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onan:4_ss:41_cl:41_cl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다음 판
이전 판
doc:bonan:4_ss:41_cl:41_cl [2018/11/04 17:44]
127.0.0.1 바깥 편집
doc:bonan:4_ss:41_cl:41_cl [2019/06/15 16:33] (현재)
서취아 [1) 대등적 부동사]
줄 1: 줄 1:
 # 41_cl : 절(clause) # 41_cl : 절(clause)
 +
 +- 대등적 접속문은 대등적 부동사, 접속적 부동사는 접속적 부동사에 의하여 나타난다.
 +
 +####1) 대등적 부동사
 +
 +- 대등적 부동사 표지는 -aŋ이다.
 +
 +- 의미: 동시 또는 선후를 나타낸다.
 +
 +{{{eg>​bona1250 (buhe2008:​354)
 +anə-nə iadʑĭ ɢua(r)-lə-nə ndʑiə<​w>​-aŋ,​ musɡu-nə ha-dʑi o.
 +mother-3SG.POSS child two-PL-GEN.ACC look.after-CVB clothes-GEN.ACC sew-CVB ​ COP.INDIREVID
 +그의 엄마가 두 아이를 돌봐주는 동시에 옷을 꿰매고 있었다.
 +}}}
 +
 +{{{eg>​bona1250 (buhe2008:​354)
 +tər kuŋ bi-nə uar-aŋ ɡe-dʑi putɕĭ-dʑi ɡinə.
 +that person pen-GEN.ACC take-CVB put.down-CVB write-CVB EXIST.NEG.INDIREVID
 +그 사람은 펜을 잡았다가 내려놓고 아직 쓰지 않고 있다.
 +}}}
 +
 +- 동사 뒤에 대등적 부동사가 붙는 형태가 중첩이 가능하다.
 +
 +{{{eg>​bona1250 (buhe2008:​354)
 +ndʑaŋ leɡ(ə)-aŋ leɡ(ə)-aŋ edər-tɕ.
 +3SG.NOM work-CVB work-CVB be.tired-PST.INDIREVID
 +그는 일하다가 지쳤다.
 +}}}
 +}
 +####2) 접속적 부동사
 +#####① 방법/​원인을 나타내는 표지는 -dʑi이다.
 +
 +{{{eg>​bona1250 (buhe2008:​354)
 +bŭ ənə dzinə iaŋɡə-dʑi putɕĭ-ɡu-nə martə-tɕ.
 +1SG.NOM this word how-CVB write-FUT.PTCP-GEN.ACC forget-PST.INDIREVID
 +나는 이 글자를 어떻게 쓰는 것을 잊어버렸다.
 +}}}
 +
 +- 이 부동사는 중첩이 가능하다.
 +
 +{{{eg>​bona1250 (buhe2008:​354)
 +ndʑaŋ iu-dʑi iu-dʑi edər-tɕ.
 +3SG.NOM walk-CVB walk-CVB be.tired-PST.INDIREVID
 +그는 걷다가 지쳤다.
 +}}}
 +
 +- 문장에 동사가 하나 이상인 경우, 앞에 오는 동사의 어간에 붙어 앞뒤 두 동사를 연결시켜준다.
 +
 +{{{eg>​bona1250 (buhe2008:​354)
 +tɕĭ ənə χainə apə-dʑi dʑi!
 +2SG.NOM this shoes take-CVB go
 +이 신발을 가져가라!
 +}}}
 +
 +#####② 조건 부동사
 +
 +- 조건을 나타내는 부동사는 -sə(혹은 -sa)이다.
 +
 +-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 조건이나 시간 또는 원인을 나타낸다.
 +
 +{{{eg>​bona1250 (buhe2008:​355)
 +ɕirodə ɢura or-sə ndʑaŋ lə rə-m.
 +afternoon rain to.fall-CVB 3SG.NOM NEG come-PRS.DIREVID
 +내일 비가 오면 그가 오지 않아.
 +}}}
 +
 +- 동작이 일어나는 시간을 나타내기도 한다.
 +
 +{{{eg>​bona1250 (buhe2008:​355)
 +nəɡə ndʑiə-sə hanə-nə madə-tɕ.
 +one to.look.at-CVB all-GEN.ACC to.know-PST.INDIREVID
 +보자마자 전부를 알아채었다.
 +}}}
 +
 +{{{eg>​bona1250 (buhe2008:​355)
 +ndʑaŋ ′ɡudə rə-sə, bŭ kətə ɡinə.
 +3SG.NOM yesterday come-CVB 1SG.NOM home EXIST.NEG.INDIREVID
 +그가 어제 올 때 나는 집에 없었다.
 +}}}
 +
 +#####③ 양보 부동사
 +
 +- 양보를 나타내는 부동사는 -sədə이다.
 +
 +{{{eg>​bona1250 (buhe2008:​355)
 +maχɕiə ɢura or-sədə bədə leɡə-m.
 +tomorrow rian fall-CVB 1PL.EXCL.NOM work-PRS.DIREVID
 +내일 비가 오더라도 우리는 일한다.
 +}}}
 +
 +#####④ 즉각(卽刻) 부동사
 +
 +- 즉각을 나타내는 부동사는 -ɡuma이다.
 +
 +{{{eg>​bona1250 (buhe2008:​355)
 +de tɕiuχur ekə-ɡuma, hajim χil-dʑi o.
 +just lightning strike-CVB thunder call-CVB COP.INDIREVID
 +번개를 치자마자 우레가 울렸다.
 +}}}
 +
 +#####⑤ 한도 부동사
 +
 +- 동작의 목표나 한도를 나타내는 표지는 -təla이다.
 +
 +- 한국어 ‘-도록’의 의미와 비슷하다.
 +
 +{{{eg>​bona1250 (buhe2008:​355)
 +ta χoro ol-təla saɢ-ə!
 +2PL evening become-CVB wait-IMP
 +너희들 저녁 될 때까지 기다려라!
 +}}}
 +
 +- 비교를 나타낼 수도 있다.
 +
 +- -təla가 붙는 선행절이 후행절보다 덜 좋은 선택임을 나타낸다.
 +
 +{{{eg>​bona1250 (buhe2008:​355)
 +tɕĭ landʐu-də dʑi-təla bəidʑiŋ-də dʑi!
 +2SG.NOM Lanzhou-DAT.LOC go-CVB Beijing-DAT.LOC go
 +너는 란주에 가는 것보다 북경에 가는 것이 낫다.
 +}}}
 +
 +#####⑥ 목적 부동사
 +
 +- 목적을 나타내는 부동사는 -lə이다. 한국어의 '​(으)러'​에 해당하다.
 +
 +{{{eg>​bona1250 (buhe2008:​355)
 +dedə dʑiənjiŋ ndʑiə-lə dʑi-o.
 +old.grandfater movie see-CVB go-PST.DIREVID
 +그 할아버지가 영화를 보러 갔다.
 +}}}
 +
 +- 목적 부동사는 동사 kur-‘도달하다’와 함께 쓰여 어떤 동작을 곧 완성할 것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
 +{{{eg>​bona1250 (buhe2008:​356)
 +tɕina fɡu-lə kur-o.
 +wolf die-CVB arrive-PST.DIREVID
 +늑대가 곧 죽었을 것이다.
 +}}}
 +
 +{{{eg>​bona1250 (buhe2008:​356)
 +bədə baoɢdəi tardʑi uăr-lə kur-dʑi o.
 +1PL.EXCL.NOM wheat plant finish-CVB arrive-CVB COP.INDIREVID
 +우리가 보리를 곧 다 심었어.
 +}}}
 +
 +#####⑦ 동작이나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부동사
 +
 +- 부동사 -sər는 동사 뒤에 붙어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낸다.
 +
 +- 그러나 부동사 -sər는 sou-‘앉다’와 함께 출현한다.
 +
 +{{{eg>​bona1250 (buhe2008:​356)
 +ki hil-sər sou-dʑi o.
 +wind blow-CVB sit-CVB COP.INDIREVID
 +바람이 계속 부르고 있다.
 +}}}
 +
 +{{{eg>​bona1250 (buhe2008:​356)
 +mənə təruŋ etə-sər sou-nə.
 +1SG.GEN head be.painful-CVB sit-PRS.INDIREVID
 +내 머리가 계속 아프다.
 +}}}
 +
  
doc/bonan/4_ss/41_cl/41_cl.1541321072.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8/11/04 17:44 저자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