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
doc:buyang:1_phonology:11_cons:11_cons [2018/11/04 17:44] 127.0.0.1 바깥 편집 |
doc:buyang:1_phonology:11_cons:11_cons [2019/06/24 02:14] (현재) 김혜 |
||
|---|---|---|---|
| 줄 1: | 줄 1: | ||
|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 + | # 11_cons : 자음 (consonant) 100% |
| + | |||
| + | |||
| + | - 영둔부양어에서 총 42개의 어두 자음이 있다. 그 중에 단자음 29개, 어두 자음군 1개, 구개음 9개와 원순음이 3개 있다. | ||
| + | |||
| + | | 단자음| \p\, \ph\, \ʔb\, \m\, \f\, \v\, \t\, \th\, \ʔd\, \n\, \l\, \ɬ\, \ts\, \tsh\, \s\, \θ\, \ȵ\, \ʨ\, \ʨh\, \ɕ\, \ʑ\, \k\, \kh\, \ŋ\, \h\, \q\, \qh\, \j\, \w\| | ||
| + | | 구개음| \pj\, \phj\, \ʔbj\, \tj\, \ʔdj\, \kj\, \khj\, \ŋj\, \qj\, | | ||
| + | | 원순음| \kw\, \khw\, \ŋw\, | | ||
| + | | 자음군| \hr\, | | ||
| + | |||
| + | |||
| + | #### 자음의 특징 | ||
| + | |||
| + | - 연구개음 \[[q]\]와 \[[qh]\]가 포함되어 있는 예를 많이 찾을 수 있다. | ||
| + | - 성모에 대한 구개음화와 원순화 현상을 찾을 수 있다. | ||
| + | - 성문음이 포함되어 있는 성모를 4개 찾을 수 있다. (\[[ʔb]\], \[[ʔd]\], \[[ʔbj]\], \[[ʔdj]\]) | ||
| + | - 유성 모찰음 \[[v]\]와 반모음 \[[w]\]의 발음차이가 거의 없다. | ||
| + | - \[[ʨ]\], \[[ʨh]\], \[[ts]\], \[[tsh]\]가 표함되어 있는 어휘를 많이 찾을 수 없고 \[[ʨh]\], \[[tsh]\]는 주로 한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 ||
| + | - 어두 모음을 보통 앞에 성문음을 포함시켜 발음한다. | ||