classifier 100%)
-) 
-## (1) 大理 白語의 양사 
  
-- 白語의 양사는 명량사와 동량사로 분류할 수 있다. ​+###(1) 바이어의 양사
  
-### 명량사:+- 바이어의 양사는 명량사와 동량사로 분류할 수 있다.  
 + 
 +####1) 명량사:
  
 - 다시 단체 양사, 개체 양사, 불특정적으로 쓰이는 복수 양사, 度量詞로 나눌 수 있다. - 다시 단체 양사, 개체 양사, 불특정적으로 쓰이는 복수 양사, 度量詞로 나눌 수 있다.
  
-####① 단체 양사:+#####① 단체 양사: 
 + 
 +{{{lex>​baic1239 (xulin2006:​199)
  
 - tsɑ̃²¹: 쌍(뿔, 귀고리) - tsɑ̃²¹: 쌍(뿔, 귀고리)
줄 17: 줄 19:
 - kɕĩ³³: 쌍(신발, 양말) - kɕĩ³³: 쌍(신발, 양말)
  
-- pʰo⁵⁵: 떼/​무리(가축,​ 아이들) ​+- pʰo⁵⁵: 떼/​무리(가축,​ 아이들)
  
-#### ②개체 양사+}}} 
 + 
 +#####② 개체 양사 
 + 
 +{{{lex>​baic1239 (xulin2006:​199)
  
 - phĩ³¹: ​ 張,(전 한 장) - phĩ³¹: ​ 張,(전 한 장)
줄 29: 줄 35:
 - ɕu⁵⁵: 조각 (귤의 한 조각) - ɕu⁵⁵: 조각 (귤의 한 조각)
  
-- khõ: 件(옷) ​+- khõ: 件(옷) 
 + 
 +}}} 
  
  
 +###### 개체 양사 중 ‘명(사람의 수량)’을 사람의 체형, 성격 등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
  
-##### 개체 양사 중 ‘명(사람의 수량)’을 사람의 체형, 성격 등에 따라 세분할 수 있다.+{{{lex>​baic1239 ​(xulin2006:​200)
  
 - kɑ⁴⁴: 명(키가 큰 사람, 특이한 사람) - kɑ⁴⁴: 명(키가 큰 사람, 특이한 사람)
줄 39: 줄 49:
 - ve⁴⁴: 명(오만한 사람) - ve⁴⁴: 명(오만한 사람)
  
-- ɕi⁵⁵: 명(여위고 허약한 사람) ​+- ɕi⁵⁵: 명(여위고 허약한 사람)
  
 +}}}
  
  
-##### 일부 양사는 양사의 수식을 받는 명사 자신이 충당한 것임. 
  
-- ko²¹ko²¹:​ (강 한 줄기)+###### 일부 양사는 양사의 수식을 받는 명사 자신이 충당한 것이다. 
 + 
 +{{{lex>​baic1239 (xulin2006:​200) 
 + 
 +- ko²¹ko²¹:​ (강한 줄기 
 + 
 +- tsɯ³¹tsɯ³¹:​ (나무) 한 그루 
 + 
 +- se⁴⁴se⁴⁴:​ (잎하나 
 + 
 +}}}
  
-- tsɯ³¹tsɯ³¹:​ (나무 한 그루)+#####③ 비특정적 복수 양사
  
-se⁴⁴se⁴⁴: (잎 하나+xo⁴⁴: ​PL(사람)
  
-####③ 비특정적 복수 양+- jɑ⁴²: PL(물)
  
-- xo⁴⁴ ​(사람의 복수) ​ jɑ⁴² (사물의 복수)+{{{lex>​baic1239 ​(xulin2006:​200)
  
 - ɑ⁵⁵nɑ⁴⁴xo⁴⁴:​ 그 사람들 - ɑ⁵⁵nɑ⁴⁴xo⁴⁴:​ 그 사람들
줄 63: 줄 83:
 - mɯ³¹jɑ⁴²:​ 저 물건들 - mɯ³¹jɑ⁴²:​ 저 물건들
  
-####​④ ​度量詞+}}} 
 + 
 +#####​④ ​도량형 양사 
 + 
 +{{{lex>​baic1239 (xulin2006:​200)
  
 - li³³: 리(里) - li³³: 리(里)
 - pɑ̃⁴²: 반 근(半斤) - pɑ̃⁴²: 반 근(半斤)
 - tɕĩ⁵⁵:​ 근 - tɕĩ⁵⁵:​ 근
-- pɑ̃⁵⁵:​ 리터 ​등.+- pɑ̃⁵⁵:​ 리터
  
 +}}}
  
-###2) 동량사+####2) 동량사
  
-동량사는 동사와 결합할 때는 동사+동량사+양사의 구조를 가진다. ​+동량사는 동사와 결합할 때는 동사+사+양사의 구조를 가진다. ​
  
 {{{eg>​baic1239 (xulin2006:​201) {{{eg>​baic1239 (xulin2006:​201)
 ŋɛ²¹ ɑ³¹ kɛ³¹ ŋɛ²¹ ɑ³¹ kɛ³¹
-go one PTCL +go one CL 
-한 번 다.+한 번 다.
 }}} }}}
  
 {{{eg>​baic1239 (xulin2006:​201) {{{eg>​baic1239 (xulin2006:​201)
 ɣɯ⁴² ɑ³¹ pɛ²¹ ɣɯ⁴² ɑ³¹ pɛ²¹
-study one PTCL +study one CL 
-한 동안 공부다.+한 동안 공부다.
 }}} }}}
  
-## 양사의 문법적 기능:+#### 양사의 문법적 기능
  
 ##### 수량구 앞에 지시대명사가 올 경우 ##### 수량구 앞에 지시대명사가 올 경우
줄 106: 줄 131:
 te⁴² xɑ³¹tsi³³xɑ³¹ xɑ̃⁵⁵ tɯ⁴⁴ tso³³ tso³³. ​ te⁴² xɑ³¹tsi³³xɑ³¹ xɑ̃⁵⁵ tɯ⁴⁴ tso³³ tso³³. ​
 pig every.family raise RES litter litter ​ pig every.family raise RES litter litter ​
-집집마다 한 우리의 돼지가 워져 ​있다.+집집마다 한 우리의 돼지를 우고 ​있다.
 }}} }}}
  
줄 113: 줄 138:
 양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뒤에 놓이고, 수사는 명사와 양사 중간에 놓인다. 양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뒤에 놓이고, 수사는 명사와 양사 중간에 놓인다.
  
-{{{eg>​baic1239 (xulin2006:​201) +{{{lex>​baic1239 (xulin2006:​201) 
-e²¹ ɑ³¹ pʰo⁴⁴ ​ + 
-shoe one PTCL +e²¹ : 신발 + ɑ³¹ ​: 하나 + pʰo⁴⁴ ​: CL -> e²¹ɑ³¹pʰo⁴⁴ : 신발 한 짝. 
-신발 한 짝.+
 }}} }}}
  
-##(2)趙庄白語의 양사 +###(2) 자오좡바이어의 양사 
-###1) 명량사 +####1) 명량사
-####​①개체 양+
  
-##### 범주를 나타내는 ​양사+#####① 개체 ​양사
  
-예: ȵi²¹ ‘(서람)명’;​ pe³⁵ ‘알’; se⁴⁴ '​잎'​ 등+###### 범주를 나타내는 양사
  
-##### 카피(copy) 형 양사+###### ȵi²¹ ​
  
-카피 형 양는 명사의 ​전체를 카피한 경우와 명사의 일부만 카피한 경우가 있음.+- ȵi²¹ '(람)'​은 ​람을 ​미하는 ȵi²¹가 문법화된 결과이다
  
-###### 전체 카피 양+- 어떤 특징을 구비하는 ​람을 가리킨다.
  
-가 1음절일 경우 전체 카피가 일어남.+{{{lex>​baic1239 (zhaoyanzhen2012:​76) 
 + 
 +- ʑo⁴⁴sɛ³⁵ : 의사 + ȵi²¹ : CL -> ʑo⁴⁴sɛ³⁵ȵi²¹ : 의사 
 + 
 +- ɕa⁴⁴ : kill + te⁴² : pig + ȵi²¹ : CL -> ɕa⁴⁴te⁴²ȵi²¹ : 돼지백정
  
-{{{eg>​baic1239 (zhaoyanzhen2012:​79) 
-kɔ²¹ kɔ²¹ 
-sea CL 
-바다 ​ 
 }}} }}}
  
-###### ​일부 카피 ​양사+###### ​ ​pe³⁵ 
 + 
 +- pe³⁵ '​알'​은 씨앗을 의미하는 pe³⁵가 문법화된 결과이다.  
 + 
 +- 납작하고 알 모의 물체를 묘하는 양사이다. 
 +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6) 
 + 
 +- pe³⁵: 씨앗 + pe³⁵: CL -> pe³⁵pe³⁵:​ 씨앗 한 알 
 + 
 +- tɯ³³: 콩 + pe³⁵: CL -> tɯ³³pe³⁵:​ 콩 한 알 
 + 
 +- ʑo⁴⁴ : 약 + pe³⁵: CL -> ʑo⁴⁴pe³⁵:​ 약 한 알
  
-{{{eg>​baic1239 (zhaoyanzhen2012:​79) 
-mi⁴⁴ pʰi³³ pʰi³³ 
-sun CL CL 
-(한 개의)태양 
 }}} }}}
  
-##### 性狀 양사 
  
-- 이 부류의 양사는 주로 명사, 동사 혹은 형용사가 문법화되어 생긴 것.+###### se⁴⁴  
 + 
 +- se⁴⁴ '​잎'​은 나무닢을 의미하는 se⁴⁴가 문법화된 결과이다. 
 + 
 +- 납작하고 편평(扁平)한 물체를 묘사하는 양사이다.  
 +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6) 
 + 
 +- me²¹ : 문 + se⁴⁴: CL -> me²¹se⁴⁴:​ 문 하나 
 + 
 +- fv³³ : 부채 + se⁴⁴: CL -> fv³³se⁴⁴:​ 부채 하나 
 + 
 +}}} 
 + 
 + 
 +###### tsv⁴⁴ 
 + 
 +- tsv⁴⁴는 모양이 길고 뻗을 수 있는 물체를 수식하는 양사이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6) 
 + 
 +- tʰu⁴⁴ : 길 + tsv⁴⁴ : CL -> tʰu⁴⁴tsv⁴⁴ : 길 하나 
 + 
 +- miɛ⁴⁴ : 목숨 + tsv⁴⁴ : CL -> miɛ⁴⁴tsv⁴⁴ : 목숨 하나 
 + 
 +}}} 
 + 
 +###### tsʰɯ⁴⁴ 
 + 
 +- 동그란 평면을 묘사하는 양사이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7) 
 + 
 +- xe⁵⁵ : 하늘 + tsʰɯ: CL -> xe⁵⁵tsʰɯ : 하늘 하나 
 + 
 +- tɕo³³ui³³ : 얼굴 + tsʰɯ: CL -> tɕo³³ui³³tsʰɯ : 얼굴 하나 
 + 
 +}}} 
 + 
 + 
 +###### mɯ³⁵ 
 + 
 +- 뾰쪽한 물건의 개수를 세는 양사이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7) 
 + 
 +- tɕɛ³⁵mɯ³⁵ : 못 하나 
 +- tsi³⁵mɯ³⁵ : 바늘 하나 
 + 
 +}}} 
 + 
 + 
 +###### pɯ⁴⁴, xu³⁵ 
 + 
 +- 방직 품을 세는 양사이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7) 
 + 
 +- sɯ⁴⁴tɕɯ³⁵ : 수건 + pɯ⁴⁴: CL -> sɯ⁴⁴tɕɯ³⁵pɯ⁴⁴ : 수건 한 장 
 +- ui⁴²tɕɯ⁴⁴ : 목도리 + xu³⁵: CL -> ui⁴²tɕɯ⁴⁴xu³⁵ : 목도리 한 장 
 + 
 +}}} 
 + 
 +###### kiɛ³⁵ 
 + 
 +- 건물이나 둘레가 있는 물체를 세는 단위이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7) 
 + 
 +- xɔ³³ : 방 + kiɛ : CL -> xɔ³³kiɛ : 방 한 칸 
 +- u³³ :원(圓) + kiɛ : CL -> xɔ³³kiɛ : 동그라미 하나 
 + 
 +}}} 
 + 
 + 
 +###### pʰi³³ 
 + 
 +- 원형 혹은 납작한 모양의 물건을 세는 양사이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7) 
 + 
 +- mi⁴⁴pʰi³³ : 태양 + pʰi³³ : CL -> mi⁴⁴pʰi³³pʰi³³ : 태양 하나 
 + 
 +- kʰɔ⁵⁵sv³⁵ : 빗 + pʰi³³ :CL ->  kʰɔ⁵⁵sv³⁵pʰi³³ : 빗 하나 
 + 
 +}}} 
 + 
 + 
 +###### ka³⁵ 
 + 
 +- 길고 높은 물체를 세는 양사이다. 
 +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7) 
 + 
 +- tɕi²¹: 깃발 + ka³⁵: CL -> tɕi²¹ka³⁵:​ 깃발 하나 
 + 
 +- tsʰv⁵⁵ : 총 + ka³⁵ : CL ->  tsʰv⁵⁵ka³⁵ -> 총 하나 
 + 
 +}}} 
 + 
 + 
 +###### u⁵⁵ 
 + 
 +- 액체를 세는 양사이고 ‘조금’의 의미로 쓰인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8) 
 + 
 +- ɕy³³+ 물 + u⁵⁵: CL -> ɕy³³u⁵⁵:​ 아주 적은 물 
 + 
 +- xɛ⁵⁵: 야채 + tsɔ²¹: 국물 + u⁵⁵: CL -> 아주 적은 야채 국물 
 + 
 +}}} 
 + 
 +###### tsɯ³³ 
 + 
 +- 명사 ‘나무’에서 유래된 양사이고 식물을 세는 양사로 사용된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8) 
 + 
 + 
 +- tsɯ³³ : 나무 + tsɯ³³: CL -> tsɯ³³tsɯ³³ : 나무 한 그루 
 + 
 +- ɛ³³: 은행 + tsɯ³³: CL -> ɛ³³tsɯ³³ : 은행 나무 한 그루 
 + 
 +}}} 
 + 
 + 
 +###### tsʰɛ⁵⁵ 
 + 
 +- 명사 ‘소리’에서 유래된 양사이고 추상적인 것을 셀 때 사용된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8) 
 + 
 +- tsʰɛ⁵⁵ : 소리 + tsʰɛ⁵⁵:​ CL -> tsʰɛ⁵⁵tsʰɛ⁵⁵ : 소리 하나 
 + 
 +- kv³³ : 귀신 + tsʰɛ⁵⁵:​ CL -> kv³³tsʰɛ⁵⁵ : 귀신 하나 
 + 
 +}}} 
 + 
 + 
 +###### 특정 물건을 세는 양사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8) 
 + 
 +- tsʰɛ⁴⁴ : 차(車) + ɕi⁴⁴ : 넷 + kɯ³³ : CL -> tsʰɛ⁴⁴ɕi⁴⁴kɯ³³ : 차 네 대    
 + 
 +- ʑi²¹ : 배 + sa⁵⁵ : 셋 + ɕu⁵⁵: CL -> ʑi²¹sa⁵⁵ɕu⁵⁵ : 배 세 척 
 + 
 +- ʑi³⁵ta³⁵ : 칼 + sa⁵⁵ : 셋 + tsi³³ -> ʑi³⁵ta³⁵sa⁵⁵tsi³³:​ 칼 세 자루 
 + 
 +}}} 
 + 
 + 
 + 
 +###### 카피(copy) 형 양사 
 + 
 +개체 양사 중의 일부가 명사를 카피해서 형성된 양사들이다.  
 + 
 +카피의 방법은 전체 카피와 부분 카피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 전체 카피 양사 
 + 
 +- 명사가 1음절일 경우 전체 카피가 일어난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9) 
 + 
 +- kɔ²¹ : 바다 + kɔ²¹: CL -> kɔ²¹kɔ²¹ : 바다 하나 
 + 
 +- xɛ⁵⁵ : 하늘 + xɛ⁵⁵ : CL -> xɛ⁵⁵xɛ⁵⁵ : 하늘 한 장?  
 + 
 +}}} 
 + 
 +- 이음절 명사에서 하나의 음절을 카피해서 양사를 만들 수 있다.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9) 
 + 
 +- mi⁴⁴pʰi³³:​ 태양 + pʰi³³ : CL -> mi⁴⁴pʰi³³pʰi³³ : 태양 한 개 
 + 
 +- tso⁴²kʰui⁵⁵ : 돌 + kʰui⁵⁵:​ CL -> tso⁴²kʰui⁵⁵kʰui⁵⁵ : 돌 하나 
 + 
 +}}} 
 + 
 +###### 性狀 양사 
 + 
 +- 이 부류의 양사는 주로 명사, 동사 혹은 형용사가 문법화되어 생긴 것이다.
  
 - 적용 대상: 생명체 - 적용 대상: 생명체
  
-- 의미: 대상의 특징과 화자가 대상에 대한 주관적인 감정을 함께 나타+- 의미: 대상의 특징과 화자가 대상에 대한 주관적인 감정을 함께 나타난다.
  
   예: 명사: pɛ³³ ‘목판’ -> 양사: pɛ³³ ‘키가 크고 무뚝뚝한 사람’   예: 명사: pɛ³³ ‘목판’ -> 양사: pɛ³³ ‘키가 크고 무뚝뚝한 사람’
  
-- 양사의 성조를 바꿈으로써 성상을 나타낼 수도 있음. 예: ȵi²¹ ‘명’ → ȵi⁵⁵ 분(존댓말,​ 애칭)+- 양사의 성조를 바꿈으로써 성상을 나타낼 수도 있음. ​ 
 + 
 +  ​예: ȵi²¹ ‘명’ → ȵi⁵⁵ 분(존댓말,​ 애칭)
  
  
 ##### 개체 양사의 문법화 ##### 개체 양사의 문법화
  
-###### ​① ne²¹ ‘개’는 원래 비 생명체 명사와만 결합하였는데,​ 문법화된 후 신체 부위, 동물, 식물 등에 모두 쓰일 수 있.+###### ne²¹ ‘개’는 원래 비 생명체 명사와만 결합하였는데,​ 문법화된 후 신체 부위, 동물, 식물 등에 모두 쓰일 수 있.
  
 {{{eg>​baic1239 (zhaoyanzhen2012:​81) {{{eg>​baic1239 (zhaoyanzhen2012:​81)
줄 172: 줄 392:
 }}} }}}
  
-###### ​② tɯ²¹ ‘마리’는 명사 tɯ²¹pɔ³³ ‘머리’에서 온 것. 양사로 쓰일 때 주로 有生 동물과 많이 결합하는데,​ 문법화된 후 비 생명체 물건과 사람 명사와도 결합 가능.+###### tɯ²¹ ‘마리’는 명사 tɯ²¹pɔ³³ ‘머리’에서 온 것이다. 양사로 쓰일 때 주로 有生 동물과 많이 결합하는데,​ 문법화된 후 비 생명체 물건과 사람 명사와도 결합 가능하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1) {{{eg>​baic1239 (zhaoyanzhen2012:​81)
줄 180: 줄 400:
 }}} }}}
  
-####② 단체 양사+#####② 단체 양사
  
-##### 양을 한정하는 ​+###### 양을 한정하는 ​
  
 - tsa²¹ 쌍, 예: kv⁴⁴tsa²¹:​ 뿔 한 쌍 - tsa²¹ 쌍, 예: kv⁴⁴tsa²¹:​ 뿔 한 쌍
줄 210: 줄 430:
 }}} }}}
  
-##### 양이 한정지 않은 단체 양사+###### 양을 한정지 않은 단체 양사
  
 예: pʰio⁴⁴ ‘무리’,​ ti⁵⁵ ‘조금’ 등. 예: pʰio⁴⁴ ‘무리’,​ ti⁵⁵ ‘조금’ 등.
  
-####③ 도량형 양사+#####③ 도량형 양사
  
-趙庄白語의 도량형 양사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차용해 온 것.+자오좡바이어의 도량형 양사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차용해 온 것이다.
  
--길이와 관련된 도량형 양사ko⁴⁴li³³ '​킬로미터';​ ko⁴⁴tsʰi³⁵ ‘미터’;​ ko⁴⁴fɯ⁴⁴ '​센티미터'​ +###### ​길이와 관련된 도량형 양사 
--이 부류의 양사는 명사와 결합하지 않고 수사와만 결합+ 
--다른 부류의 도량형 양사는 명사+수사+양사의 구조를 가질 수 있.+ko⁴⁴li³³ '​킬로미터';​ ko⁴⁴tsʰi³⁵ ‘미터’;​ ko⁴⁴fɯ⁴⁴ '​센티미터'​ 
 + 
 +- 이 부류의 양사는 명사와 결합하지 않고 수사와만 결합한다
 + 
 + 
 +###### ​다른 부류의 도량형 양사가 가지는 구조  
 + 
 +명사+수사+양사의 구조를 가질 수 있.
  
 {{{eg>​baic1239 (zhaoyanzhen2012:​84) {{{eg>​baic1239 (zhaoyanzhen2012:​84)
줄 228: 줄 455:
 }}} }}}
  
-- 趙庄白語 ​명량사가 접미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 자오좡바이어 ​명량사가 접미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
  
 {{{eg>​baic1239 (zhaoyanzhen2012:​85) {{{eg>​baic1239 (zhaoyanzhen2012:​85)
줄 236: 줄 463:
 }}} }}}
  
-명량사의 중첩+##### 명량사의 중첩 
 구조: 명사+지시사+양사 중첩형 구조: 명사+지시사+양사 중첩형
-의미: 양사를 중첩함으로써 화자의 주관적 강력한 감정을 나타.+ 
 +의미: 양사를 중첩함으로써 화자의 주관적 강력한 감정을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5) {{{eg>​baic1239 (zhaoyanzhen2012:​85)
줄 246: 줄 475:
 }}} }}}
  
-양사를 중첩함으로써 ‘하나 하나’ 등 순서 대로, 차례 대로의 의미를 나타.+ 
 + 
 +###### ​양사를 중첩함으로써 ‘하나 하나’ 등 순서 대로, 차례 대로의 의미를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6) {{{eg>​baic1239 (zhaoyanzhen2012:​86)
줄 254: 줄 485:
 }}} }}}
  
-양사를 중첩함으로써 ‘전부’의 의미를 나타.+ 
 + 
 +###### ​양사를 중첩함으로써 ‘전부’의 의미를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6) {{{eg>​baic1239 (zhaoyanzhen2012:​86)
줄 262: 줄 495:
 }}} }}}
  
-양사를 중첩함으로써 ‘양이 많다’의 의미를 나타.+ 
 + 
 +###### ​양사를 중첩함으로써 ‘양이 많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6) {{{eg>​baic1239 (zhaoyanzhen2012:​86)
줄 270: 줄 505:
 }}} }}}
  
-a⁴⁴+양사+a⁴⁴+양사/​a⁴⁴+양사 중첩형+tsi⁴⁴ 구조는 문장에서 부사어로 쓰여 ‘하나 하나 씩’의 의미를 나타.+ 
 + 
 +###### ​a⁴⁴+양사+a⁴⁴+양사/​a⁴⁴+양사 중첩형+tsi⁴⁴ 구조는 문장에서 부사어로 쓰여 ‘하나 하나 씩’의 의미를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7) {{{eg>​baic1239 (zhaoyanzhen2012:​87)
줄 278: 줄 515:
 }}} }}}
  
-###3) 동량사+####2) 동량사
  
-####① 동사의 횟수를 나타냄. pʰɔ⁵ '​번';​ kʰiɛ⁵⁵ ‘번’+#####① 동사의 횟수를 나타냄. pʰɔ⁵ '​번';​ kʰiɛ⁵⁵ ‘번’
 {{{eg>​baic1239 (zhaoyanzhen2012:​87) {{{eg>​baic1239 (zhaoyanzhen2012:​87)
 tcʰɛ⁵⁵ kuo⁴⁴ ka⁵⁵ pʰɔ⁵⁵. tcʰɛ⁵⁵ kuo⁴⁴ ka⁵⁵ pʰɔ⁵⁵.
줄 287: 줄 524:
 }}} }}}
  
-####② 차용해온 동량사+#####② 차용해온 동량사
  
-- 동작과 관련된 신체 부위나 도구 명사를 빌려 양사로 쓰는 경우를 말.+- 동작과 관련된 신체 부위나 도구 명사를 빌려 양사로 쓰는 경우를 말한다.
  
 - ɕua⁴⁴ ‘년’; ua⁴⁴ ‘월’; ȵi⁴⁴ 등 - ɕua⁴⁴ ‘년’; ua⁴⁴ ‘월’; ȵi⁴⁴ 등
줄 299: 줄 536:
 }}} }}}
  
-####③ 신체 부위와 관련된 ko⁴⁴ ‘발’, tɕy³³‘입’,​ ui³³'​눈'​+#####③ 신체 부위와 관련된 ko⁴⁴ ‘발’, tɕy³³‘입’,​ ui³³'​눈'​
 {{{eg>​baic1239 (zhaoyanzhen2012:​88) {{{eg>​baic1239 (zhaoyanzhen2012:​88)
 ŋa⁴⁴ a⁴⁴ tɕy³³. ŋa⁴⁴ a⁴⁴ tɕy³³.
줄 306: 줄 543:
 }}} }}}
  
-####④ 도구를 빌려 양사로 쓰는 경우:+#####④ 도구를 빌려 양사로 쓰는 경우:
 {{{eg>​baic1239 (zhaoyanzhen2012:​88) {{{eg>​baic1239 (zhaoyanzhen2012:​88)
 tse²¹ ka⁵⁵ tsi³⁵. tse²¹ ka⁵⁵ tsi³⁵.
줄 313: 줄 550:
 }}} }}}
  
-####⑤ 樣態 동량사+#####⑤ 樣態 동량사
  
-동작이 지속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양사임. 양사 pɯ³⁵ ‘동안’,​ 수사 ‘1’과만 결합하고 수사가 생략.+###### ​동작이 지속되는 기간을 나타내는 양사 ​ 
 + 
 +양사 pɯ³⁵ ‘동안’,​ 수사 ‘1’과만 결합하고 수사가 생략한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8) {{{eg>​baic1239 (zhaoyanzhen2012:​88)
줄 323: 줄 562:
 }}} }}}
  
-tɕʰɯ⁵⁵ '​동안',​ 보통 수사 ‘1’과만 결합하고 수사가 생략할 수 있+tɕʰɯ⁵⁵ '​동안',​ 보통 수사 ‘1’과만 결합하고 수사가 생략할 수 있. 
 {{{eg>​baic1239 (zhaoyanzhen2012:​88) {{{eg>​baic1239 (zhaoyanzhen2012:​88)
 pa³⁵ pe⁴⁴ xɯ⁵⁵ (a⁴⁴) tɕʰɯ lɔ⁴². pa³⁵ pe⁴⁴ xɯ⁵⁵ (a⁴⁴) tɕʰɯ lɔ⁴².
줄 330: 줄 570:
 }}} }}}
  
-- sɔ³⁵ ‘동안’,​ 수사에 대한 제한이 없. sɔ³⁵는 어떤 사람 혹은 사물을 보는 횟수를 가리킬 수도 있는데, 보는 기간이 매우 짧음을 나타.+- sɔ³⁵ ‘동안’,​ 수사에 대한 제한이 없 
 + 
 +sɔ³⁵는 어떤 사람 혹은 사물을 보는 횟수를 가리킬 수도 있는데, 보는 기간이 매우 짧음을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줄 338: 줄 580:
 }}} }}}
  
-전체를 나타내는 양사: piɛ⁵⁵, tɔ³³ +###### ​전체를 나타내는 양사: piɛ⁵⁵, tɔ³³ 
-piɛ⁵⁵는 동작이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되는 과정의 전체를 강조.+ 
 +piɛ⁵⁵는 동작이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되는 과정의 전체를 강조한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nɔ³³ tse⁴⁴ uɛ⁴² ɔ⁴⁴ piɛ⁵⁵. nɔ³³ tse⁴⁴ uɛ⁴² ɔ⁴⁴ piɛ⁵⁵.
 2SG again write 3SG.PAT CL 2SG again write 3SG.PAT CL
-너는 다시 한 번 써봐!}}}+너는 다시 한 번 써봐! 
 +}}} 
  
-- tɔ³³는 동이 여러 번 반복됨을 나타.+- tɔ³³는 동이 여러 번 반복됨을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ʑo⁴⁴ nɯ³³ tɕʰa⁴⁴ ŋɔ³³ ɯ³³ xɯ⁵⁵ sa⁵⁵ tɔ³³ lɔ⁴². ʑo⁴⁴ nɯ³³ tɕʰa⁴⁴ ŋɔ³³ ɯ³³ xɯ⁵⁵ sa⁵⁵ tɔ³³ lɔ⁴².
 medicine this CL 1SG drink PFV three CL PFV medicine this CL 1SG drink PFV three CL PFV
-이 약은 내가 세 번 마셨다(한 번에 다 못 마셨음)+이 약은 내가 세 번 마셨다(한 번에 다 못 마셨음)
 }}} }}}
  
-####⑥ 공간 양사:+#####⑥ 공간 양사: 
 + 
 +- tɔ⁴⁴ '​번' ​
  
-tɔ⁴⁴ '​번': ​가는 동작 혹은 방향과 관련되는 양사. 가는 동작이 완료되고 가는 주체가 다시 원래 위치에 왔다는 것을 가리.+- 가는 동작 혹은 방향과 관련되는 양사. 가는 동작이 완료되고 가는 주체가 다시 원래 위치에 왔다는 것을 가리킨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줄 364: 줄 612:
 }}} }}}
  
-복사 형 동량사의의 구조와 의미+###### ​복사 형 동량사의의 구조와 의미
  
-① 동사+수사+동량사 구조 +동사+수사+동량사 구조 
-- 동사+a⁴⁴+동량사(tsi⁴⁴) + 
--동작이 지속되는 시간이 매우 짧음을 나타냄. a⁴⁴가 생략 불가능.  +- 동사+a⁴⁴+동량사(tsi⁴⁴) 
--동량사 뒤에 지소사 tsi⁴⁴가 올 수 있.  + 
-의미: 대충, 마구, 조금 등의 의미를 나타.+- 동작이 지속되는 시간이 매우 짧음을 나타냄. a⁴⁴가 생략 불가능하다. 
 + 
 +- 동량사 뒤에 지소사 tsi⁴⁴가 올 수 있
 + 
 +의미: 대충, 마구, 조금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90) {{{eg>​baic1239 (zhaoyanzhen2012:​90)
줄 378: 줄 630:
 }}} }}}
  
-- 동사+ka⁵⁵+동량사(tsi⁴⁴) +- 동사+ka⁵⁵+동량사(tsi⁴⁴) 
--동작의 빈도가 높고 시간이 짧음을 나타.+ 
 +- 동작의 빈도가 높고 시간이 짧음을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91) {{{eg>​baic1239 (zhaoyanzhen2012:​91)
줄 387: 줄 640:
 }}} }}}
  
-② 동사+방향 동사+동량사+동사+방향 동사+동량사
  
-동량사는 앞에 주동사를 복사한 것.+동량사는 앞에 주동사를 복사한 것이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92) {{{eg>​baic1239 (zhaoyanzhen2012:​92)
줄 397: 줄 650:
 }}} }}}
  
-- 이 구조 앞에 보통 수사가 붙지 않. 그러나 만약에 이 구조 뒤에 動態 조동사 tɯ⁴⁴ 혹은 xɯ⁵⁵가 오면 동량사 앞에 수사 a⁴⁴를 추가할 수 있고, a⁴⁴가 생략 가능하기도 ​+- 이 구조 앞에 보통 수사가 붙지 않는다 
-- 동사+방향 동사+동량사 뒤에 구조 중간에 오는 방향 동사와 방향이 다른 방향 동사가 올 수 있는데, 이 때 구조가 ‘동사+방향 동사+동량사+ 방향 동사’로 확장. 이 구조는 명령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그러나 만약에 이 구조 뒤에 動態 조동사 tɯ⁴⁴ 혹은 xɯ⁵⁵가 오면 동량사 앞에 수사 a⁴⁴를 추가할 수 있고, a⁴⁴가 생략 가능하기도 ​한다
 +- 동사+방향 동사+동량사 뒤에 구조 중간에 오는 방향 동사와 방향이 다른 방향 동사가 올 수 있는데, 이 때 구조가 ‘동사+방향 동사+동량사+ 방향 동사’로 확장한다 
 + 
 +이 구조는 명령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92) {{{eg>​baic1239 (zhaoyanzhen2012:​92)
줄 406: 줄 662:
 }}} }}}
  
-‘동사+방향 동사+동량사+ 방향 동사’ 구조 중 두 번째 방향 동사가 첫 번째 방향 동사와 같은 경우, 이 구조가 복합 동사 구조의 중첩형과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 나타내는 의미가 다름.  +###### ​‘동사+방향 동사+동량사+ 방향 동사’ ​구조의 특징 
-- 복합 동사 구조의 중첩형 구조는 강력한 명령을 나타냄. 이 구조 중간에 휴지를 삽입한다면 첫 번째 ȵi⁴⁴ ɣɯ³⁵ 뒤에 삽입할 수 있음.+ 
 +구조 중 두 번째 방향 동사가 첫 번째 방향 동사와 같은 경우, 이 구조가 복합 동사 구조의 중첩형과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 나타내는 의미가 다름. ​ 
 + 
 +- 복합 동사 구조의 중첩형 구조는 강력한 명령을 나타냄. 
 + 
 + 
 +이 구조 중간에 휴지를 삽입한다면 첫 번째 ȵi⁴⁴ ɣɯ³⁵ 뒤에 삽입할 수 있음.
  
 {{{eg>​baic1239 (zhaoyanzhen2012:​93) {{{eg>​baic1239 (zhaoyanzhen2012:​93)
줄 415: 줄 677:
 }}} }}}
    
-‘동사+방향 동사+동량사+ 방향 동사’ 구조에 휴지를 삽입한다면 세 번째 음절인 ȵi⁴⁴에 삽입해야 함.+ 
 + 
 +‘동사+방향 동사+동량사+ 방향 동사’ 구조에 휴지를 삽입한다면 세 번째 음절인 ȵi⁴⁴에 삽입해야 함.
  
 {{{eg>​baic1239 (zhaoyanzhen2012:​93) {{{eg>​baic1239 (zhaoyanzhen2012:​93)
줄 424: 줄 688:
  
  
-##(3) 趙庄白語 ​동량사의 중첩:+###(3) 자오좡바이어 ​동량사의 중첩
  
-구조: 동사+ 동량사의 중첩형 + 동사 + 동량사의 중첩형+##### 구조: 동사+ 동량사의 중첩형 + 동사 + 동량사의 중첩형
  
-의미: 동작이 이렇게 하다가 다시 다른 동작으로 바꿈의 의미를 나타.+의미: 동작이 이렇게 하다가 다시 다른 동작으로 바꿈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때 앞 뒤 동작이 대조가 ​.+이때 앞 뒤 동작이 대조가 ​된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93) {{{eg>​baic1239 (zhaoyanzhen2012:​93)
줄 438: 줄 702:
 }}} }}}
  
-구조: a⁴⁴+동량사+a⁴⁴+동량사+동사+##### 구조: a⁴⁴+동량사+a⁴⁴+동량사+동사
  
-의미: 동작의 순서를 강조. ​+의미: 동작의 순서를 강조. ​
  
 {{{eg>​baic1239 (zhaoyanzhen2012:​93) {{{eg>​baic1239 (zhaoyanzhen2012:​93)
줄 448: 줄 712:
 }}} }}}
  
-구조: a⁴⁴+동량사 중첩형+tsi⁴⁴(지소사)+동사+##### 구조: a⁴⁴+동량사 중첩형+tsi⁴⁴(지소사)+동사
  
-의미: 동작의 방법을 강조.+의미: 동작이 진쟁되는 모습/방법을 강조.
  
 {{{eg>​baic1239 (zhaoyanzhen2012:​93) {{{eg>​baic1239 (zhaoyanzhen2012:​93)
doc/bai/2_wordclass/28_clf/28_clf.1503709378.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8/26 10:02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