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baima:1_phonology:11_cons:11_cons [2017/06/25 19:10] 최소연 [11_cons : 자음 (consonant) : 100%] |
doc:baima:1_phonology:11_cons:11_cons [2018/06/25 08:56] (현재) |
||
|---|---|---|---|
| 줄 38: | 줄 38: | ||
| - 바이마어의 자음군은 유성 폐쇄음과 유성 파찰음이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과 같이 이루어진 것이다. | - 바이마어의 자음군은 유성 폐쇄음과 유성 파찰음이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과 같이 이루어진 것이다. | ||
| - | - 자음군은 7개가 있다. [mb], [nd], [Ng], [ndz], [ndz`], [ndZ], [nd\]. | + | - 자음군은 7개가 있다. [mb], [nd], [Ng], [ndz], [ndz`], [ndZ], [ndʑ]. |
| - 자음군의 결합 방식은 단일하여 주로 유성음과 유성음이 결합한다. | - 자음군의 결합 방식은 단일하여 주로 유성음과 유성음이 결합한다. | ||
| -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만이 같은 조음 위치의 폐쇄음, 파찰음과 결합한다. | - 같은 조음 위치의 비음만이 같은 조음 위치의 폐쇄음, 파찰음과 결합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