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doc:bonan:2_wordclass:22_noun:22_noun [2018/11/04 17:44] 127.0.0.1 바깥 편집 |
doc:bonan:2_wordclass:22_noun:22_noun [2019/06/15 14:59] (현재) 서취아 |
||
|---|---|---|---|
| 줄 1: | 줄 1: | ||
| # 22_noun : 명사 (noun) | # 22_noun : 명사 (noun) | ||
| + | -명사는 수와 격의 변화가 있다. | ||
| + | |||
| + | ###(1) 명사의 단수형과 복수형 | ||
| + | |||
| + | - 단수형은 무표적이고 복수 표지는 -lə이다. | ||
| + | |||
| + | ɕile:책상 + -lə:PL -> ɕilelə: 책상들 | ||
| + | |||
| + | iadʑĭ:아이 + -lə:PL -> iadʑĭlə: 아이들 | ||
| + | |||
| + | - 명사의 앞이나 뒤에 수사가 올 경우, 또는 문장에 명시가 나타내는 사물이 복수임을 나타내는 다른 성분이 있을 경우, 명사의 복수 표지는 생략된다. | ||
| + | |||
| + | - 자연 현상이나 심리적 활동 등 셀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명사들은 복수 표지를 취하지 않는다. 예컨대, ki ‘바람’, hajim‘우뢰’, siɕiaŋ ‘사상’등은 그 예이다. | ||
| + | |||
| + | |||
| + | ###(2) 명사의 격 | ||
| + | |||
| + | - 격은 주격, 속격, 여격, 탈격-비교격, 도구격-공동격이 있다. | ||
| + | |||
| + | ##### 주격 | ||
| + | |||
| + | - 주격은 무표적이다. | ||
| + | |||
| + | - 행동의 주체 또는 객체를 나타낸다.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4) | ||
| + | ɡaɡə manbə o. | ||
| + | elder.brother doctor COP.INDIREVID | ||
| + | 형(오빠)은 의사이다. | ||
| + | }}}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4) | ||
| + | pətɕiaɢ ɢur wi. | ||
| + | bean powder EXIST.DIREVID | ||
| + | 콩가루가 있다. | ||
| + | }}}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4) | ||
| + | tɕia u-∅! | ||
| + | tea drink-IMP | ||
| + | 차를 마셔요! | ||
| + | }}} | ||
| + | |||
| + | ##### 속격-대격 | ||
| + | |||
| + | - 속격의 표지는 -nə이다. | ||
| + | |||
| + | - 소유 관계 또는 행동의 주체 또는 객체를 나타낸다.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4) | ||
| + | ɡaɡə-lə-nə χai. | ||
| + | elder.brother-PL-GEN.ACC shoes | ||
| + | 형/오빠들의 신발 | ||
| + | }}}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4) | ||
| + | ɡaɡə-lə-nə ur-dʑi rə! | ||
| + | elder.brother-PL-GEN.ACC call-CVB come | ||
| + | 형/오빠들을 불러와! | ||
| + | }}} | ||
| + | |||
| + | ##### 여격-처격(位格) | ||
| + | |||
| + | - 여격-탈격의 표지는 -də이다. | ||
| + | |||
| + | - 행동의 장소, 방향, 시간, 대상, 목적을 나타낸다.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4) | ||
| + | manɡə ɢua(r)-lə ɡaɡə-də asɢ(ə)-e! | ||
| + | 1PL.INCL two-PL elder.brother-DAT.LOC ask-HORT | ||
| + | 우리 둘이 형한테 물어보자! | ||
| + | }}}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4) | ||
| + | χoruŋ ɢuraŋ-nə udər-də tɕiarəɡ ɢuar rə-tɕ. | ||
| + | twenty three-GEN day-DAT.LOC soldier two come-PST.INDIREVID | ||
| + | 23일에 병사 두 명이 왔다. | ||
| + | }}}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4) | ||
| + | bədə uesuŋ-də r(ə)-o. | ||
| + | 1PL.EXCL.NOM grass-DAT.LOC come-PST.DIREVID | ||
| + | 우리는 풀을 위해서(베러) 왔다. | ||
| + | }}} | ||
| + | |||
| + | ##### 탈격-비교격 | ||
| + | |||
| + | - 탈격-비교격의 표지는 -sə이다. | ||
| + | |||
| + | - 동작의 원인, 방향, 시작하는 시간-끝나는 시간, 사물 상태의 비교에 쓰인다.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4) | ||
| + | ndʑaŋ ɢolo mor-sə r(ə)-o. | ||
| + | 3SG.NOM far road-ABL.COMPAR come-PST.DIREVID | ||
| + | 그는 먼 데에서 왔다. | ||
| + | }}}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4) | ||
| + | manɡə maχɕiə-sə leɡ(ə)-e! | ||
| + | 1PL.INCL tomorrow-ABL.COMPAR work-HORT | ||
| + | 우리는 내일부터 일하자! | ||
| + | }}}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5) | ||
| + | manə iamə hanə nə′ɡudə nə′ɡudə-sə saŋdə r(ə)-o. | ||
| + | 1PL.POSS everthing all one.day one.day-ABL.COMPAR good come-PST.DIREVID | ||
| + | 우리의 삶은 날로 좋아졌어. | ||
| + | }}} | ||
| + | |||
| + | ##### 도구격-공동격 | ||
| + | |||
| + | - 도구격-공동격의 표지는 -ɢalə이다. | ||
| + | |||
| + | - 사용하는 도구, 재료를 나타내고 '와/과'와 '하고'와 같은 공동격의 의미도 나타낸다.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5) | ||
| + | noɢsuŋ-Galə tχum ti! | ||
| + | wood-INS.COM felt weave | ||
| + | 양털로 모전(毛氈)을 짜! | ||
| + | }}}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5) | ||
| + | tɕĭ mənə dəu-ɢalə damələ! | ||
| + | 2SG.NOM 1SG.GEN younger.brother-INS.COM carry | ||
| + | 너는 내 동생과 같이 들어! | ||
| + | }}} | ||
| + | |||
| + | - 시간 명사와 방향 명사는 따로 격을 취하지 않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