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
doc:bunun:2_wordclass:25_adv:25_adv [2021/08/29 12:26] 박은석 |
doc:bunun:2_wordclass:25_adv:25_adv [2021/08/29 12:36] (현재) 박은석 |
||
|---|---|---|---|
| 줄 3: | 줄 3: | ||
| 부눈어 부사는 어떤 사건의 방식, 범위, 정도 혹은 시간, 공간 배경 등을 나타낸다. | 부눈어 부사는 어떤 사건의 방식, 범위, 정도 혹은 시간, 공간 배경 등을 나타낸다. | ||
| - | 부눈어 부사의 조어법과 통사는 대부분 동사로 귀속된다. 따라서 '副動詞' 라고 일컬을 수 있겠다. | + | 부눈어 부사의 조어법과 통사는 대부분 동사로 귀속된다. 따라서《布農語語法概論》의 저자인 '黃慧娟, 施朝凱’이 '副動詞' 라고 일컬었다. |
| - | 다시 말해서 문장에서 주로 서술어 역할을 하며 초점의 변화와 접두사와 같이 나오는 현상을 보인다. | + | 다시 말해서 부눈어의 부사는 문장에서 주로 서술어 역할을 하며 초점의 변화와 접두사와 같이 나오는 현상을 보인다. |
| 예를 들어 부눈어의 'kandaukdauk : 천천히 걷다', 'amin : -도', 'takna : 어제', 'saincia: 거기' 등이다. | 예를 들어 부눈어의 'kandaukdauk : 천천히 걷다', 'amin : -도', 'takna : 어제', 'saincia: 거기' 등이다. | ||
| 줄 12: | 줄 12: | ||
| 부사의 종류에 속하는 이 단어들은 문장의 부가어가 될 수 있다. | 부사의 종류에 속하는 이 단어들은 문장의 부가어가 될 수 있다. | ||
| - | {{{eg>bunu1267 (huanghuijuan2018:206) | + | 부눈어의 부사(즉, 부동사)의 예는 다음과 같다. |
| - | na-pit-'amin-un-ku | + | |
| + | {{{eg>bunu1267 (huanghuijuan2018:206) | ||
| + | na-pit-'amin-un-ku a 'utan-an ma-pit'ia | ||
| + | IPFV-boil-all-PAT-1SG.GEN NOM sweet.potato-DET.NOM NOM.FOC-boil | ||
| + | 우리들은 이 고구마를 모두 다 삶으려고 한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