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aima:2_wordclass:28_clf:28_clf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baima:2_wordclass:28_clf:28_clf [2017/05/11 21:25]
127.0.0.1 바깥 편집
doc:baima:2_wordclass:28_clf:28_clf [2018/08/17 10:37] (현재)
최소연
줄 1: 줄 1: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28_clf : 분류사 (classifier)
  
 +- 바이마어의 분류사는 풍부하고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 기분적인 어순은 ‘(명사+)분류사+수사’이다.
 +
 +### (1) 일반 분류사
 +
 +[guɛ13] 칸 → [ŋgɔ35guɛ13tʂu53] 방 여섯 칸
 +
 +[po13kɑ53] 권 → [ʑi341po13kɑ53ŋɑ341] 책 다섯 권
 +
 +[dɐ13] 그루 → [ʃ_he13dɐ13tʃɿ53] 나무 한 그루
 +
 +### (2) 집단 분류사
 +
 +[ro13uɑ53] 집 → [ȵe53ro13uɑ53ȵi341] 두 집 사람
 +
 +[dɛ13] 무리 → [y35dɛ13so53] 양 세 무리
 +
 +[tʃ_hɑ13] 켤레 → [dʑɑ13ɦo35tʃ_hɑ13ʃɿ13] 신발 한 켤레
 +
 +### (3) 척도 분류사
 +
 +#### ① 길이 분류사
 +
 +[k_hɑ13] 척 → [k_hɔ13uɑ13ɦɔ35] 베 한 척
 +
 +[ʃɐ13mɛ35] 리 → [iɔʃɐ13mɛ35tʃɿ53] 길 한 리
 +
 +[ndɔ53mbɑ53] 발 → [dʑɑ13ku53ndɔ53mbɑ53ko53] 실 한 발
 +
 +#### ② 무게 분류사
 +
 +[dʑɑ341] 근 → [ʑø341dʑɑ341ɦɔ35] 기름 한 근
 +  ​
 +
 +[ʃɿ13] 냥 → [ts_ha53ʃɿ13ȵi341] 소금 두 냥
 +
 +#### ③ 용량 분류사
 +
 +[kɛ35] 말 → [ndʐe35kɛ35ɦɔ35] 쌀 한 말 
 + 
 +
 +[ʃəndzɿ53] 되 → [tʂo35ʃəndzɿ53so53] 메밀 석 되  ​
 +
 +
 +[tɔ13zɿ53] 통 → [s_hɑ13ŋø35tɔ13zɿ53ko53] 씨앗 한 통
 +
 +### (4) 시간 분류사
 +
 +[ȵyɛ35ȵ341] 이틀  ​
 +
 +
 +[dzɑ13ʒɿ53] ​ 한 달  ​
 +
 +
 +[nɔ35mɑ53tʃo13te35] 아침 내내
 +
 +### (5) 명사를 분류사로 차용하는 경우  ​
 +
 +[tʃ_ho13zɿ53] 물통 → [tʃ_ho13ndʑɑ35tʃ_ho13zɿ53ȵi341] 물 두 통
 +
 +[sɔ13tʃo35] 솥 → [sɔ13sɔ13tʃo35ʐə341] 밥 네 솥
 +
 +[k_ha53] 입 → [tʃ_ho13ndʑɑ35k_ha53ko53] 물 한 모금
 +
 +### (6) 동사를 분류사로 차용하는 경우
 +
 +[t_hi13] 떨어지다 → [tʃ_ho13ndʑɑ35t_hi13tʃɿ53] 물 한 방울
 +
 +[ʨi53mbo53] 안다 → [ʃ_he35ʨi53mbo53ʐə341] 땔감 네 아름
 +
 +[s_hɑ13ze53] 지다 → [ndʐe35s_ho13ze53tʂu53] 쌀 여섯 짐
 +
 +### (7)동량사(動量詞)
 +
 +- 행위, 동작의 수를 나타낸다. ‘[ɑ13ku53],​ [tɑ13uɛ53]’(번,​ 회) 등이 있는데 ‘[ɑ13ku53]’가 더 많이 쓰인다.
 +
 +{{{eg>​baim1244 (sunhongkai2007:​71)
 +[ʑi341 ndɛ53 k_ho13ȵe53 tɑ13uɛ53 so53 te35 ʃɿ13].
 +book this 3SG CL three read PRF
 +이 책은 그가 세 번을 읽었다.
 +}}}
 +
 +
 +{{{eg>​baim1244 (sunhongkai2007:​71)
 +[ŋɑ35 ​ nɑ13        nɔ53   ​ɑ13ku53 ​ ʒə341 tɐ13nɑ53 ​ ndʐø53 ​  ​ʨ_hɛ53 ​ uɛ13].
 +1SG   ​mountain PTCL   ​CL ​    ​four ​   bear    hunt    go   PRF
 +나는 곰을 사냥하러 산에 네 번 갔다.
 +}}}
 +
 +
 +- 동량사 뒤에 ‘[rɿ53ɿ53]’를 삽입함으로써 ‘-마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
 +{{{eg>​baim1244 (sunhongkai2007:​71)
 +[ʃ_hɑ35ndʐø35ȵi53ȵe53 ​ ɑ13ku53 ​ rɿ53ɿ53 ​  ​nɑ13 ​       nɔ53  ʨ_hɛ53 ​ rɛ53    ʃ_hɑ35 ​     se53   ​k_ho53 ​  ​dɐ13].
 +hunter ​             CL     ​every ​ mountain ​ PTCL  go   ​CONJ ​ animal ​  ​hunt ​ carry  PROG
 +사냥꾼이 산에 갈 때마다 동물을 사냥할 수 있다.
 +}}}
 +
 +
 +### (8) 중국어의 수량사구를 분류사로 차용하는 경우
 +
 +[i13xo13] 한 통  ​
 +[mɑ13t_hɑ53] 사탕 + [i13xo13] 한 통 + [tʃo13te35] 하나 => [mɑ13t_hɑ53i13xo13tʃo13te35] 사탕 한 통
 +
 +
 +[i13ɕɑ~35] 한 박스  ​
 +[kø35] 옷 + [i13ɕɑ~35] 한 박스 + [tʃo13te35] 하나 => [kø35i13ɕɑ~35tʃo13te35] 옷 한 박스
 +
 +
 +- 구어에서는 ‘(명사+)수사+분류사’의 쓰임도 있다.
 +
 +[ŋgɔ35] 집 + [tʃɿ53] 하나 + [ndyɛ35] 층 => [ŋgɔ35tʃɿ53ndyɛ35] 집 한 층  ​
 +
 +
 +[ŋgɔ35] 집 + [so53] 셋 + [ndyɛ35] 층 => [ŋgɔ35so53ndyɛ35] 집 세 층
 +
 +- 배수를 나타내는 ‘[lɛ35]’가 분류사의 성질도 갖고 있다. 그 구성은 ‘명사+수사+배수’이다.
 +
 +[tʃ_ho13ndʑɑ35] 물 + [ŋɑ341] 다섯 + [lɛ35] 배 => [tʃ_ho13ndʑɑ35ŋɑ341lɛ35] 다섯 배 물  ​
 +
 +
 +[ʑø341] 기름 + [so53] 셋 + [lɛ35] 배 => [ʑø341so53lɛ35] 세 배 기름
 +
 +
 +- 바이마어의 분류사는 보통 지시대명사와 직접 결합하지 않는다. 수량사구가 지시대명사와 결합하여 ‘지시대명사+수사+분류사’의 구성을 이루어 명사를 수식한다.
 +
 +[ȵe53] 사람 + [ŋgɐ53] 개 + [ʒə341] 넷 + [u53lɛ53] 그 => [ȵe53ŋgɐ53ʒə341u53lɛ53] 그 네 명의 사람  ​
 +
 +
 +[sɔ35] 밥 + [sɔ13tʃo35] 솥 + [ȵi341] 두 + [ndɛ53] 이 => [sɔ35sɔ13tʃo35ȵi341ndɛ53] 이 두 솥의 밥
 +
 +
 +- 지시대명사가 명사 앞에 올 수도 있다.
 +
 +[ndɛ53] 이 + [ȵe53] 사람 + [ro13uɑ53] 집 + [ȵi341] 이=> [ndɛ53ȵe53ro13uɑ53ȵi341] 이 두 집 사람  ​
 +
 +
 +[u53lɛ53] 그 + [y35] 양 + [dɛ13] 무리 + [ko53] 하나 => [u53lɛ53y35dɛ13ko53] 그 한 무리 양
doc/baima/2_wordclass/28_clf/28_clf.149450554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7/05/11 21:25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