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bai:4_ss:42_np:42_np [2017/08/22 12:29] 서취아 [(2) 2음절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경우, 명사 중심어 앞에 직접적으로 쓰일 수도 있고 형용사와 명사 사이에 한정 표지인 nɔ⁴⁴를 추가할 수도 있다.] |
doc:bai:4_ss:42_np:42_np [2019/03/29 16:17] (현재) 유현조 |
||
|---|---|---|---|
| 줄 1: | 줄 1: | ||
| - |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ture)100% | + | # 42_np : 명사구 구조 (noun phrase structure)100% |
| - | - 명사구는 수식어와 중심어가 결합하여 형성한 것인데, 趙庄白語 명사구 수식어 자리에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양사가 모두 올 수 있다. | + | - 명사구는 수식어와 중심어가 결합하여 형성한 것인데, 자오좡바이어 명사구 수식어 자리에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양사가 모두 올 수 있다. |
| - | ##(1) 명사가 수식어로 쓰일 경우 | + | ###(1) 명사가 수식어로 쓰일 경우 |
| - | ###1) 수식어가 중심어의 속성을 나타낼 경우, 수식어가 앞에, 중심어가 뒤에 위치한다. | + | ##### 수식어가 중심어의 속성을 나타낼 경우, 수식어가 앞에, 중심어가 뒤에 위치한다.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5)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5) | ||
| 줄 13: | 줄 13: | ||
| }}} | }}} | ||
| - | ###2) 명사가 성별 명사와 결합할 경우, 수식어인 성별 명사가 뒤에, 중심어가 앞에 위치한다. | + | ##### 명사가 성별 명사와 결합할 경우, 수식어인 성별 명사가 뒤에, 중심어가 앞에 위치한다.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5)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5) | ||
| 줄 21: | 줄 21: | ||
| }}} | }}} | ||
| - | ##(2) 명사구가 소유 관계를 나타낼 경우 | + | ###(2) 명사구가 소유 관계를 나타낼 경우 |
| - | ###(1) 대명사가 수식어일 경우 앞에 위치하고 명사 중심어가 뒤에 위치한다. | + | |
| - | ####① 만약에 중심어가 친족어일 경우 인칭대명사가 복수형을 취할 수 없고, 대명사와 명사 사이에 속격 조사 nɔ⁴⁴를 쓸 수 없다. | + | ##### 대명사가 수식어일 경우 앞에 위치하고 명사 중심어가 뒤에 위치한다. |
| + | |||
| + | ##### 만약에 중심어가 친족어일 경우 인칭대명사가 복수형을 취할 수 없고, 대명사와 명사 사이에 속격 조사 nɔ⁴⁴를 쓸 수 없다.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6)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6) | ||
| 줄 31: | 줄 33: | ||
| }}} | }}} | ||
| - | ####② 중심어가 친족어가 아닌 다른 명사인 경우, 수식어인 인칭대명사가 단수형과 속격형을 취한다. 대명사의 속격형 뒤에 속격 표지 nɔ⁴⁴를 쓸 수 있다. | + | |
| + | ##### 중심어가 친족어가 아닌 다른 명사인 경우 | ||
| + | |||
| + | - 수식어인 인칭대명사가 단수형과 속격형을 취한다. 대명사의 속격형 뒤에 속격 표지 nɔ⁴⁴를 쓸 수 있다.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6)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6) | ||
| 줄 39: | 줄 44: | ||
| }}} | }}} | ||
| - | ####③ 중심어가 다른 명사이고 대명사가 인칭대명가의 복수형(속격형이 따로 없음)인 경우 일반적으로 인칭대명사 뒤에 속격표지를 쓰는데, 쓰지 않은 경우도 있다. | + | |
| + | |||
| + | ##### 중심어가 다른 명사이고 대명사가 인칭대명가의 복수형(속격형이 따로 없음)인 경우 | ||
| + | |||
| + | - 일반적으로 인칭대명사 뒤에 속격표지를 쓰는데, 쓰지 않은 경우도 있다.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6)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6) | ||
| 줄 47: | 줄 56: | ||
| }}} | }}} | ||
| - | ###(2) 수식어인 명사가 소유자인 경우 수식어가 앞에, 중심어가 뒤에 위치한다. | + | |
| + | ###(3) 수식어인 명사가 소유자인 경우 | ||
| + | |||
| + | - 수식어가 앞에, 중심어가 뒤에 위치한다. | ||
| - 중심어가 친족어인 경우 수식어의 뒤에 반드시 인칭대명사의 속격 형식을 추가하여 중복 표지를 충당한다. | - 중심어가 친족어인 경우 수식어의 뒤에 반드시 인칭대명사의 속격 형식을 추가하여 중복 표지를 충당한다. | ||
| 줄 56: | 줄 69: | ||
| }}} | }}} | ||
| - | ##(3) 수식어가 수량구인 경우 | ||
| - | - 수량구가 명사를 수식할 경우 어순은 ‘명사+지시대명사+수사+양사’의 순서를 지킨다. 수량이 ‘一’일 경우 수사가 생략 가능하다. | + | ###(4) 수식어가 수량구인 경우 |
| + | |||
| + | - 수량구가 명사를 수식할 경우 어순은 ‘명사+지시대명사+수사+양사’의 순서를 지킨다. | ||
| + | |||
| + | - 수량이 ‘一’일 경우 수사가 생략 가능하다.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7)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7) | ||
| 줄 66: | 줄 82: | ||
| }}} | }}} | ||
| - | ##(4) 수식어가 형용사일 경우 | + | |
| - | ###(1) 1음절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경우 형용사 앞에 위치하고 명사가 뒤에 위치한다. | + | ###(5) 수식어가 형용사일 경우 |
| + | |||
| + | ##### 1음절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경우 | ||
| + | |||
| + | - 형용사 앞에 위치하고 명사가 뒤에 위치한다.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7)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7) | ||
| 줄 75: | 줄 95: | ||
| }}} | }}} | ||
| - | ###(2) 2음절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경우, 명사 중심어 앞에 직접적으로 쓰일 수도 있고 형용사와 명사 사이에 한정 표지인 nɔ⁴⁴를 추가할 수도 있다. | + | |
| + | |||
| + | ##### 2음절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할 경우 | ||
| + | |||
| + | - 명사 중심어 앞에 직접적으로 쓰일 수도 있고 형용사와 명사 사이에 한정 표지인 nɔ⁴⁴를 추가할 수도 있다.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7)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