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bai:2_wordclass:31_pro:pro_anaphor [2018/06/25 08:56] 127.0.0.1 바깥 편집 |
doc:bai:2_wordclass:31_pro:pro_anaphor [2018/08/18 13:06] (현재) 유현조 |
||
---|---|---|---|
줄 1: | 줄 1: | ||
## pro_anaphor : 문맥지시사 (anaphor, anaphoric pronoun) 100% | ## pro_anaphor : 문맥지시사 (anaphor, anaphoric pronoun) 100% | ||
- | ### 大理 白語의 문맥지시사 | + | ###(1) 바이어의 문맥지시사 |
- | - lɯ³¹ '이', 복수형 lɯ⁵⁵ | + | - lɯ³¹:이 |
- | - mɯ³¹ ‘그/저’, 복수형: mɯ⁵⁵ | + | - lɯ³¹: 이 + PL -> lɯ⁵⁵ |
- | - ɑ⁵⁵tɑ⁴⁴ 근칭 '여기' | + | - mɯ³¹:그/저 |
- | - mɯ⁵⁵tɑ⁴⁴ 원칭 ‘거기’ | + | - mɯ³¹: 그/저 + PL -> mɯ⁵⁵ |
- | - tɑ³⁵tɑ⁴⁴ 초원칭 ‘저기’ | + | |
+ | - ɑ⁵⁵tɑ⁴⁴: 근칭(여기) | ||
+ | - mɯ⁵⁵tɑ⁴⁴: 원칭(거기) | ||
+ | - tɑ³⁵tɑ⁴⁴: 초원칭(저기) | ||
{{{eg>baic1239 (xulin2006:194) | {{{eg>baic1239 (xulin2006:194) | ||
줄 35: | 줄 38: | ||
}}} | }}} | ||
- | ### 大理 白語 중 趙庄白語의 지시사: | + | ###(2) 자오좡바이어의 지시사: |
| |단수|복수| | | |단수|복수| | ||
줄 42: | 줄 45: | ||
|원칭|pɯ³³|pɯ⁵⁵| | |원칭|pɯ³³|pɯ⁵⁵| | ||
- | #### 대명사의 유래 | + | ####1) 대명사의 유래 |
- | 지시사와 사람, 사물, 시간, 장소를 나타내는 양사 혹은 어휘소와 결합하여 형성된 것임. | + | 지시사와 사람, 사물, 시간, 장소를 나타내는 양사 혹은 어휘소와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다. |
- nɯ³³ȵi²¹ ‘이 사람’ | - nɯ³³ȵi²¹ ‘이 사람’ | ||
줄 54: | 줄 57: | ||
- na⁵⁵ui³³ ‘거기’ 등 | - na⁵⁵ui³³ ‘거기’ 등 | ||
- | #### 지시 대명사가 수와의 결합 | + | ####2) 지시 대명사가 수와의 결합 |
- 지시 대명사가 수사와 결합할 때 ‘지시사+수사+양사’의 구조를 가짐. | - 지시 대명사가 수사와 결합할 때 ‘지시사+수사+양사’의 구조를 가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