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oc:bai:4_ss:51_neg:51_neg [2017/08/30 17:31] 서취아 |
doc:bai:4_ss:51_neg:51_neg [2021/01/22 20:56] (현재) 서취아 [부정 부사 pɯ³³와 부정 조동사 mu³³의 차이] |
||
---|---|---|---|
줄 1: | 줄 1: | ||
# 51_neg : 부정 (negation) 100% | # 51_neg : 부정 (negation) 100% | ||
- | 趙庄白語의 부정은 부정 동사와 부정 조동사 그리고 부정 부사에 의해서 구현됨. | + | 자오좡바이어의 부정은 부정 동사와 부정 조동사 그리고 부정 부사에 의해서 구현된다. |
###(1) 부정 동사 | ###(1) 부정 동사 | ||
줄 9: | 줄 9: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3)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3) | ||
pɯ⁵⁵ mɔ³³ a³³ tɯ⁴⁴ pɯ⁵⁵ tsi⁴⁴ ȵi²¹ mu³³ a⁴⁴. | pɯ⁵⁵ mɔ³³ a³³ tɯ⁴⁴ pɯ⁵⁵ tsi⁴⁴ ȵi²¹ mu³³ a⁴⁴. | ||
- | 3SG mother look PEV 3SG son CL not.exist PTCL | + | 3SG mother look PFV 3SG son CL NEG.EXIST PTCL |
그의 엄마는 그의 아들이 없어짐을 발견하였다. | 그의 엄마는 그의 아들이 없어짐을 발견하였다. | ||
}}} | }}} | ||
줄 15: | 줄 15: | ||
###(2) 조동사의 부정형 | ###(2) 조동사의 부정형 | ||
- | 양태 동사의 부정형: tu⁴⁴ ‘ㄹ 수 없다’, xu³³ ‘ㄹ 수 없다’, tuo ‘ㄹ 수 없다’, ʑy³³ ‘감히 ㄹ 수 없다’; piɔ³³ ‘아니다’ | + | - 양태 동사의 부정형: tu⁴⁴ ‘-ㄹ 수 없다’, xu³³ ‘-ㄹ 수 없다’, tuo ‘-ㄹ 수 없다’, ʑy³³ ‘감히 -ㄹ 수 없다’; piɔ³³ ‘아니다’ |
- | 그들은 문말에 위치하여 그들의 앞에 오는 동작에 대한 부정을 나타냄. | + | - 이들은 문말에 위치하여 그들의 앞에 오는 동작에 대한 부정을 나타낸다. |
- | 부정 조동사 mu³³가 문장에 쓰일 때 동사 앞에 부정 접두사가 쓰여야 함. | + | - 부정 조동사 mu³³가 문장에 쓰일 때 동사 앞에 부정 접두사가 쓰여야 한다. |
####1) 양태 동사의 부정형이 쓰이는 경우 | ####1) 양태 동사의 부정형이 쓰이는 경우 | ||
줄 41: | 줄 41: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4)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4) | ||
pɔ³³ zɯ³³ki⁴⁴ tso²¹ mu³³. | pɔ³³ zɯ³³ki⁴⁴ tso²¹ mu³³. | ||
- | 3SG know NEG.PREFIX not | + | 3SG know NEG.PREF not |
그가 아직 모른다. | 그가 아직 모른다. | ||
}}} | }}} | ||
줄 49: | 줄 49: | ||
####1) pɯ³³ | ####1) pɯ³³ | ||
- | 부정 부사 pɯ³³는 보통 술어 앞에 위치하여 뒤에 오는 술어에 대한 부정을 나타냄. | + | 부정 부사 pɯ³³는 보통 술어 앞에 위치하여 뒤에 오는 술어에 대한 부정을 나타낸다.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5)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5) | ||
줄 57: | 줄 57: | ||
}}} | }}} | ||
- | ###### 술어가 두 개의 동사로 구성할 경우 | + | ##### 술어가 두 개의 동사로 구성할 경우 |
- | 만약에 첫 번째 동사의 목적어가 두 번째 동사의 주어일 경우이면 이때 부정 부사가 첫 번째 동사 앞에 올 수도 있고, | + | ###### 만약에 첫 번째 동사의 목적어가 두 번째 동사의 주어일 경우이면 이때 부정 부사가 첫 번째 동사 앞에 올 수도 있고, 두 번째 동사 앞에도 올 수 있다. |
- | 두 번째 동사 앞에도 올 수 있음. 이 때 부정은 모두 첫 번째 동사에 대한 부정임. | + | - 이 때 부정은 모두 첫 번째 동사에 대한 부정이다.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5)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5) | ||
pa⁵⁵ kɯ⁴⁴ kɔ⁴⁴ ( ← kɯ⁴⁴ ɔ⁴⁴ ) pɯ³³ ɣɯ⁴⁴. | pa⁵⁵ kɯ⁴⁴ kɔ⁴⁴ ( ← kɯ⁴⁴ ɔ⁴⁴ ) pɯ³³ ɣɯ⁴⁴. | ||
- | 3PL give 3SG.PAT ( ← give 3SG.PA ) not eat | + | 3PL give 3SG.PAT ( ← give 3SG.PAT ) not eat |
그들은 그 사람을 먹게 하지 않는다. | 그들은 그 사람을 먹게 하지 않는다. | ||
}}} | }}} | ||
줄 72: | 줄 72: | ||
- | 만약에 동사 뒤에 보어가 온다면, 부정 부사 pɯ³³가 동사와 보어의 중간에 오는데, 이 구조가 어휘화된 경향이 있음. | + | ###### 만약에 동사 뒤에 보어가 온다면, 부정 부사 pɯ³³가 동사와 보어의 중간에 오는데, 이 구조가 어휘화된 경향이 있다.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5)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5) | ||
줄 82: | 줄 82: | ||
##### 부정 부사 pɯ³³와 부정 조동사 mu³³의 차이 | ##### 부정 부사 pɯ³³와 부정 조동사 mu³³의 차이 | ||
- | mu³³는 화자가 어떤 사건에 대한 객관적 태도가 가짐을 나타내는 반면에, pɯ³³는 화자의 강한 주관적 감정을 나타냄. | + | - mu³³는 화자가 어떤 사건에 대한 객관적 태도가 가짐을 나타내는 반면에, pɯ³³는 화자의 강한 주관적 감정을 나타낸다. |
- | 따라서 화자가 어떤 사건을 기술할 때, 행동주가 만약에 3인칭인 경우 pɯ³³가 쓰이지 않음. | + | - 따라서 화자가 어떤 사건을 기술할 때, 행동주가 만약에 3인칭인 경우 pɯ³³가 쓰이지 않는다. |
- | mu³³는 이미 과거 새타 또는 완료 사태에 대한 부정만 가능한 반면에 pɯ³³는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부정이 모두 가능. | + | - mu³³는 이미 과거 새타 또는 완료 사태에 대한 부정만 가능한 반면에 pɯ³³는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부정이 모두 가능하다. |
###### pɯ³³의 용법 | ###### pɯ³³의 용법 | ||
줄 97: | 줄 97: | ||
}}} | }}} | ||
- | - 예문에서 pɯ³³는 현재 사태에 대한 부정을 나타내고, 화자의 주관적 감정도 함께 표현됨. | + | - 예문에서 pɯ³³는 현재 사태에 대한 부정을 나타내고, 화자의 주관적 감정도 함께 표현된다. |
줄 106: | 줄 106: |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7) | {{{eg>baic1239 (zhaoyanzhen2012:187) | ||
ŋɔ³³ tsi⁵⁵ ŋɔ³³ ɣɯ⁴⁴ tso²¹ mu³³. | ŋɔ³³ tsi⁵⁵ ŋɔ³³ ɣɯ⁴⁴ tso²¹ mu³³. | ||
- | 1SG TOP 1SG eat NEG.PREFIX not | + | 1SG TOP 1SG eat NEG.PREF not |
(먹으면 알러지가 생기기 때문에)나는 (원래) 안 먹어! | (먹으면 알러지가 생기기 때문에)나는 (원래) 안 먹어! | ||
}}} | }}} | ||
- | - mu³³는 어떤 외부적 요인 때문에 행동을 할 수 없음을 나타냄. | + | - mu³³는 어떤 외부적 요인 때문에 행동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
줄 119: | 줄 118: | ||
##### ȵo⁴⁴ '-지 말다' | ##### ȵo⁴⁴ '-지 말다' | ||
- | 출현 위치: 보통 동사 앞에 출현. ‘두렵다’와 결합할 때만 뒤에 출현. | + | - 출현 위치: 보통 동사 앞에 출현. ‘두렵다’와 결합할 때만 뒤에 출현한다.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4)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4) | ||
줄 135: | 줄 134: | ||
##### ȵo⁴⁴pɯ³³ '-지 말다' | ##### ȵo⁴⁴pɯ³³ '-지 말다' | ||
- | 유래: 동사 ȵo⁴⁴ ‘intend’와 부정 부사 pɯ³³의 결합형임. | + | 유래: 동사 ȵo⁴⁴ ‘intend’와 부정 부사 pɯ³³의 결합형이다. |
- | 위치: 동사 앞에 출현. | + | 위치: 동사 앞에 출현한다.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5) | {{{eg>baic1239 (zhaoyanzhen2012: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