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bai:4_ss:48_tame:48_tame [2017/06/18 23:00] 서취아 |
doc:bai:4_ss:48_tame:48_tame [2021/01/22 20:59] (현재) 서취아 [1)ʑɛ³⁵] |
||
|---|---|---|---|
| 줄 1: | 줄 1: | ||
| - |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 + | # 48_tame : 시제-상-법-증거성 (TAME) 100% |
| - | - 趙庄白語는 남부 방언에 속한 大理 土語이다. 趙庄白語의 상은 ‘동사와 조동사’의 결합형으로 나타난다. 그 체계는 다음과 같음. | + | ###(1) 상 |
| + | |||
| + | 자오좡바이어의 상은 ‘동사와 조동사’의 결합형으로 나타난다. 상 체계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1)완망상 | ||
| + | |||
| + | ##### 조동사 xɯ⁵⁵ | ||
| + | |||
| + | 동작이 완성되거나 성질 혹은 상태의 변화가 완성됨을 의미함. 원래는 ‘~~ 후에’의 의미를 가진 접속사이다. | ||
| - | ##(1)완망상 | ||
| - | - 조동사 xɯ⁵⁵ | ||
| - | -동작이 완성되거나 성질 혹은 상태의 변화가 완성됨을 의미함. 원래는 ‘~~ 후에’의 의미를 가진 접속사이다.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3)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3) | ||
| pa⁵⁵ pe⁴⁴ xɯ⁵⁵ ŋɔ³³ tsɛ²¹mɯ⁵⁵ ŋiɛ³⁵ na²¹. | pa⁵⁵ pe⁴⁴ xɯ⁵⁵ ŋɔ³³ tsɛ²¹mɯ⁵⁵ ŋiɛ³⁵ na²¹. | ||
| 줄 12: | 줄 17: | ||
| }}} | }}} | ||
| - | - 완망상 표지 xɯ⁵⁵는 종종 그에 선행하는 동사 혹은 형용사, 혹은 동보 구조의 마지막 음절과 융합이 일어난다. 이때 앞에 음절의 성조가 변할 수도 있음. | + | |
| + | ###### 완망상 표지 xɯ⁵⁵의 음절상의 특징 | ||
| + | |||
| + | - 종종 그에 선행하는 동사 혹은 형용사, 혹은 동보 구조의 마지막 음절과 융합이 일어난다. | ||
| + | |||
| + | ###### 음절 융합으로 일어난 성조 변화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6)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6) | ||
| ka⁵⁵ tɯ²¹ sɯ⁴⁴ mu³⁵ ( ← mu²¹ xɯ⁵⁵ ) lɔ⁵⁵ ( ← lɔ⁴⁴ ȵi⁵⁵ ) mu⁴⁴. | ka⁵⁵ tɯ²¹ sɯ⁴⁴ mu³⁵ ( ← mu²¹ xɯ⁵⁵ ) lɔ⁵⁵ ( ← lɔ⁴⁴ ȵi⁵⁵ ) mu⁴⁴. | ||
| - | several CL as.soon flee.PFV ( ← flee PFV ) PFV.also( ← PFV also ) not | + | several CL as.soon flee.PFV ( ← flee PFV ) PFV.also ( ← PFV also ) not |
| 몇 사람이 바로 도망갔다. | 몇 사람이 바로 도망갔다. | ||
| }}} | }}} | ||
| - | - 융합이 일어나는 경우는 일어나지 않은 경우와 의미적으로 미세한 차이가 있음. 융합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행동 혹은 속성의 변화가 완성됨을 더욱 강조함. | + | - 융합이 일어나는 경우는 일어나지 않은 경우와 의미적으로 미세한 차이가 있다. |
| + | |||
| + | - 융합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행동 혹은 속성의 변화가 완성됨을 더욱 강조한다. | ||
| - xɯ⁵⁵는 뒤에 오는 3인칭 여격 조사 ɔ⁴⁴와 문말 어기사 ‘ɔ⁵⁵’와 융합이 일어날 수도 있다. | - xɯ⁵⁵는 뒤에 오는 3인칭 여격 조사 ɔ⁴⁴와 문말 어기사 ‘ɔ⁵⁵’와 융합이 일어날 수도 있다. | ||
| - | 그러나 xɯ⁵⁵는 앞에 음절과 융합이 일어나도 다시 환원할 수 있지만, 뒤에 음절과 융합이 일어날 경우 음운적 환원이 일반적으로 불가능함. 그 이유는 xɯ⁵⁵가 뒤에 오는 음절과 융합이 일어난 후 독립된 하나의 새로운 음절을 형성하였기 때문. | ||
| - | ##(2) 결과상 | + | - 그러나 xɯ⁵⁵는 앞에 음절과 융합이 일어나도 다시 환원할 수 있지만, 뒤에 음절과 융합이 일어날 경우 음운적 환원이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
| + | |||
| + | - 그 이유는 xɯ⁵⁵가 뒤에 오는 음절과 융합이 일어난 후 독립된 하나의 새로운 음절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 ||
| + | |||
| + | |||
| + | ####2) 결과상 | ||
| + | |||
| + | ##### 조동사: tɯ⁴⁴ | ||
| + | |||
| + | 구조: 동사+tɯ⁴⁴ | ||
| + | |||
| + | 의미: 동작이 완료됨을, 혹은 결과가 지속됨을 나타낸다. | ||
| + | |||
| + | 유래: ‘얻다’의 의미를 가진 자동사에서 유래된다. | ||
| + | |||
| + | 출현 위치: 동사와 동보 구조 뒤에만 쓰인다. | ||
| - | -조동사: tɯ⁴⁴ | + | ###### 동작의 완료를 나타날 경우: |
| - | -구조: 동사+tɯ⁴⁴ | + | |
| - | -동작이 완료됨을, 혹은 결과가 지속됨을 나타냄. | + | |
| - | -‘얻다’의 의미를 가진 자동사에서 유래. | + | |
| - | -동사와 동보 구조 뒤에만 쓰임. | + | |
| - | -동작의 완료를 나타날 경우: | +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8)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8) | ||
| 줄 39: | 줄 61: | ||
| }}} | }}} | ||
| - | - 결과의 지속을 나타날 경우: | + | ###### 결과의 지속을 나타날 경우: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8)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8) | ||
| pɔ³³ ʑi⁴⁴ tɯ⁴⁴ xuo³⁵ ʑi³⁵ kʰo⁵⁵. | pɔ³³ ʑi⁴⁴ tɯ⁴⁴ xuo³⁵ ʑi³⁵ kʰo⁵⁵. | ||
| 줄 46: | 줄 69: | ||
| }}} | }}} | ||
| - | ##(3)진행상 | + | ####3)진행상 |
| + | |||
| + | ##### 조동사: tɕɛ³³nɯ⁵⁵ | ||
| + | |||
| + | 구조: 동사+tɕɛ³³nɯ⁵⁵ | ||
| - | -조동사: tɕɛ³³nɯ⁵⁵ | ||
| - | -구조: 동사+tɕɛ³³nɯ⁵⁵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9)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9) | ||
| tɕʰi⁴⁴ ti⁵⁵ mu³³ tɕɛ³³nɯ⁵⁵ nɯ⁵⁵ sɯ⁴⁴ ȵo⁴⁴pɯ³³ ma³³ma³³ ŋiɛ²¹. | tɕʰi⁴⁴ ti⁵⁵ mu³³ tɕɛ³³nɯ⁵⁵ nɯ⁵⁵ sɯ⁴⁴ ȵo⁴⁴pɯ³³ ma³³ma³³ ŋiɛ²¹. | ||
| 줄 55: | 줄 80: | ||
| 지금 몸이 아픈데 여기저기 돌아다니지 마! | 지금 몸이 아픈데 여기저기 돌아다니지 마! | ||
| }}} | }}} | ||
| - | -동사가 목적어를 가진 경우 ‘동사+목적어+ tɕɛ³³nɯ⁵⁵’의 구조 사용. | + | |
| - | + | - 동사가 목적어를 가진 경우 ‘동사+목적어+ tɕɛ³³nɯ⁵⁵’의 구조 사용한다. | |
| - | ##(4) 연속상(지속상) | + | |
| - | -조동사: tɕɔ³³/nɯ⁵⁵ | + | ####4) 지속상 |
| - | -구조: 동사+tɕɔ³³/nɯ⁵⁵ | + | |
| + | |||
| + | |||
| + | ##### 조동사: tɕɔ³³/nɯ⁵⁵ | ||
| + | |||
| + | 구조: 동사+tɕɔ³³/nɯ⁵⁵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9) | {{{eg>baic1239 (zhaoyanzhen2012:109) | ||
| lio³⁵ tɕɔ³³/nɯ⁵⁵ mɛ⁵⁵ȵi⁴⁴ ɣɯ⁴⁴. | lio³⁵ tɕɔ³³/nɯ⁵⁵ mɛ⁵⁵ȵi⁴⁴ ɣɯ⁴⁴. | ||
| 줄 65: | 줄 96: | ||
| 남겨 둬서 내일 먹는다. | 남겨 둬서 내일 먹는다. | ||
| }}} | }}} | ||
| - | - 동사가 목적어를 가진 경우 ‘동사+tɕɔ³³+목적어’ 구조를 사용함. | ||
| - | - 동사+tɕɔ³³ 구조가 “동사+tɕɔ³³ + 동사+tɕɔ³³” 구조로 중첩하여 동작의 지속을 나타낼 수 있음. | ||
| - | ##(5)경험상 | + | - 동사가 목적어를 가진 경우 ‘동사+tɕɔ³³+목적어’ 구조를 사용한다. |
| - | -조동사: kuo⁴⁴ | + | |
| - | -구조: 동사+kuo⁴⁴ | + | - 동사+tɕɔ³³ 구조가 “동사+tɕɔ³³ + 동사+tɕɔ³³” 구조로 중첩하여 동작의 지속을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5)경험상 | ||
| + | |||
| + | ##### 조동사: kuo⁴⁴ | ||
| + | |||
| + | - 구조: 동사+kuo⁴⁴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1)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1) | ||
| pɔ³³ tsi⁵⁵ kuo⁴⁴ sɯ³⁵ʑi⁴⁴. | pɔ³³ tsi⁵⁵ kuo⁴⁴ sɯ³⁵ʑi⁴⁴. | ||
| 줄 77: | 줄 115: | ||
| }}} | }}} | ||
| - | ##(6)예정상(미래) | + | ####6)미래 |
| - | 양태 동사: ȵo⁴⁴‘will’+동사 | + | |
| + | ##### 양태 동사: ȵo⁴⁴‘ㄹ 것이다’+ 동사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1)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1) | ||
| ŋa⁵⁵ ȵo⁴⁴ ŋiɛ²¹ na²¹. | ŋa⁵⁵ ȵo⁴⁴ ŋiɛ²¹ na²¹. | ||
| 줄 85: | 줄 125: | ||
| }}} | }}} | ||
| - | ##(7) 임박상 | ||
| - | 조동사: 동사+ xɔ⁴⁴lɔ⁴² | + | ####7) 임박상 |
| + | |||
| + | ##### 동사+ xɔ⁴⁴lɔ⁴²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2)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2) | ||
| ŋo³³ pe⁴⁴ xɔ⁴⁴lɔ⁴². | ŋo³³ pe⁴⁴ xɔ⁴⁴lɔ⁴². | ||
| 줄 95: | 줄 137: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2)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2) | ||
| - | nɔ³³ ʑa⁵⁵ ( ← ʑa⁴⁴ ɣɯ³⁵ ) pɯ³³ tɕʰɯ⁵⁵ ŋɔ³³ tsʰɛ⁴⁴ ȵi⁵⁵ ( ← ni⁴⁴ xɯ⁵⁵ ) xɔ⁴⁴ lɔ⁴². | + | nɔ³³ ʑa⁵⁵ ( ← ʑa⁴⁴ ɣɯ³⁵ ) pɯ³³ tɕʰɯ⁵⁵ ŋɔ³³ tsʰɛ⁴⁴ ȵi⁵⁵ ( ← ni⁴⁴ xɯ⁵⁵ ) xɔ⁴⁴lɔ⁴². |
| 2SG come.back ( ← back come ) that CL 1SG sleep come.PFV ( ← come PFV ) IMM | 2SG come.back ( ← back come ) that CL 1SG sleep come.PFV ( ← come PFV ) IMM | ||
| 네가 돌아왔을 때 나는 잠들기 직전이었다. | 네가 돌아왔을 때 나는 잠들기 직전이었다. | ||
| - | }}} | + | }}} |
| + | |||
| + | ####8) 기동상 | ||
| + | |||
| + | ##### 동사+kʰɯ³⁵ | ||
| + | |||
| + | 동사 뒤에 추세를 나타내는 동사 kʰɯ³⁵(<kʰɯ⁴⁴ ɣɯ³⁵)‘~기 시작하다’를 추가하는 식으로 표현한다. | ||
| - | ##(8) 기동상 | ||
| - | -동사 뒤에 추세를 나타내는 동사 kʰɯ³⁵(<kʰɯ⁴⁴ ɣɯ³⁵)‘~기 시작하다’를 추가하는 식으로 표현. | ||
| - | -구조: 동사+kʰɯ³⁵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2)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2) | ||
| kɯ³⁵ kʰɯ³⁵ lɔ⁴², ʑi⁴⁴ ʑa³⁵ ʑi³⁵ kʰo⁵⁵ | kɯ³⁵ kʰɯ³⁵ lɔ⁴², ʑi⁴⁴ ʑa³⁵ ʑi³⁵ kʰo⁵⁵ | ||
| - | cold PROXI PFV wear more clothes CL | + | cold become PFV wear more clothes CL |
| 추워졌으니까 옷을 하나 더 입어라! | 추워졌으니까 옷을 하나 더 입어라! | ||
| }}} | }}} | ||
| - | ##(9) 잠시상 | + | |
| - | -조동사: ka⁴⁴ | + | |
| - | -구조: ka⁴⁴+ 동사 | + | ####9) 잠시상 |
| - | -‘시도’ 혹은 동작이 잠깐 진행됨을 나타냄. | + | |
| + | ##### 조동사: ka⁴⁴ | ||
| + | |||
| + | 구조: ka⁴⁴+ 동사 | ||
| + | |||
| + | 의미: ‘시도’ 혹은 동작이 잠깐 진행됨을 나타냄.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3) | {{{eg>baic1239 (zhaoyanzhen2012:113) | ||
| ŋɔ³³ a⁵⁵si⁵⁵ ka⁴⁴ a³³. | ŋɔ³³ a⁵⁵si⁵⁵ ka⁴⁴ a³³. | ||
| 줄 119: | 줄 171: | ||
| }}} | }}} | ||
| - | - ‘ka⁴⁴+ 동사’ 구조가 나타나는 ‘잠깐 이루어진 동작’의 의미가 ‘동사+동사+tsi⁴⁴’ 구조와 비슷하고, 문장에서 나타나는 위치도 같기 때문에 호환할 수 있음. | + | - ‘ka⁴⁴+ 동사’ 구조가 나타나는 ‘잠깐 이루어진 동작’의 의미가 ‘동사+동사+tsi⁴⁴’ 구조와 비슷하다. |
| + | |||
| + | - 문장에서 나타나는 위치도 같기 때문에 호환할 수 있음. | ||
| + | |||
| + | |||
| + | |||
| + | ###(2) 자오좡바이어의 증거성 표지 | ||
| + | |||
| + | ####1)ʑɛ³⁵ | ||
| + | |||
| + | 문말에 오는 의문 조사 ʑɛ³⁵는 화자가 간접적으로 얻은 지식에 바탕을 두고 질문하는 것임을 나타낸다. | ||
| + | |||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62) | ||
| + | ȵi⁴² ʑi²¹ ŋɔ³³ ʑɛ³⁵ | ||
| + | 2SG find 1SG INDIREVID.Q | ||
| + | 저를 찾으세요? | ||
| + | }}} | ||
| + | |||
| + | |||
| + | ####2) tsɔ⁴² | ||
| + | |||
| + | tsɔ⁴² '말하다'가 문말에 쓰여 증거성 표지로 사용된다. | ||
| + | |||
| + | {{{eg>baic1239 (zhaoyanzhen2012:98) | ||
| + | nɯ⁵⁵ mɔ³³ ʑa⁵⁵ ( ← ʑa⁴⁴ ɣɯ³⁵ ) lɔ⁴⁴ tsɔ⁴² | ||
| + | 2SG mother come.back ( ← come back ) PFV say | ||
| + | 너의 엄마가 돌아왔다고 들었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