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4_ss:46_val:46_va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bai:4_ss:46_val:46_val [2018/08/17 19:12]
서취아 [(3) 일부 자동사의 피동태는 그들 앞에 피동 표지 ‘tɯ³⁵’를 추가하는 식으로 표현됨.]
doc:bai:4_ss:46_val:46_val [2020/10/15 11:45] (현재)
박성하 [ẽ³²+동사]
줄 3: 줄 3:
  
  
-###​(1) ​白語 ​동사의 상호태 ​+###​(1) ​바이어 ​동사의 상호태 ​
  
 동사의 상호태 표지와 동사와의 결합 상황을 다음과 같다. ​ 동사의 상호태 표지와 동사와의 결합 상황을 다음과 같다. ​
줄 11: 줄 11:
 {{{eg>​baic1239 (xulin2006:​202) {{{eg>​baic1239 (xulin2006:​202)
 mɑ⁵⁵ kõ⁵⁵ jĩ²¹ tɕi²¹jĩ⁴⁴ sɑ̃⁵⁵kẽ⁴² tshɯ⁵⁵ kɛ³¹ ​ mɑ⁵⁵ kõ⁵⁵ jĩ²¹ tɕi²¹jĩ⁴⁴ sɑ̃⁵⁵kẽ⁴² tshɯ⁵⁵ kɛ³¹ ​
-3PL two CL yesterday RECP-meet PFV PTCL+3PL two CL yesterday RECP.meet PFV PTCL
 어제 걔네 둘이 만났다. ​ 어제 걔네 둘이 만났다. ​
 }}} }}}
  
-###​(2) ​白語 ​동사의 피동태(일부 동사에만 적용)+###​(2) ​바이어 ​동사의 피동태(일부 동사에만 적용)
  
 피동태 펴지와 동사는 다음과 닽이 결합한다. ​ 피동태 펴지와 동사는 다음과 닽이 결합한다. ​
줄 23: 줄 23:
 {{{eg>​baic1239 (xulin2006:​202) {{{eg>​baic1239 (xulin2006:​202)
 ɑ⁵⁵nɑ⁴⁴ jĩ ẽ⁴²tɛ̃⁴⁴ lɑ⁴²? ​ ɑ⁵⁵nɑ⁴⁴ jĩ ẽ⁴²tɛ̃⁴⁴ lɑ⁴²? ​
-who CL PASS-beat PFV+who CL PASS.beat PFV
 누가 맞았어? 누가 맞았어?
 }}} }}}
  
-###​(3) ​趙庄 白語 ​피동의 구현 방법+###​(3) ​자오좡바이어 ​피동의 구현 방법
  
-趙庄白語의 피동문은 處置文의 처치 표지와 피동 표지를 통해서 표현된다.+자오좡바이어의 피동문은 處置文의 처치 표지와 피동 표지를 통해서 표현된다.
  
 처치 표지: ka⁴⁴ 처치 표지: ka⁴⁴
줄 144: 줄 144:
 }}} }}}
  
-###(4) 사동 의미를 가진 동사 뒤에 결과 보어나 결과상 표지가 붙음으로써 피동의 의미를 나타.+####4) 사동 의미를 가진 동사 뒤에 결과 보어나 결과상 표지가 붙음으로써 피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eg>​baic1239 (zhaoyanzhen2012:​193) {{{eg>​baic1239 (zhaoyanzhen2012:​193)
doc/bai/4_ss/46_val/46_val.1534500755.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08/17 19:12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