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bai:2_wordclass:28_clf:28_clf [2018/08/18 11:10] 서취아 [2) 동량사] |
doc:bai:2_wordclass:28_clf:28_clf [2021/01/22 21:36] (현재) 서취아 [⑤ 樣態 동량사] |
||
---|---|---|---|
줄 1: | 줄 1: | ||
# 28_clf: 분류사 (classifier 100%) | # 28_clf: 분류사 (classifier 100%) | ||
- | ###(1) 白語의 양사 | + | ###(1) 바이어의 양사 |
- | - 白語의 양사는 명량사와 동량사로 분류할 수 있다. | + | - 바이어의 양사는 명량사와 동량사로 분류할 수 있다. |
####1) 명량사: | ####1) 명량사: | ||
줄 85: | 줄 85: | ||
}}} | }}} | ||
- | #####④ 度量詞 | + | #####④ 도량형 양사 |
{{{lex>baic1239 (xulin2006:200) | {{{lex>baic1239 (xulin2006:200) | ||
줄 131: | 줄 131: | ||
te⁴² xɑ³¹tsi³³xɑ³¹ xɑ̃⁵⁵ tɯ⁴⁴ tso³³ tso³³. | te⁴² xɑ³¹tsi³³xɑ³¹ xɑ̃⁵⁵ tɯ⁴⁴ tso³³ tso³³. | ||
pig every.family raise RES litter litter | pig every.family raise RES litter litter | ||
- | 집집마다 한 우리의 돼지가 키워져 있다. | + | 집집마다 한 우리의 돼지를 키우고 있다. |
}}} | }}} | ||
줄 138: | 줄 138: | ||
양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뒤에 놓이고, 수사는 명사와 양사 중간에 놓인다. | 양사가 명사를 수식할 때 명사 뒤에 놓이고, 수사는 명사와 양사 중간에 놓인다. | ||
- | {{{eg>baic1239 (xulin2006:201) | + | {{{lex>baic1239 (xulin2006:201) |
- | e²¹ ɑ³¹ pʰo⁴⁴ | + | |
- | shoe one PTCL | + | - e²¹ : 신발 + ɑ³¹ : 하나 + pʰo⁴⁴ : CL -> e²¹ɑ³¹pʰo⁴⁴ : 신발 한 짝. |
- | 신발 한 짝. | + | |
}}} | }}} | ||
- | ###(2) 趙庄白語의 양사 | + | ###(2) 자오좡바이어의 양사 |
####1) 명량사 | ####1) 명량사 | ||
줄 199: | 줄 199: | ||
- | ###### tsv⁴⁴ | + | ###### tsv⁴⁴ |
- tsv⁴⁴는 모양이 길고 뻗을 수 있는 물체를 수식하는 양사이다. | - tsv⁴⁴는 모양이 길고 뻗을 수 있는 물체를 수식하는 양사이다. | ||
줄 242: | 줄 242: |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7)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7) | ||
- | - sɯ⁴⁴tɕɯ³⁵ : 수건 + pɯ⁴⁴: CL -> sɯ⁴⁴tɕɯ³⁵pɯ⁴⁴: 수건 한 장 | + | - sɯ⁴⁴tɕɯ³⁵ : 수건 + pɯ⁴⁴: CL -> sɯ⁴⁴tɕɯ³⁵pɯ⁴⁴ : 수건 한 장 |
- | - ui⁴²tɕɯ⁴⁴ : 목도리 + xu³⁵: CL -> ui⁴²tɕɯ⁴⁴xu³⁵: 목도리 한 장 | + | - ui⁴²tɕɯ⁴⁴ : 목도리 + xu³⁵: CL -> ui⁴²tɕɯ⁴⁴xu³⁵ : 목도리 한 장 |
- | + | ||
- | }}} | + | |
+ | }}} | ||
###### kiɛ³⁵ | ###### kiɛ³⁵ | ||
줄 271: | 줄 270: | ||
}}} | }}} | ||
+ | |||
###### ka³⁵ | ###### ka³⁵ | ||
- 길고 높은 물체를 세는 양사이다. | - 길고 높은 물체를 세는 양사이다. | ||
+ |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7)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7) | ||
줄 283: | 줄 284: | ||
}}} | }}} | ||
+ | |||
###### u⁵⁵ | ###### u⁵⁵ | ||
줄 293: | 줄 295: | ||
- xɛ⁵⁵: 야채 + tsɔ²¹: 국물 + u⁵⁵: CL -> 아주 적은 야채 국물 | - xɛ⁵⁵: 야채 + tsɔ²¹: 국물 + u⁵⁵: CL -> 아주 적은 야채 국물 | ||
- | + | ||
}}} | }}} | ||
- | |||
###### tsɯ³³ | ###### tsɯ³³ | ||
줄 302: | 줄 303: |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8)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8) | ||
+ | |||
- tsɯ³³ : 나무 + tsɯ³³: CL -> tsɯ³³tsɯ³³ : 나무 한 그루 | - tsɯ³³ : 나무 + tsɯ³³: CL -> tsɯ³³tsɯ³³ : 나무 한 그루 | ||
줄 308: | 줄 310: | ||
}}} | }}} | ||
+ | |||
###### tsʰɛ⁵⁵ | ###### tsʰɛ⁵⁵ | ||
줄 337: | 줄 340: | ||
###### 카피(copy) 형 양사 | ###### 카피(copy) 형 양사 | ||
+ | |||
+ | 개체 양사 중의 일부가 명사를 카피해서 형성된 양사들이다. | ||
+ | |||
+ | 카피의 방법은 전체 카피와 부분 카피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
- 전체 카피 양사 | - 전체 카피 양사 | ||
- | - 명사가 1음절일 경우 전체 카피가 일어남. | + | - 명사가 1음절일 경우 전체 카피가 일어난다. |
+ | |||
+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9) | ||
+ | |||
+ | - kɔ²¹ : 바다 + kɔ²¹: CL -> kɔ²¹kɔ²¹ : 바다 하나 | ||
+ | |||
+ | - xɛ⁵⁵ : 하늘 + xɛ⁵⁵ : CL -> xɛ⁵⁵xɛ⁵⁵ : 하늘 한 장? |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79) | ||
- | kɔ²¹ kɔ²¹ | ||
- | sea CL | ||
- | 바다 | ||
}}} | }}} | ||
- | - 일부 카피 양사 | + | - 이음절 명사에서 하나의 음절을 카피해서 양사를 만들 수 있다. |
+ | |||
+ | {{{lex>baic1239 (zhaoyanzhen2012:79) | ||
+ | |||
+ | - mi⁴⁴pʰi³³: 태양 + pʰi³³ : CL -> mi⁴⁴pʰi³³pʰi³³ : 태양 한 개 | ||
+ | |||
+ | - tso⁴²kʰui⁵⁵ : 돌 + kʰui⁵⁵: CL -> tso⁴²kʰui⁵⁵kʰui⁵⁵ : 돌 하나 |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79) | ||
- | mi⁴⁴ pʰi³³ pʰi³³ | ||
- | sun CL CL | ||
- | (한 개의)태양 | ||
}}} | }}} | ||
줄 425: | 줄 436: | ||
#####③ 도량형 양사 | #####③ 도량형 양사 | ||
- | - 趙庄白語의 도량형 양사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차용해 온 것이다. | + | - 자오좡바이어의 도량형 양사는 대부분 중국어에서 차용해 온 것이다. |
###### 길이와 관련된 도량형 양사 | ###### 길이와 관련된 도량형 양사 | ||
줄 444: | 줄 455: | ||
}}} | }}} | ||
- | ###### 趙庄白語 명량사가 접미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 | ###### 자오좡바이어 명량사가 접미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여 단어를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eg>baic1239 (zhaoyanzhen2012:85) | {{{eg>baic1239 (zhaoyanzhen2012:85) | ||
줄 572: | 줄 583: | ||
- piɛ⁵⁵는 동작이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되는 과정의 전체를 강조한다. | - piɛ⁵⁵는 동작이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되는 과정의 전체를 강조한다. | ||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 ||
nɔ³³ tse⁴⁴ uɛ⁴² ɔ⁴⁴ piɛ⁵⁵. | nɔ³³ tse⁴⁴ uɛ⁴² ɔ⁴⁴ piɛ⁵⁵. | ||
2SG again write 3SG.PAT CL | 2SG again write 3SG.PAT CL | ||
- | 너는 다시 한 번 써봐!}}} | + | 너는 다시 한 번 써봐! |
+ | }}} | ||
- | - tɔ³³는 동적이 여러 번 반복됨을 나타낸다. | + | - tɔ³³는 동작이 여러 번 반복됨을 나타낸다. |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 {{{eg>baic1239 (zhaoyanzhen2012:89) | ||
ʑo⁴⁴ nɯ³³ tɕʰa⁴⁴ ŋɔ³³ ɯ³³ xɯ⁵⁵ sa⁵⁵ tɔ³³ lɔ⁴². | ʑo⁴⁴ nɯ³³ tɕʰa⁴⁴ ŋɔ³³ ɯ³³ xɯ⁵⁵ sa⁵⁵ tɔ³³ lɔ⁴². | ||
medicine this CL 1SG drink PFV three CL PFV | medicine this CL 1SG drink PFV three CL PFV | ||
- | 이 약은 내가 세 번 마셨다. (한 번에 다 못 마셨음) | + | 이 약은 내가 세 번 마셨다(한 번에 다 못 마셨음). |
}}} | }}} | ||
줄 674: | 줄 688: | ||
- | ###(3) 趙庄白語 동량사의 중첩 | + | ###(3) 자오좡바이어 동량사의 중첩 |
##### 구조: 동사+ 동량사의 중첩형 + 동사 + 동량사의 중첩형 | ##### 구조: 동사+ 동량사의 중첩형 + 동사 + 동량사의 중첩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