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onan:4_ss:48_tame:48_tame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bonan:4_ss:48_tame:48_tame [2019/06/15 16:55]
서취아
doc:bonan:4_ss:48_tame:48_tame [2021/01/22 22:12] (현재)
서취아 [③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현재시제 표지]
줄 8: 줄 8:
 - 동사의 시제는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세 가지가 있고 상(aspect)은 진행상과 완망상 두 가지가 있다. - 동사의 시제는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세 가지가 있고 상(aspect)은 진행상과 완망상 두 가지가 있다.
  
-- 시제와 상은 다시 직접증거성과 간접증거성에 따라 ​다시 ​구분된다.+- 시제와 상은 다시 직접증거성과 간접증거성에 따라 구분된다.
  
 +- 서법(mood)에는 명령법과 직설법이 있다.
  
-###(1) 조동사와 증거성+ 
 +###(1) 조동사(계사(copular)와존재 동사)와 증거성
  
 - 조동사는 동사의 분사형과 연결어미 그리고 일부 동사의 어간과 결합하여 시제나 상을 나타낼 수 있다. - 조동사는 동사의 분사형과 연결어미 그리고 일부 동사의 어간과 결합하여 시제나 상을 나타낼 수 있다.
줄 36: 줄 38:
 |존재 조동사의 긍정형|wi- ​     |wa|  |존재 조동사의 긍정형|wi- ​     |wa| 
 |존재 조동사의 부정형|ɡi- ​     |ɡinə| |존재 조동사의 부정형|ɡi- ​     |ɡinə|
 +
  
 - i-와 o는 ‘이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 i-와 o는 ‘이다’의 의미를 나타낸다.
줄 128: 줄 131:
  
  
-###​(2) ​시제와 증거성+ 
 +###​(2) ​서법 
 + 
 +####1) 직설법 
 + 
  
 #####①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시제 표지 #####①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과거시제 표지
줄 178: 줄 186:
 {{{eg>​bona1250 (buhe2008:​351) {{{eg>​bona1250 (buhe2008:​351)
 bŭ baonaŋ ɡatɕi-̆nə madə-m. bŭ baonaŋ ɡatɕi-̆nə madə-m.
-ISG.NOM baonan language-GEN.ACC know-PRS.DIREVID+1SG.NOM baonan language-GEN.ACC know-PRS.DIREVID
 나는 보난어를 알아듣는다. 나는 보난어를 알아듣는다.
 }}} }}}
줄 191: 줄 199:
 나는 그의 집에 아예 안 간다. 나는 그의 집에 아예 안 간다.
 }}} }}}
-- 단호한 부정이 아니라 일반적인 부정인 경우 간접증거-현재시제에 대한 부정을 사용한다. ​+ 
 +- 단호한 부정이 아니라 일반적인 부정인 경우 간접증거-현재시제에 대한 부정을 사용한다. 
 {{{eg>​bona1250 (buhe2008:​351) {{{eg>​bona1250 (buhe2008:​351)
 bŭ baonaŋ ɡatɕĭ-nə lə madə-nə. bŭ baonaŋ ɡatɕĭ-nə lə madə-nə.
줄 243: 줄 253:
  
 #####⑥ 간접증거성-미래시제의 긍정형 #####⑥ 간접증거성-미래시제의 긍정형
 +
 - 동사 어간 뒤에 미래 분사 어미 -ɡu와 간접증거성-조동사 o(긍정형)를 결합시켜 표현한다. - 동사 어간 뒤에 미래 분사 어미 -ɡu와 간접증거성-조동사 o(긍정형)를 결합시켜 표현한다.
  
줄 260: 줄 271:
  
 #####⑦ 직접증거성-진행상의 긍정형 #####⑦ 직접증거성-진행상의 긍정형
 +
 +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dʑi를 결합시킨 후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i(긍정형)를 추가하여 직접증거성-진행상을 표현한다.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dʑi를 결합시킨 후 직접증거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i(긍정형)를 추가하여 직접증거성-진행상을 표현한다.
  
줄 267: 줄 280:
 이 이틀 동안 우리는 (계속) 회의를 하고 있다. 이 이틀 동안 우리는 (계속) 회의를 하고 있다.
 }}} }}}
 +
  
 - 이에 대한 부정은 조동사의 긍정형인 i를 대신하여 직접증거성-조동사 ɡi(부정형)로 바꿈으로써 표현한다. - 이에 대한 부정은 조동사의 긍정형인 i를 대신하여 직접증거성-조동사 ɡi(부정형)로 바꿈으로써 표현한다.
줄 277: 줄 291:
  
 #####⑧ 간접증거성-진행상의 긍정형 #####⑧ 간접증거성-진행상의 긍정형
 +
 +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dʑi를 결합시킨 후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o(긍정형)를 추가하여 간접증거성-진행상을 나타낸다. - 동사 어간 뒤에 부동사 -dʑi를 결합시킨 후 간접증거성을 나타내는 조동사 -o(긍정형)를 추가하여 간접증거성-진행상을 나타낸다.
 +
 {{{eg>​bona1250 (buhe2008:​352) {{{eg>​bona1250 (buhe2008:​352)
 ndʑasə dʐəŋ baoɢdəi ɢadə-dʑi o. ndʑasə dʐəŋ baoɢdəi ɢadə-dʑi o.
줄 301: 줄 318:
  
 #####⑨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⑨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
 +
 - 동사어간 뒤에 과거 분사 -saŋ를 결합한 후 직접증거성-조동사 wi를 추가함으로써 표현한다. - 동사어간 뒤에 과거 분사 -saŋ를 결합한 후 직접증거성-조동사 wi를 추가함으로써 표현한다.
 +
  
 {{{eg>​bona1250 (buhe2008:​353) {{{eg>​bona1250 (buhe2008:​353)
줄 335: 줄 355:
 }}} }}}
  
-###(3+##### 존재 동사 '​wi-'​의 완망상 형태는 다음과 같이 있다. 
 + 
 +-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wi-saŋ i. 
 + 
 +- 직접증거성-완망상의 부정형: wi-saŋ ɕi. 
 + 
 +- 간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wi-saŋ o. 
 + 
 +- 간접증거성-완망상의 부정형: wi-saŋ ɕo. 
 + 
 +####2명령
  
-####1) 의지법+####의지법
  
 {{{eg>​bona1250 (buhe2008:​350) {{{eg>​bona1250 (buhe2008:​350)
줄 345: 줄 375:
 }}} }}}
  
-####2) 명령법+####명령법
  
 - 명령법이 무표적이어서 동사의 어간이 명령법을 나타낼 수 있다. - 명령법이 무표적이어서 동사의 어간이 명령법을 나타낼 수 있다.
줄 357: 줄 387:
 }}} }}}
  
-####3) Jussive+####Jussive
  
 - 화자가 제3자(문장의 주어)가 어떠한 행동을 하는 것을 원함을 나타낸다. - 화자가 제3자(문장의 주어)가 어떠한 행동을 하는 것을 원함을 나타낸다.
줄 371: 줄 401:
  
  
-##### 존재 동사 '​wi-'​의 완망상 형태는 다음과 같이 있다. +
-- 직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wi-saŋ i. +
-- 직접증거성-완망상의 부정형: wi-saŋ ɕi. +
-- 간접증거성-완망상의 긍정형: wi-saŋ o. +
-- 간접증거성-완망상의 부정형: wi-saŋ ɕo.+
  
  
  
doc/bonan/4_ss/48_tame/48_tame.1560585326.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19/06/15 16:55 저자 서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