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bonan:4_ss:41_cl:41_cl [2019/06/15 16:32] 서취아 |
doc:bonan:4_ss:41_cl:41_cl [2019/06/15 16:33] (현재) 서취아 [1) 대등적 부동사] |
||
|---|---|---|---|
| 줄 4: | 줄 4: | ||
| ####1) 대등적 부동사 | ####1) 대등적 부동사 | ||
| - | - 대등적 부동사 표지는 -aŋ이다. | + | |
| + | - 대등적 부동사 표지는 -aŋ이다. | ||
| - 의미: 동시 또는 선후를 나타낸다. | - 의미: 동시 또는 선후를 나타낸다. | ||
| 줄 18: | 줄 20: | ||
| 그 사람은 펜을 잡았다가 내려놓고 아직 쓰지 않고 있다. | 그 사람은 펜을 잡았다가 내려놓고 아직 쓰지 않고 있다. | ||
| }}} | }}} | ||
| + | |||
| - 동사 뒤에 대등적 부동사가 붙는 형태가 중첩이 가능하다. | - 동사 뒤에 대등적 부동사가 붙는 형태가 중첩이 가능하다. | ||
| + | |||
| {{{eg>bona1250 (buhe2008:354) | {{{eg>bona1250 (buhe2008:354) | ||
| ndʑaŋ leɡ(ə)-aŋ leɡ(ə)-aŋ edər-tɕ. | ndʑaŋ leɡ(ə)-aŋ leɡ(ə)-aŋ edər-tɕ. | ||
| 줄 24: | 줄 28: | ||
| 그는 일하다가 지쳤다. | 그는 일하다가 지쳤다. | ||
| }}} | }}} | ||
| + | } | ||
| ####2) 접속적 부동사 | ####2) 접속적 부동사 | ||
| #####① 방법/원인을 나타내는 표지는 -dʑi이다. | #####① 방법/원인을 나타내는 표지는 -dʑi이다. | ||
| 줄 96: | 줄 101: | ||
| #####⑤ 한도 부동사 | #####⑤ 한도 부동사 | ||
| + | |||
| - 동작의 목표나 한도를 나타내는 표지는 -təla이다. | - 동작의 목표나 한도를 나타내는 표지는 -təla이다. | ||
| + | |||
| - 한국어 ‘-도록’의 의미와 비슷하다. | - 한국어 ‘-도록’의 의미와 비슷하다. | ||
| 줄 106: | 줄 113: | ||
| - 비교를 나타낼 수도 있다. | - 비교를 나타낼 수도 있다. | ||
| + | |||
| - -təla가 붙는 선행절이 후행절보다 덜 좋은 선택임을 나타낸다. | - -təla가 붙는 선행절이 후행절보다 덜 좋은 선택임을 나타낸다. | ||
| + | |||
| {{{eg>bona1250 (buhe2008:355) | {{{eg>bona1250 (buhe2008:355) | ||
| tɕĭ landʐu-də dʑi-təla bəidʑiŋ-də dʑi! | tɕĭ landʐu-də dʑi-təla bəidʑiŋ-də dʑi! | ||
| 2SG.NOM Lanzhou-DAT.LOC go-CVB Beijing-DAT.LOC go | 2SG.NOM Lanzhou-DAT.LOC go-CVB Beijing-DAT.LOC go | ||
| 너는 란주에 가는 것보다 북경에 가는 것이 낫다. | 너는 란주에 가는 것보다 북경에 가는 것이 낫다. | ||
| - | }}} | + | }}} |
| #####⑥ 목적 부동사 | #####⑥ 목적 부동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