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onan:4_ss:48_tame:48_tame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bonan:4_ss:48_tame:48_tame [2019/06/15 15:29]
서취아 [⑨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doc:bonan:4_ss:48_tame:48_tame [2021/01/22 22:12] (현재)
서취아 [③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현재시제 표지]
줄 6: 줄 6:
 - 동사는 시제, 상, 법, 증거성 범주를 모두 가지고 있다. - 동사는 시제, 상, 법, 증거성 범주를 모두 가지고 있다.
  
-- 동사의 시제는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세 가지가 있고 상(aspect)은 진행상과 완망상 두 가지가 있다. 시제와 상은 다시 직접증거성과 간접증거성에 따라 다시 구분된다.+- 동사의 시제는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세 가지가 있고 상(aspect)은 진행상과 완망상 두 가지가 있다. 
 + 
 +시제와 상은 다시 직접증거성과 간접증거성에 따라 ​구분된
 + 
 +- 서법(mood)에는 명령법과 직설법이 있다. 
 + 
 + 
 +###(1) 조동사(계사(copular)와존재 동사)와 증거성 
 + 
 +- 조동사는 동사의 분사형과 연결어미 그리고 일부 동사의 어간과 결합하여 ​제나 상을 나타낼 수 있다. 
 + 
 +체적인 결합 양상의 시제-상-서법 부을 참고할 수 있다. 
 + 
 +- 일부 조동사가 일반 동사처럼 굴절 변화가 있지만 일부 조동사는 굴절 변화가 없다. 
 + 
 +- 체언이 문장의 술어 자리에 오게 되면 판당 동사가 쓰인다. 
 + 
 +- 존재 동사와 판단 동사는 직접증거성과 간접증거성을 구분하는 두 가지 체계가 있다. 
 + 
 +- 화자가 직접적으로 경험한 것이나 확실하게 아는 사실인 경우 i계 조동사를 사용해야 한다. 
 + 
 +- 직접적으로 경험한 것이 아닌 것이나 확실하게 아는 사실이 아닌 경우 a/o계 조동사를 사용해야 한다. 
 + 
 +##### 판단 조동사와 존재 조동사 
 + 
 +- 판단조동사와 존대조동사의 체계는 다음과 같다. 
 + 
 +|           ​| ​  ​직접증거성 ​   |간접증거성|  
 +|판단 조동사의 긍정형|i-,​ mbi- | o, mba|  
 +|판단 조동사의 부정형|ɕi- ​     |ɕo|  
 +|존재 조동사의 긍정형|wi- ​     |wa|  
 +|존재 조동사의 부정형|ɡi- ​     |ɡinə| 
 + 
 + 
 +- i-와 o는 ‘이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 
 +- mbi-와 mba는 ‘바로 ~이다’정도의 의미를 나타낸다. 
 + 
 +- ‘i-’계에 i-, mbi-, ɕi-, wi-, ɡi-가 있다. 
 + 
 +- ‘a/​o’계에 o, mba, ɕo, wa, ɡinə가 있다. 
 + 
 +- ‘i-’계의 조동사는 굴절 변화가 가능하지만 a/o계는 굴절 변화를 취할 수 없다. 
 + 
 +- 조동사가 동사 어간과 결합하는 양상의 시제-상-서법 부분을 참고할 수 있고 여기서는 체언과 결합하는 양상을 기술한다. 
 + 
 +{{{eg>​bona1250 (buhe2008:​356) 
 +bŭ baonaŋ kuŋ i. 
 +1SG.NOM baoan people COP.DIREVID 
 +나는 보난족 사람이다. 
 +}}} 
 + 
 +- ‘i-’는 단독적으로 대답으로 쓰일 수 없다. 그러나 mbi와 mba는 가능하다. 
 + 
 +{{{eg>​bona1250 (buhe2008:​357) 
 +mənə ɡaɡə-də uerə wi. 
 +1SG.GEN brother-DAT.LOC wife EXIST.DIREVID 
 +우리 오빠(형)는 아내가 있다. 
 +}}} 
 + 
 +- 비직접적인 경험이나 확실한 사실이 아닌 경우 
 + 
 +{{{eg>​bona1250 (buhe2008:​357) 
 +ndʑaŋ baonaŋ kuŋ o. 
 +3SG.NOM baoan people COP.INDIREVID 
 +그는 보난족이다. 
 +}}} 
 + 
 +- i계 조동사의 활용 양상 
 + 
 +{{{eg>​bona1250 (buhe2008:​357) 
 +tɕĭ uar(ə)-dʑi i-ɡu taɕiə i. 
 +2SG.NOM take-CVB COP.DIREVID-FUT.PTCP stone COP.DIREVID 
 +네가 가지고 있는 것은 돌이다. 
 +}}} 
 + 
 +#### 능원(能願)조동사 
 + 
 +- 능원동사는 da-‘ㄹ 수 있다’와 edə-‘ㄹ 수 없다’ 두 개가 있다. 
 + 
 +- 능원(能願)조동사는 주로 동사 어간 뒤에 출현한다.  
 + 
 +- 능원 동사는 굴절 변화가 있다. 
 + 
 +{{{eg>​bona1250 (buhe2008:​357) 
 +bŭ putɕĭ da-m. 
 +1SG.NOM write can-PRS.DIREVID 
 +나는 쓸 수 없다. (쓰다:​写) 
 +}}} 
 + 
 +{{{eg>​bona1250 (buhe2008:​358) 
 +ndʑaŋ rə da-ɡu ɕo. 
 +3SG.NOM come can-FUT.PTCP COP.NEG.INDIREVID 
 +그는 올 수가 없다. 
 +}}} 
 + 
 +#### 상적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 
 + 
 +- uărə-'​완성하다'​와 sou-'​앉다'​가 문법화되어 상적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가 ​된다. 
 + 
 +{{{eg>​bona1250 (buhe2008:​358) 
 +dʑi andər uăr(ə)-o. 
 +market disperse finish-PST.DIREVID 
 +시장이 흩어져(파해) 버렸다. 
 +}}} 
 + 
 + 
 +{{{eg>​bona1250 (buhe2008:​358) 
 +moruŋdə minɕiu uar sou-dʑi-o. 
 +Huang.river ice be.iced sit-CVB-COP.INDIREVID 
 +황하가 아직 얼어 있다. 
 +}}} 
 + 
 +#### 인용 표지 
 + 
 +- ɡə-'​하다'​가 '​ɡəsə'​로 문법화되어 가정 부동사로 쓰일뿐 아니라 그의 앞에 오는 문장이 인용문임을 나타낸다. 
 + 
 +{{{eg>​bona1250 (buhe2008:​358) 
 +ʂədʑaŋ maχɕiə rə-ɡ(u) i ɡəsə manŋə kaiχuiɡ(ə)-e! 
 +boss tomorrow come-FUT.PTCP COP.DIREVID ASSUM.QUOT 1PL.INCL have.meeting-HORT 
 +만약에 사장님이 내일에야 올 것이라고 하면 우리가 회의를 합시다. 
 +}}} 
 + 
 + 
 + 
 + 
 +###(2) 서법 
 + 
 +####1) 직설법
  
  
-### 시제와 증거성 
  
 #####①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시제 표지 #####①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시제 표지
줄 30: 줄 157:
  
 #####②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시제 표지 #####②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시제 표지
 +
 -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 시제표지는 사람의 의지가 간섭할 수 없는 사건/​사태에도 붙는다. -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 시제표지는 사람의 의지가 간섭할 수 없는 사건/​사태에도 붙는다.
 +
 {{{eg>​bona1250 (buhe2008:​351) {{{eg>​bona1250 (buhe2008:​351)
 tχa hor-də or-tɕ. tχa hor-də or-tɕ.
줄 57: 줄 186:
 {{{eg>​bona1250 (buhe2008:​351) {{{eg>​bona1250 (buhe2008:​351)
 bŭ baonaŋ ɡatɕi-̆nə madə-m. bŭ baonaŋ ɡatɕi-̆nə madə-m.
-ISG.NOM baonan language-GEN.ACC know-PRS.DIREVID+1SG.NOM baonan language-GEN.ACC know-PRS.DIREVID
 나는 보난어를 알아듣는다. 나는 보난어를 알아듣는다.
 }}} }}}
줄 70: 줄 199:
 나는 그의 집에 아예 안 간다. 나는 그의 집에 아예 안 간다.
 }}} }}}
-- 단호한 부정이 아니라 일반적인 부정인 경우 간접증거-현재시제에 대한 부정을 사용한다. ​+ 
 +- 단호한 부정이 아니라 일반적인 부정인 경우 간접증거-현재시제에 대한 부정을 사용한다. 
 {{{eg>​bona1250 (buhe2008:​351) {{{eg>​bona1250 (buhe2008:​351)
 bŭ baonaŋ ɡatɕĭ-nə lə madə-nə. bŭ baonaŋ ɡatɕĭ-nə lə madə-nə.
줄 122: 줄 253:
  
 #####⑥ 간접증거성-미래시제의 긍정형 #####⑥ 간접증거성-미래시제의 긍정형
 +
 - 동사 어간 뒤에 미래 분사 어미 -ɡu와 간접증거성-조동사 o(긍정형)를 결합시켜 표현한다. - 동사 어간 뒤에 미래 분사 어미 -ɡu와 간접증거성-조동사 o(긍정형)를 결합시켜 표현한다.
  
줄 139: 줄 271:
  
 #####⑦ 직접증거성-진행상의 긍정형 #####⑦ 직접증거성-진행상의 긍정형
 +
 +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dʑi를 결합시킨 후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i(긍정형)를 추가하여 직접증거성-진행상을 표현한다.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dʑi를 결합시킨 후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i(긍정형)를 추가하여 직접증거성-진행상을 표현한다.
  
줄 146: 줄 280:
 이 이틀 동안 우리는 (계속) 회의를 하고 있다. 이 이틀 동안 우리는 (계속) 회의를 하고 있다.
 }}} }}}
 +
  
 - 이에 대한 부정은 조동사의 긍정형인 i를 대신하여 직접증거성-조동사 ɡi(부정형)로 바꿈으로써 표현한다. - 이에 대한 부정은 조동사의 긍정형인 i를 대신하여 직접증거성-조동사 ɡi(부정형)로 바꿈으로써 표현한다.
줄 156: 줄 291:
  
 #####⑧ 간접증거성-진행상의 긍정형 #####⑧ 간접증거성-진행상의 긍정형
 +
 +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dʑi를 결합시킨 후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o(긍정형)를 추가하여 간접증거성-진행상을 나타낸다.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dʑi를 결합시킨 후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o(긍정형)를 추가하여 간접증거성-진행상을 나타낸다.
 +
 {{{eg>​bona1250 (buhe2008:​352) {{{eg>​bona1250 (buhe2008:​352)
 ndʑasə dʐəŋ baoɢdəi ɢadə-dʑi o. ndʑasə dʐəŋ baoɢdəi ɢadə-dʑi o.
줄 180: 줄 318:
  
 #####⑨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⑨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
 +
 - 동사어간 뒤에 과거 분사 -saŋ를 결합한 후 직접증거성-조동사 wi를 추가함으로써 표현한다. - 동사어간 뒤에 과거 분사 -saŋ를 결합한 후 직접증거성-조동사 wi를 추가함으로써 표현한다.
 +
  
 {{{eg>​bona1250 (buhe2008:​353) {{{eg>​bona1250 (buhe2008:​353)
줄 197: 줄 338:
  
 #####⑩ 간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⑩ 간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
 - 동사어간 뒤에 과거 분사 -saŋ를 결합한 후 간접증거성-조동사 wa(긍정형)를 추가함으로써 표현한다. - 동사어간 뒤에 과거 분사 -saŋ를 결합한 후 간접증거성-조동사 wa(긍정형)를 추가함으로써 표현한다.
 +
 {{{eg>​bona1250 (buhe2008:​353) {{{eg>​bona1250 (buhe2008:​353)
 ndʑaŋ dʑiənjiŋ ndʑiə-saŋ wa. ndʑaŋ dʑiənjiŋ ndʑiə-saŋ wa.
줄 203: 줄 346:
 그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그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 }}}
 +
 - 이에 대한 부정은 조동사 wa(긍정형)를 대신하여 간접증거성-조동사 ɡinə(부정형)을 결합시킴으로써 표현한다. - 이에 대한 부정은 조동사 wa(긍정형)를 대신하여 간접증거성-조동사 ɡinə(부정형)을 결합시킴으로써 표현한다.
  
줄 210: 줄 354:
 그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그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
 }}} }}}
- 
  
 ##### 존재 동사 '​wi-'​의 완망상 형태는 다음과 같이 있다. ##### 존재 동사 '​wi-'​의 완망상 형태는 다음과 같이 있다.
 +
 -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wi-saŋ i. -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wi-saŋ i.
 +
 - 직접증거성-완망상의 부정형: wi-saŋ ɕi. - 직접증거성-완망상의 부정형: wi-saŋ ɕi.
 +
 - 간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wi-saŋ o. - 간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wi-saŋ o.
 +
 - 간접증거성-완망상의 부정형: wi-saŋ ɕo. - 간접증거성-완망상의 부정형: wi-saŋ ɕo.
 +
 +####2) 명령법
 +
 +##### 의지법
 +
 +{{{eg>​bona1250 (buhe2008:​350)
 +bŭ ndʑaŋ-də nəɡə kal-e!
 +1SG.NOM 3SG-DAT.LOC one speak-HORT
 +내가 그와 얘기할게!
 +}}}
 +
 +##### 명령법
 +
 +- 명령법이 무표적이어서 동사의 어간이 명령법을 나타낼 수 있다.
 +
 +- 만약에 동사 어간이 자음으로 끝날 경우 해당 자음 뒤에 모음 ə를 추가할 수 있다.
 +
 +{{{eg>​bona1250 (buhe2008:​350) ​
 +tɕĭ ndʑaŋ-də kal-∅!
 +2SG.NOM 3SG-DAT.LOC speak-IMP
 +네가 그에게 얘기해라!
 +}}}
 +
 +##### Jussive
 +
 +- 화자가 제3자(문장의 주어)가 어떠한 행동을 하는 것을 원함을 나타낸다.
 +
 +- 희망법의 표지는 -ɡə이다.
 +
 +{{{eg>​bona1250 (buhe2008:​350) ​
 +ndʑaŋ kal-ɡə!
 +3SG.NOM speak-JUS
 +그가 말하도록 해라!
 +}}}
 +
 +
 +
 +
 +
 +
  
doc/bonan/4_ss/48_tame/48_tame.1560580163.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15 15:29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