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doc:bunu:2_wordclass:27_num:27_num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doc:bunu:2_wordclass:27_num:27_num [2020/10/21 15:25]
kalina [날짜를 나타내는 수사]
doc:bunu:2_wordclass:27_num:27_num [2020/10/21 16:25] (현재)
kalina [날짜를 나타내는 수사]
줄 22: 줄 22:
 }}} }}}
  
-[tɕau6](일)은 양사와 결합할 때만 쓰인다. +  * [tɕau6](일)은 양사와 결합할 때만 쓰인다. 
-수량사구는 일반적으로 수사 [i1′](일)과만 결합한다. +  ​* ​수량사구는 일반적으로 수사 [i1′](일)과만 결합한다. 
-20-29의 2는 [au1]을 사용하지 않고 [ȵɔŋ4]를 사용한다. [ȵɔŋ4]는 다른 환경에서 쓰이지 않는다. +  ​* ​20-29의 2는 [au1]을 사용하지 않고 [ȵɔŋ4]를 사용한다. [ȵɔŋ4]는 다른 환경에서 쓰이지 않는다. 
-[len2] 혹은 [liŋ2](영)는 단독으로 읽을 때, 그리고 ‘끝수(zh. 零数)’, ‘소액화폐/​잔돈(zh. 零钱)’, ‘우수리(zh. 零头)’를 구성할 때 [liŋ4′](한어 차용어)로 읽는다.+  ​* ​[len2] 혹은 [liŋ2](영)는 단독으로 읽을 때, 그리고 ‘끝수(zh. 零数)’, ‘소액화폐/​잔돈(zh. 零钱)’, ‘우수리(zh. 零头)’를 구성할 때 [liŋ4′](한어 차용어)로 읽는다.
  
 {{{lex>​buna1273 (mengchaoji2006:​301) {{{lex>​buna1273 (mengchaoji2006:​301)
줄 42: 줄 42:
 ### 수식 기능 ### 수식 기능
  
-수사가 분류사를 수식할 때에는 분류사 앞에 놓인다. 수량사구가 명사를 수식할 때에도 명사 앞에 높인다.+  * 수사가 분류사를 수식할 때에는 분류사 앞에 놓인다. 수량사구가 명사를 수식할 때에도 명사 앞에 높인다.
  
 {{{eg>​buna1273 (mengchaoji2006:​301) {{{eg>​buna1273 (mengchaoji2006:​301)
줄 59: 줄 59:
 ### 서수사 ### 서수사
  
-[te4ʑe3](제일),​ [te4ȵi6](혹은 [te4au1])(제이)를 제외하면 모두 [te4](第)에 기수사가 결합한다.+  * [te4ʑe3](제일),​ [te4ȵi6](혹은 [te4au1])(제이)를 제외하면 모두 [te4](第)에 기수사가 결합한다.
  
 {{{lex>​buna1273 (mengchaoji2006:​301) {{{lex>​buna1273 (mengchaoji2006:​301)
줄 71: 줄 71:
 }}} }}}
  
-서수사가 분류사나 양을 나타내는 명사 구성을 수식할 때 보통 분류사나 양을 나타내는 명사 구성 뒤에 놓인다.+  * 서수사가 분류사나 양을 나타내는 명사 구성을 수식할 때 보통 분류사나 양을 나타내는 명사 구성 뒤에 놓인다.
  
 {{{eg>​buna1273 (mengchaoji2006:​301) {{{eg>​buna1273 (mengchaoji2006:​301)
줄 88: 줄 88:
 ### 날짜를 나타내는 수사 ### 날짜를 나타내는 수사
  
-월을 나타내는 방법이 다르다. 정월, 5월, 음력 섣달은 수사를 사용하지 않고 2/3/4월은 장어(壮语)를 통해 들어온 한어 차용어를 사용하며 6/​7/​8/​9월은 기수사 앞에 [ɬo5](月)가 붙는다.+  * 월을 나타내는 방법이 다르다. 정월, 5월, 음력 섣달은 수사를 사용하지 않고 2/3/4월은 장어(壮语)를 통해 들어온 한어 차용어를 사용하며 6/​7/​8/​9월은 기수사 앞에 [ɬo5](月)가 붙는다.
  
 {{{lex>​buna1273 (mengchaoji2006:​301) {{{lex>​buna1273 (mengchaoji2006:​301)
줄 107: 줄 107:
 }}} }}}
  
-날짜를 나타낼 때는 ‘월의 제1일(初一)’인 [Ɵhəŋ1](초) [ʑe3](一)(한어 차용어)과 ‘삼십’인 ​[[n̥ɔŋ1tɕo6](마지막 날)을 제외한 2에서 29까지는 부누어의 수사를 사용한다. 서수사는 항렬을 나타낼 때도 쓰인다.+  * 날짜를 나타낼 때는 ‘월의 제1일(初一)’인 [Ɵhəŋ1](초) [ʑe3](一)(한어 차용어)과 ‘삼십’인 [n̥ɔŋ1tɕo6](마지막 날)을 제외한 2에서 29까지는 부누어의 수사를 사용한다. 서수사는 항렬을 나타낼 때도 쓰인다.
  
-{{{lex>​buna1273 (mengchaoji2006:​301-302) 
  
-- [lau6] (老) [tai6] (大) : 첫째 +{{{lex>​buna1273 (mengchaoji2006:​301) 
-- [lau6] (老) [ŋi6] (二) : 둘째 + 
-- [lau6] (老) [Ɵhan3′] (三) : 셋째 +- [lau6](ch.老) [tai6](ch.大) : 첫째 
-- [lau6] (老) [Ɵhi1′] (四) : 넷째 +- [lau6](ch.老) [ŋi6](ch.二) : 둘째 
-- [lau6] (老) [ŋo6] (五) : 다섯째 +- [lau6](ch.老) [Ɵhan3′](ch.三) : 셋째 
-- [lau6] (老) lɔŋ2′] (六) : 여섯째 +- [lau6](ch.老) [Ɵhi1′](ch.四) : 넷째 
-- [lau6] (老) shen1′] (七) : 일곱째 +- [lau6](ch.老) [ŋo6](ch.五) : 다섯째 
-- [lau6] (老) pen1′] (八) : 여덟째 +- [lau6](ch.老) [lɔŋ2′](ch.六) : 여섯째 
-- [lau6] (老) kju3′] (九) : 아홉째+- [lau6](ch.老) [shen1′](ch.七) : 일곱째 
 +- [lau6](ch.老) [pen1′](ch.八) : 여덟째 
 +- [lau6](ch.老) [kju3′](ch.九) : 아홉째
  
 }}} }}}
 +
 +
doc/bunu/2_wordclass/27_num/27_num.1603261520.txt.gz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0/10/21 15:25 저자 kal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