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bonan:2_wordclass:24_adj:24_adj [2018/11/04 17:44] 127.0.0.1 바깥 편집 |
doc:bonan:2_wordclass:24_adj:24_adj [2019/06/15 16:02] (현재) 서취아 [-tə] |
||
|---|---|---|---|
| 줄 1: | 줄 1: | ||
|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24_adj : 형용사 (adjective) | ||
| + | |||
| + | - 성상 형용사와 관계 형용사 두 가지로 나뉜다. | ||
| + | |||
| + | ###(1) 성상형용사 | ||
| + | |||
| + | - 성상형용사는 부사 moχlə ‘매우’와 laŋɡə‘조금’으로 나타내는 정도를 한정할 수 있다. | ||
| + | |||
| + | moχlə: 매우 + ɡo: 크다 -> moχlə ɡo: 매우 크다 | ||
| + | |||
| + | laŋɡə: 조금 + ɢurduŋ: 빠르다 -> laŋɡə ɢurduŋ: 조금 빠르다 | ||
| + | |||
| + | - 성상 형용사는 중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중첩할 때 정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 ||
| + | |||
| + | ɡo: 크다 + ɡo: 크다 -> ɡo ɡo: 크나크다 | ||
| + | |||
| + | ###(2) 관계형용사 | ||
| + | |||
| + | - 관계형용사는 명사나 대명사로부터 파생해온 것이다. | ||
| + | |||
| + | - 형용사를 파생하는 접미사로는 -tə와 ɡu가 있다. | ||
| + | |||
| + | - 관계형용사는 정도 부사의 수식을 받지 않는다. | ||
| + | |||
| + | - 관계형용사는 중첩하여 쓰일 수 없다. | ||
| + | |||
| + | ##### -tə | ||
| + | |||
| + | - 명사 뒤에 형용사 파생 접사 -tə를 결합하여 명사가 나타내는 사물의 특징을 나타낸다. | ||
| + | |||
| + | hor: 화 + -tə: 형용사 파생 접사 -> hortə: 화난 | ||
| + | | ||
| + | mataɢ: 꽃 -> -tə: 형용사 파생 접사 -> mataɢ: 꽃을 가진 | ||
| + | |||
| + | ##### -ɡu | ||
| + | |||
| + | - 방향 명사와 시간 명사 그리고 명사의 여격형 뒤에 -ɡu를 결합하여 사물이 존재하는 시간과 방향 등 의미를 나타낸다. | ||
| + | |||
| + | ′ɡudə: 어제 + -ɡu:형용사 파생 접사 -> ′ɡudəɡu:어제의 | ||
| + | |||
| + | məilə: 앞 + -ɡu:형용사 파생 접사 -> məiləɡu: 앞의 | ||
| + | |||
| + | ɕia-də: 마당에 + -ɡu:형용사 파생 접사 -> ɕiadəɡu: 마당 안의 | ||
| + | |||
| + | |||
| + | - 형용사 뒤에 명사화소 -nə가 붙을 경우, ‘형용사+ -nə’ 구조가 일반 명사처럼 격 표지를 취할 수 있다. | ||
| + | |||
| + | {{{eg>bona1250 (buhe2008:348) | ||
| + | saŋ-nə nəχaŋ wa. | ||
| + | good-NMLZ here EXIST.INDIREVID | ||
| + | 좋은 것은 여기에 있다.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