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doc:bangru:1_phonology:14_sylstr:14_sylstr [2020/09/24 12:28] 127.0.0.1 바깥 편집 |
doc:bangru:1_phonology:14_sylstr:14_sylstr [2020/10/22 22:03] (현재) 최소연 |
||
|---|---|---|---|
| 줄 1: | 줄 1: | ||
| #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 # 14_sylstr : 음절구조 (syllable structure) | ||
| + | |||
| + | |||
| + | - 벙루어의 음절에 늘 성조가 딸려 있지만 성조가 단어 의미를 구분하는 기능은 보조적 역할만 한다. | ||
| + | - 벙루어의 기본 음절 구조는 ‘성모(기본 자음+후치 자음)+운모(개음+주요모음+이차모음+자음 운미)’이다. | ||
| + | - 주요모음은 필수적이고 나머지는 빈칸으로 존재해도 된다. | ||
| + | - 자음이 성음절로 존재하는 경우가 없다. | ||
| + | - 구체적인 음절 구조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① CCSV | ||
| + | |||
| + | - 기본 자음+후치 자음+개음+주요 모음. 예: blia⁵³(깨지다). | ||
| + | |||
| + | ##### ② CCVV | ||
| + | |||
| + | - 기본 자음+후치 자음+주요 모음+이차 모음. 예: kʰrai⁵³(깁다). | ||
| + | |||
| + | ##### ③ CVVC | ||
| + | |||
| + | - 기본 자음+주요 모음+이차 모음+자음 운미. 예: vi⁵⁵ʥauŋ⁵³(수영하다). | ||
| + | |||
| + | ##### ④ CSVV | ||
| + | |||
| + | - 기본 자음+개음+주요 모음+이차 모음. 예: muai⁵³(일곱). | ||
| + | |||
| + | ##### ⑤ CVV | ||
| + | |||
| + | - 기본 자음+주요 모음+이차 모음. 예: nai⁵⁵(밤에). | ||
| + | |||
| + | ##### ⑥ CVC | ||
| + | |||
| + | - 기본 자음+주요 모음+자음 운미. 예: nan⁵⁵(누르다). | ||
| + | |||
| + | ##### ⑦ CV | ||
| + | |||
| + | - 기본 자음+주요 모음. 예: tɤ⁵⁵(당기다). | ||
| + | |||
| + | ##### ⑧ V | ||
| + | |||
| + | - 주요 모음. 예: a³¹(조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