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2_wordclass:33_adp:33_adp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bai:2_wordclass:33_adp:33_adp [2017/04/27 06:47]
127.0.0.1 바깥 편집
doc:bai:2_wordclass:33_adp:33_adp [2021/01/22 21:23] (현재)
서취아 [xɯ⁴⁴: -ㄴ 것 같다]
줄 1: 줄 1:
-#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 33_adp :  부치사 (adposition) ​100%
  
 +- 자오좡바이어의 조사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
 +###(1) nɔ⁴⁴
 +
 +- nɔ⁴⁴는 처격과 대격 그리고 담화 표지로 쓰일 수 있다.
 +
 +- 원인 접속사 ui⁴⁴ʑo³⁵와 같이 쓰여 원인을 나타내는 구성에도 쓰인다.
 +
 +- 수식어 표지, 명사화소,​ 보어 표지로도 쓰일 수 있다. ​
 +
 +##### 처격 조사로 쓰이는 경우: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1)
 +pɯ³³ tɕʰɯ⁵⁵ tɕi³³tsi⁴⁴pɔ³³ nɔ⁴⁴ ki³⁵ku³³lu³³ŋɯ²¹ tɕi³⁵.
 +that time ridge on crab many
 +그 때 밭두렁 위에 계가 많았다. ​
 +}}}
 +
 +
 +
 +##### 목적격 조사를 쓰이는 경우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1)
 +a⁴⁴ku³⁵ sa⁴⁴ ɔ⁴² nɯ⁵⁵ nɔ⁴⁴ tuo³³.
 +aunt run win 2SG.POSS OBJ cannot
 +이모는 달려서 너를 이길 수 없다. ​
 +}}}
 +
 +
 +
 +##### 화제 표지로 쓰이는 경우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2)
 +no³³ ȵo⁴⁴ pɯ³³ tso⁴⁴ tsɯ³³ nɯ³³ tsɯ³³.
 +2SG do NEG cut tree this CL
 +이 나무를 빼지 마!
 +}}}
 +
 +
 +
 +##### 수식어 표지로 쓰이는 경우: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3)
 +khua⁴⁴ tɯ²¹ nɔ⁴⁴ ȵi⁴⁴to³³ pʰu⁴⁴ si³³.
 +dog CL DET ear CL painful
 +그 강아지의 귀가 아프다. ​
 +}}}
 +
 +
 +
 +##### 명사화소로 쓰이는 경우: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4)
 +ʑi⁴⁴ tsi⁵⁵ ʑi⁴⁴ nɔ⁴⁴ tsɯ³³ lɯ⁴⁴.
 +wear TOP wear NMLZ have PTCL.
 +입는 사람이 있긴 있다. ​
 +}}}
 +
 +
 +
 +##### ‘~기 전에’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4)
 +fv⁵⁵xua⁴² tɕɛ³⁵xui⁴⁴ nɔ⁴⁴ nɔ³³ ʑa⁴⁴ ɣɯ³⁵.
 +fuhua marry before 2SG come back
 +부화가 결혼하기 전에 돌아와라!
 +}}}
 +
 +
 +
 +##### 결과 보어를 이끄는 표지로 쓰이는 경우: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4)
 +pɔ³³ tɕi²¹ kʰv⁴⁴ tɕi²¹ nɔ⁴⁴ tɕʰo⁵⁵.
 +3SG sing song sing PTCL well
 +그녀는 노래를 잘 부른다. ​
 +}}}
 +
 +###(2) mɯ⁵⁵
 +
 +- mɯ⁵⁵는 처격 표지와 피동작주 표지로 사용될 수 있다.
 +
 +- 유래: 원칭 지시사 '​nɯ³³(劒川 방언)'​가 문법화되어 생긴 것이다.
 +
 +##### mɯ⁵⁵가 명사와 대명사 뒤에 쓰여 처소를 나타내는 명사 혹은 명사구를 형성.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5)
 +nɯ mɯ⁵⁵
 +2SG there
 +네가 있는 거기(너희 집)
 +}}}
 +
 +
 +
 +##### mɯ⁴⁴가 탈격 조사로 쓰이는 경우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6)
 +pɔ³³ ȵo⁴⁴ ne⁴⁴ ʑa⁴⁴ ȵɛ³⁵ mɯ⁵⁵ lɯ⁴⁴.
 +3SG will take back 1PL ABL PTCL
 +그는 우리로부터 (그 것을) 가져갈 것이다.
 +}}}
 +
 +##### mɯ⁴⁴가 목적격 조사로 쓰이는 경우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6)
 +nɔ³³ ɯ³⁵ pa⁵⁵ mɯ⁵⁵ a⁴⁴ʑɛ⁴⁴ lɯ⁴⁴ xɛ⁵⁵.
 +2SG call 3PL OBJ uncle PTCL PTCL
 +네가 그들보고 아저씨라고 한 것이다. ​
 +}}}
 +
 +- 만약에 목적어가 인칭대명사 단수형일 경우 대명사가 속격의 형식을 가진다.
 +- 목적어가 3인칭인 경우, 인칭 대명사가 생략 가능, 이때 목적격 조사 mɯ만 남는다.
 +
 +
 +####### 자오좡바이어의 목적어의 특징
 +
 +자오좡바이어의 목적어는 항상 화제화가 될 수 있는데, 화제화가 된 후 목적어의 위치가 비교적 자유롭다.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7)
 +pɯ⁵⁵ mɯ⁵⁵ ŋɔ³³ tɕa³³ tɯ⁴⁴ lɔ⁴².
 +3SG.POSS OBJ 1SG tell PFV PTCL
 +그에게는,​ 내가 알려주었다. ​
 +}}}
 +
 +
 +###(3) 비교를 나타내는 조사
 +
 +
 +
 +##### xɯ⁴⁴: -ㄴ 것 같다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7)
 +na⁵⁵ kiɛ³⁵ ka⁴⁴ tɛ⁴⁴ tsʰa⁵⁵ ɔ⁵⁵ xɯ⁴⁴?
 +2SG maybe CAUS knock wrongly PFV PTCL
 +너희들이 문을 잘못 노크한 것 같다. ​
 +}}}
 +
 +##### tɕa⁴²: 같다
 +
 +유래: ‘친구’의 의미를 가진 단어로부터 유래.
 +
 +비교: 비교 대상들이 같음을 나타낸다.
 +
 +용법: 단독적으로 쓰이지 못하고, ʑy³⁵ ‘같다’,​ tɕo³⁵ ‘같다’,​ ta⁴⁴tsi⁵⁵ ‘하다’ 등과 공기하여 ‘tɕo³⁵...tɕa⁴²’,​ ‘ta⁴⁴tsi⁵⁵...tɕa⁴²’ 구조를 구성하여 ‘~과/와 같다’의 의미를 나타냄.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8)
 +nɔ³³ ʑy³⁵ pɔ³⁵ tɕa⁴² xuo³⁵ ʑi³⁵ a⁴⁴ mɛ⁴⁴ ɔ⁴⁴ kʰo⁵⁵ uo³⁵ mi⁴².
 +2SG like 3SG same red clothes GENR buy 3SG.PAT CL PTCL PTCL
 +너도 걔와 같이 빨간 색 옷을 사!
 +}}}
 +
 +
 +
 +###### tɕa⁴²는 xɯ⁴⁴ ‘같다’와의 결합하여 쓰일 수 있다.
 +
 +둘이 결합하여 ‘ʑy³⁵...xɯ⁴⁴tɕa⁴²’,​ ‘tɕo³⁵...xɯ⁴⁴tɕa⁴²’ 등 ‘~ㄴ 것 같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8)
 +nɔ³³ zy³⁵ fɛ⁴⁴ tɯ⁴⁴ ti⁵⁵ xɯ⁴⁴
 +2SG like have.a.fever PFV a.bit like
 +너는 열이 난 것 같다. ​
 +}}}
 +
 +
 +###(4) 형용사 뒤에 오는 조사 ɕi³⁵, ci³⁵ta³⁵,​ ta³⁵
 +
 +- 방식을 나타내는 조사는 보통 형용사 뒤에 와서 형용사와 함께 방식을 나타내는 수식어를 형성함.
 +
 +{{{eg>​baic1239 (zhaoyanzhen2012:​158)
 +pe⁴⁴ thu⁴⁴ nɯ⁵⁵ ȵo⁴⁴ tɕʰo⁵⁵ ɕi³⁵ pe⁴⁴.
 +walk road TOP should well ADVZ walk
 +길을 걸을 때는 잘 걸어야 한다. ​
 +}}}
  
doc/bai/2_wordclass/33_adp/33_adp.149324327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4/27 06:47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