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bezhta: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1/23 23:27] 안대섭 |
doc:bezhta:2_wordclass:23_verb:23_verb [2021/01/27 11:46] (현재) 안대섭 |
||
|---|---|---|---|
| 줄 1: | 줄 1: | ||
| # 23_verb : 동사 (verb) | # 23_verb : 동사 (verb) | ||
| - | - 동사 형태는 동사 범주, 수, 격, 시제, 타동성, 태, 상과 그 외 요소들과 연관되어 있는 많은 곡용과 서법 형태들을 가진다. | + | - 동사 형태는 동사 범주, 수, 격, 시제, 타동성, 태, 상과 그 외 요소들과 연관되어 있는 많은 활용과 서법 형태들을 가진다. |
| ### 베슈틴어 동사의 형태 | ### 베슈틴어 동사의 형태 | ||
| 줄 7: | 줄 7: | ||
| | | 어간 | 어간 | | | | | | 어간 | 어간 | | | | ||
| | 접두사 | 어근 | 접미사1 | 접미사2 | 접미사3 | | | 접두사 | 어근 | 접미사1 | 접미사2 | 접미사3 | | ||
| - | | 범주/수 | 복수, 역수동태 | 복수, 역수동태, 사동 | 부정형, 시제, 상, 조동사, 부사, 부정 | 격, 조동사 | | + | | 부류/수 | 복수, 역수동태 | 복수, 역수동태, 사동 | 부정형, 시제, 상, 조동사, 부사, 부정 | 격, 조동사 | |
| + | |||
| + | |||
| + | ### 부류 범주 | ||
| + | |||
| + | - 베슈틴어 동사에는 명사 범주에 맞춰 활용되는 부류 동사, 명사 범주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부류 동사가 존재한다. | ||
| + | |||
| + | #### 접두사 부착 | ||
| + | |||
| + | - 명사 부류에 맞춰 활용하는 부류 동사는 2와 4 부류에서 접두사 й- 를 사용한다. | ||
| + | |||
| + | {{{lex>bezh1248 (Comrie2015:335) | ||
| + | |||
| + | - й-егь-ал '열다' | ||
| + | - й-атI-ал '원하다' | ||
| + | - й-икь-ал '살해하다' | ||
| + | |||
| + | }}} | ||
| + | |||
| + | #### 접요사 부착 | ||
| + | |||
| + | - 몇몇 동사는 어근 모음이 변화하여 부류를 표시한다. | ||
| + | |||
| + | {{{lex>bezh1248 (Comrie2015:335) | ||
| + | |||
| + | - г-о-в-ал 'go' (1부류) | ||
| + | - г-и-й-ал 'go' (2부류) | ||
| + | - г-у-в-ал 'go' (3, 4부류) | ||
| + | |||
| + | }}} | ||
| ### 수 | ### 수 | ||
| 줄 35: | 줄 65: | ||
| }}} | }}} | ||
| + | |||
| + | - 부류에 따라 활용하지 않는 동사들은 접요사 부착만을 사용할 수 있다. | ||
| #### 접두사와 접요사 부착 | #### 접두사와 접요사 부착 | ||
| 줄 46: | 줄 78: | ||
| }}} | }}} | ||
| + | |||
| + | ### 타동성과 자동성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