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4_ss:46_val:46_va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bai:4_ss:46_val:46_val [2017/08/27 13:37]
서취아 [(2) 白語 동사의 피동태(일부 동사에만 적용)]
doc:bai:4_ss:46_val:46_val [2020/10/15 11:45] (현재)
박성하 [ẽ³²+동사]
줄 3: 줄 3:
  
  
-###​(1) ​白語 ​동사의 상호태 ​+###​(1) ​바이어 ​동사의 상호태 ​
  
 동사의 상호태 표지와 동사와의 결합 상황을 다음과 같다. ​ 동사의 상호태 표지와 동사와의 결합 상황을 다음과 같다. ​
줄 11: 줄 11:
 {{{eg>​baic1239 (xulin2006:​202) {{{eg>​baic1239 (xulin2006:​202)
 mɑ⁵⁵ kõ⁵⁵ jĩ²¹ tɕi²¹jĩ⁴⁴ sɑ̃⁵⁵kẽ⁴² tshɯ⁵⁵ kɛ³¹ ​ mɑ⁵⁵ kõ⁵⁵ jĩ²¹ tɕi²¹jĩ⁴⁴ sɑ̃⁵⁵kẽ⁴² tshɯ⁵⁵ kɛ³¹ ​
-3PL two CL yesterday RECP-meet PFV PTCL+3PL two CL yesterday RECP.meet PFV PTCL
 어제 걔네 둘이 만났다. ​ 어제 걔네 둘이 만났다. ​
 }}} }}}
  
-###​(2) ​白語 ​동사의 피동태(일부 동사에만 적용)+###​(2) ​바이어 ​동사의 피동태(일부 동사에만 적용)
  
 피동태 펴지와 동사는 다음과 닽이 결합한다. ​ 피동태 펴지와 동사는 다음과 닽이 결합한다. ​
  
-###### ẽ³²+동사+##### ẽ³²+동사
  
 {{{eg>​baic1239 (xulin2006:​202) {{{eg>​baic1239 (xulin2006:​202)
 ɑ⁵⁵nɑ⁴⁴ jĩ ẽ⁴²tɛ̃⁴⁴ lɑ⁴²? ​ ɑ⁵⁵nɑ⁴⁴ jĩ ẽ⁴²tɛ̃⁴⁴ lɑ⁴²? ​
-who CL PASS-beat PFV+who CL PASS.beat PFV
 누가 맞았어? 누가 맞았어?
 }}} }}}
  
-##(3) 趙庄 白語의 ​피동 구현 방법+###(3) 자오좡바이어 ​피동의 구현 방법
  
-趙庄白語의 피동문은 處置文의 처치 표지와 피동 표지를 통해서 표현.+자오좡바이어의 피동문은 處置文의 처치 표지와 피동 표지를 통해서 표현된다.
  
-처치 표지: ka⁴⁴+처치 표지: ka⁴⁴
  
-피동 표지: tɕuo³⁵; 유래: 西南官話에서 피동 표지 ‘着’을 빌려.+피동 표지: tɕuo³⁵; 유래: 西南官話에서 피동 표지 ‘着’을 빌려온 것이다.
  
-###1) 6 가지의 기본 피동문의 유형+####1) 6 가지의 기본 피동문의 유형
  
-####① 동작주+처치 표지+ 피동작주 + 술어부+#####① 동작주+처치 표지+ 피동작주 + 술어부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줄 45: 줄 45:
 }}} }}}
  
-####② 피동작주+동작주+ 처치 표지+ 술어부+#####② 피동작주+동작주+ 처치 표지+ 술어부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줄 53: 줄 53:
 }}} }}}
  
-####③ 피동작주+동작주+처치표지+피동작주를 지시하는 대명사의 속격 형식+술어부+#####③ 피동작주+동작주+처치표지+피동작주를 지시하는 대명사의 속격 형식+술어부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줄 61: 줄 61:
 }}} }}}
  
-####④ 피동작주+tɕuo³⁵+동작주+술어부+#####④ 피동작주+tɕuo³⁵+동작주+술어부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줄 69: 줄 69:
 }}} }}}
  
-####⑤ 피동작주+tɕuo³⁵+동작주+처치 표지+술어부+#####⑤ 피동작주+tɕuo³⁵+동작주+처치 표지+술어부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줄 77: 줄 77:
 }}} }}}
  
-####⑥ 피동작주+tɕuo³⁵+동작주+ 처치 표지+피동작주를 지시하는 대명사의 속격 형식+술어부+ 
 + 
 +#####⑥ 피동작주+tɕuo³⁵+동작주+ 처치 표지+피동작주를 지시하는 대명사의 속격 형식+술어부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eg>​baic1239 (zhaoyanzhen2012:​189)
 pa⁴⁴tɯ⁵⁵ tɯ²¹ tɕuo³⁵ pɔ³³ kɔ⁴⁴ ( ← ka⁴⁴ ɔ⁴⁴ ) kv⁴⁴ na³⁵ ( ← na³³ xɯ⁵⁵ ) lɔ⁴². pa⁴⁴tɯ⁵⁵ tɯ²¹ tɕuo³⁵ pɔ³³ kɔ⁴⁴ ( ← ka⁴⁴ ɔ⁴⁴ ) kv⁴⁴ na³⁵ ( ← na³³ xɯ⁵⁵ ) lɔ⁴².
줄 84: 줄 87:
 }}} }}}
  
-위의 6 가지 피동문의 목적어는 명사와 명사구가 충당 가능. ​+위의 6 가지 피동문의 목적어는 명사와 명사구가 충당 가능. 
 + 
 + 
 + 
 + 
 +####2) 6 가지 기본 피동문에 바탕을 둔 4 가지의 변이 구문 
 + 
 +#####⑦ 피동작주+동작주+ 처치 표지+ 피동작주의 일치 표지+ 술어부
  
-###2) 6 가지 기본 피동문에 바탕을 둔 4 가지의 변이 구문: 
-####⑦ 피동작주+동작주+ 처치 표지+ 피동작주의 일치 표지+ 술어부 
 {{{eg>​baic1239 (zhaoyanzhen2012:​191) {{{eg>​baic1239 (zhaoyanzhen2012:​191)
 pɯ⁵⁵ tɕʰɯ⁵⁵ a⁴⁴ tsɯ⁴² a⁴⁴ ka⁴⁴ pɯ⁵⁵ ta³³ tsi²¹ xɯ⁵⁵ lɔ⁴². pɯ⁵⁵ tɕʰɯ⁵⁵ a⁴⁴ tsɯ⁴² a⁴⁴ ka⁴⁴ pɯ⁵⁵ ta³³ tsi²¹ xɯ⁵⁵ lɔ⁴².
줄 94: 줄 102:
 }}} }}}
  
-####⑧ 피동작주+피동 표지+동작주+ 피동 표지+ 피동작주의 일치 표지+ 술어부+ 
 + 
 +#####⑧ 피동작주+피동 표지+동작주+ 피동 표지+ 피동작주의 일치 표지+ 술어부 
 {{{eg>​baic1239 (zhaoyanzhen2012:​192) {{{eg>​baic1239 (zhaoyanzhen2012:​192)
 pɯ⁵⁵ tɕʰɯ⁵⁵ a⁴⁴ tɕuo³⁵ tsɯ⁴² a⁴⁴ ka⁴⁴ pɯ⁵⁵ ta³³ tsi²¹ xɯ⁵⁵ lɔ⁴². pɯ⁵⁵ tɕʰɯ⁵⁵ a⁴⁴ tɕuo³⁵ tsɯ⁴² a⁴⁴ ka⁴⁴ pɯ⁵⁵ ta³³ tsi²¹ xɯ⁵⁵ lɔ⁴².
줄 101: 줄 112:
 }}} }}}
  
-####⑨ 피동작주의 일치 표지+화제 표지+동작주+처치 표지+ 피동작주+ 술어부 ​+ 
 + 
 +#####⑨ 피동작주의 일치 표지+화제 표지+동작주+처치 표지+ 피동작주+ 술어부 ​ 
 {{{eg>​baic1239 (zhaoyanzhen2012:​192) {{{eg>​baic1239 (zhaoyanzhen2012:​192)
 pɯ⁵⁵ nɔ⁴⁴ tsɯ⁴² a⁴⁴ ka⁴⁴ pɯ⁵⁵ tɕʰɯ⁵⁵ a⁴⁴ ta³³ tsi²¹ xɯ⁵⁵ lɔ⁴². pɯ⁵⁵ nɔ⁴⁴ tsɯ⁴² a⁴⁴ ka⁴⁴ pɯ⁵⁵ tɕʰɯ⁵⁵ a⁴⁴ ta³³ tsi²¹ xɯ⁵⁵ lɔ⁴².
줄 108: 줄 122:
 }}} }}}
  
-####⑩ (피동작주로부터 추출한)주어+tɕuo³⁵+동작주+처치 표지+피동작주+술어부+#####⑩ (피동작주로부터 추출한)주어+tɕuo³⁵+동작주+처치 표지+피동작주+술어부 
 {{{eg>​baic1239 (zhaoyanzhen2012:​192) {{{eg>​baic1239 (zhaoyanzhen2012:​192)
 pɔ³³ tɕuo³⁵ tsɯ⁴² a⁴⁴ ka⁴⁴ pɯ⁵⁵ tɕʰɯ⁵⁵ a⁴⁴ ta³³ tsi²¹ xɯ⁵⁵ lɔ⁴². pɔ³³ tɕuo³⁵ tsɯ⁴² a⁴⁴ ka⁴⁴ pɯ⁵⁵ tɕʰɯ⁵⁵ a⁴⁴ ta³³ tsi²¹ xɯ⁵⁵ lɔ⁴².
줄 115: 줄 130:
 }}} }}}
  
-피동작주가 무정물인 경우 ⑨, ⑩ 용법이 불가능함.+피동작주가 무정물인 경우 ⑨, ⑩ 용법이 불가능함.
  
-행동주와 피행동주가 모두 인칭 대명사로 나타날 경우 ①, ④, ⑥, ⑨번 유형만 가능.+행동주와 피행동주가 모두 인칭 대명사로 나타날 경우 ①, ④, ⑥, ⑨번 유형만 가능.
  
-###3) 일부 자동사의 피동태는 그들 앞에 피동 표지 ‘tɯ³⁵’를 추가하는 식으로 표현됨.+ 
 + 
 +####3) 일부 자동사의 피동태는 그들 앞에 피동 표지 ‘tɯ³⁵’를 추가하는 식으로 표현됨.
  
 {{{eg>​baic1239 (zhaoyanzhen2012:​193) {{{eg>​baic1239 (zhaoyanzhen2012:​193)
줄 127: 줄 144:
 }}} }}}
  
-###4) 사동 의미를 가진 동사 뒤에 결과 보어나 결과상 표지가 붙음으로써 피동의 의미를 나타.+####4) 사동 의미를 가진 동사 뒤에 결과 보어나 결과상 표지가 붙음으로써 피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193) {{{eg>​baic1239 (zhaoyanzhen2012:​193)
줄 135: 줄 152:
 }}} }}}
  
-處置句나 변이된 구문으로 동작주와 피동작의 관계를 표현할 때 보통 명확한 동작주가 있어야 함. 동작주가 생략된 문장의 주어는 보통 3인칭 복수형 pa⁵⁵나 ȵi²¹kiɛ³⁵ ‘사람’으로 보충될 수 있음.+ 
 +#### 處置句의 특징 
 + 
 +處置句나 변이된 구문으로 동작주와 피동작의 관계를 표현할 때 보통 명확한 동작주가 있어야 함. 
 + 
 +동작주가 생략된 문장의 주어는 보통 3인칭 복수형 pa⁵⁵나 ȵi²¹kiɛ³⁵ ‘사람’으로 보충될 수 있음.
  
 {{{eg>​baic1239 (zhaoyanzhen2012:​194) {{{eg>​baic1239 (zhaoyanzhen2012:​194)
doc/bai/4_ss/46_val/46_val.1503808671.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8/27 13:37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